Boards
어제 9시뉴스에 비춰진
1991년부터 1999년까지 만들어진 W140 S클래스는 현행 S클래스의 전전 모델로서 공룡이라는 별명이 붙은 모델입니다.
지나치게 거대한 몸집으로 평론가들의 비난을 받았고, 현재는 벤츠의 브랜드 이미지를 깍아 먹는다는 이유로 독일내의 W140은 비공식적으로 벤츠에서 상당부분 수거해 러시아로 수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내에서 가장 고가의 모델인 S600이 중고차 시장에서 1000만원 이하에 거래되고, 오히려 S320이나 S500이 이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됩니다.
독일의 절친 후버트가 W140 S320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독일에 방문하면 항상 타보지만 사실 W140아주 좋은 차입니다.
S220으로 풀모델체인지되면서 오히려 W140의 고급성에서 양보가 있었을 정도로 W140은 실내의 질감이 아주 좋고, 달리는 맛도 좋습니다.
워낙 무겁고 둔하기 때문에 코너에서는 몸이 많이 기울어 손잡이를 잡아야하지만 고속주행안정성이 매우 좋고, 방음도 좋습니다.
독일에서는 고급차를 대상으로 원하는 형태로 개조해주는 회사가 몇 개 있는데, 원하는 길이만큼 리무진으로 개조도 되고 방탄능력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제가 독일에 근무할 때 이런 특수차량을 만들어주는 회사의 대표집에 초대받아서 차량에 대한 설명을 좀 들을 기회가 있었는데, 최신 S클래스를 베이스로 한다면 경우에 따라 거의 1톤 가까이 무게가 늘수도 있기 때문에 칩튜닝을 해 부스트를 높여야지 안그러면 500마력으로도 너무 무겁다고 하더군요.
-testkwon-

저는 개인적으로 사진의 S클 디자인이 가장 멋지다고 생각하는데...
(그렇게 혹평을 받았었는지 몰랐네요... ^^;;)
머 진짜 개인적으로는 저런 초대형급(?)에서는 아우디 A8(S8) 디자인을 젤 좋아합니다...
날씬하게 잘 빠진게 좋아요~~~ (BMW나 MB는 점점 뚱뚱해져가는 거 같아서 좀 아쉽다는... 그래서인지 저는 구모델의 디자인이 훨 나아 보입니다... 제가 너무 늙었나요? ㅡ.ㅡ;;)
제 생각에도 최고의 벤츠입니다
김일성이 생전에 타던 W140 S600을 너무나도 좋아했다고 하죠
김일성 시신이 있는곳에 그 S600도 같이 전시되있다고 하더군요

그 당시 벤츠는 전 세계 곳곳에 차를 수출하고있었고, 90년대만 해도 개발도상국들의 도로들의 포장률은 매우 낮았기에, 당시 벤츠의 차 만듬새는 그야말로 튼튼함만을 추구하는듯 했습니다. 제가 존경하는 형님이 W126을 타시는데, 가장 인상깊었던것은 엔진밑에 버티고있는 마치 (뻥 좀 보태어서) 대전차지뢰도 견딜듯한 묵직한 언더패널이었습니다. 그 어떤 바위로부터도 오일팬을 지켜줄것 같은 두꺼움.... 북한은 상류층의 배가 불러서 벤츠를 타는거라기 보다는 경제제재로 인해 부품 수급이 힘든 나라이기 때문에 더더욱 벤츠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벤츠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모델이네요.
유소년기때 동네에 있던 유이한 외제차였는데 (다른 한대는 이름 기억안나는 도요타 중형세단)
W140 S500 이였습니다. 늘 다니던 길목을 지날때마다 50% 확률도 항상 주차 된 것을 봤었기에
아직도 벤츠하면 W140의 디자인이 가장 먼저 떠오르네요.

제 주변 분도 저 차를 타는데 '공룡'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있었네요.
320이었던 것 같은데 순발력은 다소 떨어지지만 육중한 승차감이 참 고급스러웠습니다.

