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여름이라 바닷가쪽 많이 놀러가실텐데요
특히 수도권 가까운 곳에서는 제부도 드라이빙 많이들 하실 겁니다.
아시다시피 제부도는 섬이지만 간조때면 바닷물이 빠지고 포장도로가 드러나서
그 시간동안 차량 운행이 가능한 곳인데요.
일전에 도로가 폐쇄되려는 시각무렵 혼이 난 경험이 있어 주의를 요합니다..
가족들과 제부도 드라이빙가서 조개구이도 먹고 해변에서 사진도 찍고
애들 물장난도 좀 치고 그리고 해가 뉘엇뉘엇 넘어갈 무렵..
마침 미리 파악한 바닷길이 닫히려는 시각이 다 되었더군요.
밀물이 시작되면 육지로 돌아가는 도로가 물에 잠기기 때문에 서둘러 출발했죠
미리 알아본 도로 폐쇄 시각보다 약 5분~10분 가량 여유가 있었습니다.
섬과 육지를 연결하는 포장도로 시작점에는 안내요원이 바리케이트를
칠 준비를 하고 있었고 다른 차는 없었습니다.
내차가 접근하니 안내요원이 빨리 지나가라고 손짓을 하더군요. 내차가 마지막..
내가 지나치자 마자 도로진입을 안내요원이 막는 것을 룸미러로 확인하고...
그제야 전방을 멀리까지 볼 수 있었는데..
도로 중간에 이미 물이 조금 차 올라있고 저 멀리 스타렉스 한대가 부지런히 건너고
있더군요.
그때까지는 별 생각없이 그냥 도로를 따라 주행했습니다. 바닷물에 조금씩 잠긴
도로의 3분의 1지점에 도달했을때....
난 당황하기 시작했습니다. 도로가 안보이는 것이었습니다..
이 도로가 육지까지 직선으로 뻗어있지 않고 몇번의 S자 곡선을 그리고 있음을
상기해 보니 정말 진땀이 나더군요.
도로 주변에 원기둥 형태의 보호연석이 쫙 깔려 있는데.. 그것들마저 안보였습니다.
물이 차올라오는 속도가 장난이 아니었습니다. 입구에서 출발할때 보이던 연석들이
순식간에 시야에서 사라지니 오만가지 생각이 뇌리를 스치더군요. 되돌아가기도
너무 늦었고 뒤쪽 상황도 다를 바가 없고...
차를 버리고 걸어가야겠다는 생각이 제일 먼저 들었구요..
물이 차오르는 속도로 봐서 전방 500~600 미터.. 걸어서 약 5분 이상 소요될 듯한
육지를 보니...걷다가 분명 수영까지 해야할 판이었습니다..
최악의 경우 차를 포기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직감한 후..
남은 걱정은 수영할 줄 아는 사람이 나밖에 없는 가족들의 안위 뿐..
동승한 가족들은 지금 닥친 상황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고..
아직 알릴 때는 아니었죠.. 차를 버리기 전까지는..
일단 차로 갈 수 있는 만큼 최대한 가보고 결단을 내리기로 했습니다.
물은 범퍼를 치고 있었고.. 차를 멈추면 시동이 바로 꺼질 것같아
계속 악셀에 힘을 주면서 먼저 진행했던 스타렉스가 보여준 기동형태로
가상 곡선을 머릿속에 그리며 도로의 곡선 정도를 가늠하기 위해 애를 썼습니다.
그러나 눈을 감고 가는 것 마냥 점차 확신이 없어지면서..
연석에 충돌하거나 물에 잠긴 도로밑 1미터 아래의 더 깊은 물속으로 빠져들것
같은 불안감만 증폭되더군요
즉시 창문을 열고 머리를 최대한 밖으로 빼내어 물밑을 살펴보기 시작했습니다.
믿거나말거나지만 물이 어찌나 거무스름한지 날이 저문 시간때에 겹쳐
바닥은 전혀 보이지 않았고.... 그때 내 눈에 희망이 발견되었습니다.
도로 가장자리의 범퍼 높이 정도로 솟아있는 연석 맨 윗부분이 물속에서
희미하게 보였기 때문입니다. 아주 자세히 들여다 봐야 윤곽이 느껴질 정도지만
그거라도 얼마나 감사하던지..
차를 연석 부근에 붙이고 머리를 내밀고 연석만 보면서 핸들을 조작해 가다보니
드디어 연석이 물밖으로 머리를 내밀고 있는 구간까지 무사히 나올 수 있었습니다.
거기서부터는 그냥 아무 생각없이 물살을 가르며 육지로 달렸죠.
여기서의 교훈..
서해안 밀물때 물이 차오르는 속도는 상상외로 빠르다..
제부도 물때는 공지된 시각이 분 단위까지 아주 정확하게 맞는 것은 아니다..
도로 중간이 물에 잠긴 상태가 보여지면 안내요원이 통과를 허락해도
건널지 말지 신중히 생각할 것..
추후 세차는 기본..
이상입니다..
특히 수도권 가까운 곳에서는 제부도 드라이빙 많이들 하실 겁니다.
아시다시피 제부도는 섬이지만 간조때면 바닷물이 빠지고 포장도로가 드러나서
그 시간동안 차량 운행이 가능한 곳인데요.
일전에 도로가 폐쇄되려는 시각무렵 혼이 난 경험이 있어 주의를 요합니다..
가족들과 제부도 드라이빙가서 조개구이도 먹고 해변에서 사진도 찍고
애들 물장난도 좀 치고 그리고 해가 뉘엇뉘엇 넘어갈 무렵..
마침 미리 파악한 바닷길이 닫히려는 시각이 다 되었더군요.
밀물이 시작되면 육지로 돌아가는 도로가 물에 잠기기 때문에 서둘러 출발했죠
미리 알아본 도로 폐쇄 시각보다 약 5분~10분 가량 여유가 있었습니다.
섬과 육지를 연결하는 포장도로 시작점에는 안내요원이 바리케이트를
칠 준비를 하고 있었고 다른 차는 없었습니다.
내차가 접근하니 안내요원이 빨리 지나가라고 손짓을 하더군요. 내차가 마지막..
내가 지나치자 마자 도로진입을 안내요원이 막는 것을 룸미러로 확인하고...
그제야 전방을 멀리까지 볼 수 있었는데..
도로 중간에 이미 물이 조금 차 올라있고 저 멀리 스타렉스 한대가 부지런히 건너고
있더군요.
그때까지는 별 생각없이 그냥 도로를 따라 주행했습니다. 바닷물에 조금씩 잠긴
도로의 3분의 1지점에 도달했을때....
난 당황하기 시작했습니다. 도로가 안보이는 것이었습니다..
이 도로가 육지까지 직선으로 뻗어있지 않고 몇번의 S자 곡선을 그리고 있음을
상기해 보니 정말 진땀이 나더군요.
도로 주변에 원기둥 형태의 보호연석이 쫙 깔려 있는데.. 그것들마저 안보였습니다.
물이 차올라오는 속도가 장난이 아니었습니다. 입구에서 출발할때 보이던 연석들이
순식간에 시야에서 사라지니 오만가지 생각이 뇌리를