저 역시 벤츠, 그것도 S클래스 하면 다분히 W140모델이 먼저 떠오릅니다.
어르신들의 경우는 "깜장색 벤쓰"의 대명사였죠^^;
W220은 뭔가 디자인이 너무 여성틱하고, 그나마 W221에서는 세련미를 느낄수 있습니다만...
벤츠의 기함 S클래스 하면 "탱크" W140의 포스를 따라올수는 없다고 봅니다.
90년대에는 S320만 타도 선망의 대상이었는데, 요즘에는 하다못해 S600도 널린감이 없지 않으니, 우리나라 사람들 수준 참 많이 높아졌습니다^^;

95년 다이애너 비가 저 S600 을 탄 채.. 운명을 달리했었죠.
W140 런칭때 잇슈가, 부쩍 커진 성인 표준키와 체중이였는데.. 다시 크기를 줄일땐 스타일 때문에 어쩔 수 없었나 봅니다.
저도 아까 여자친구와 대화 하는 중에 "왜 김정일은 돈도 많으면서 옛날 차 타?" 그러길래
제가 "저게 진짜 벤츠지!!"라고..;;

저 모델 이전 소위 '조용필벤츠' 는 그야말로 최고의 프레스티지를 자랑하는 모델이었는데요
정말 아무나 못타는 그런 존재였는데...
제가 차에 처음 관심을 갖던 90-91년 당시 저 모델은 정말 구름위의 존재같은 것이었습니다.
여전히 관록을 자랑하고 있는것 같아 기쁘네요. 아마 이건희 회장도 저 모델 가끔 타시는걸로...
전경련 회장인 ㅎㅅ그룹 ㅈㅅㄹ회장 같은 재계의 거물도 최근까지 저 모델을 타고 다녔던 걸로 압니다. ( 현재까지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 마이바흐나 팬텀 타고도 남을 만한 위치 임에도 불구하고, 게다가 벤츠 공식딜러(더클래스ㅎㅅ)을 자회사로 가지고 있음에도 계속 같은 모델을 타셨다는 건 분명 이유가 있지 않나 싶네요.
W140 S600은 1989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처음 런칭된걸로 알고 있습니다.
배기량은 6 liter 이고 출력은 394 마력 입니다. 이게 W220 S600 의 137엔진에서는 5.8 liter 에 367 마력으로 오히려 낮아졌는데, 배기가스 규정 문제 때문이라고 들었습니다. 2003년에 biturbo 5.5 liter 에 500 마력으로 변경되었고, 이엔진이 현재 MB 양산차중 최상단 라인 차종에 실리고 있습니다.
2000 rpm 언저리에서 토크가 80이나오기에, 마이바흐 같은 거구도 0-100이 5.6초 정도구요. 무겁다는 느낌을 거의 안줄정도로 파워풀 엔진입니다.
12기통에 각각의 점화케이블 배선으로 너무 복잡해져서, W220 의 137 엔진에서는 좌우 각각 한 뱅크씩 두개의 모듈로 정리가 되엇씁니다.
다이애나 비가 탄 차는 S280 으로 알고 있습니다.
당시 MB의 대변인이 "S class 의 안전성은 하위에서 상위 모델까지 거의 균등하지만, 너무 치명적인 사고로 불행을 맞은것 같다" 는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실제 사고가 난, 파리 세느 강변 도로의 지하 터널을 가본적이 있는데, 좌우 차선 중간의 충돌한 기둥에는 표시가 되어있습니다.
내리막에서 200km 이상의 속도로, 제동이 거의 발휘안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기둥에 충돌했으니 답이 없을꺼란 느낌이 들었습니다.
벤츠 매니아인 김정일이 W140 특히 좋아하는것 같습니다.
북한 관련 보도들을 보면 북한에 올드 벤츠가 참 많은데 그 중 W140 방탄리무진은 김정일이 어디 갈 때 꼭 가져 가더군요. 러시아 갈 때도 그렇고...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방북때 W220 S600을 타고 갔는데, 제일 처음 마중나왔던 차가 W124 E클래스였고, 그 뒤에 W126 300SEL 몇대가 대기하고 있었던걸로 기억합니다. 그 방북때 W220을 타고 갔던 이유도 김정일이 벤츠 광이라 맞춰서 타고 갔다는 루머도 있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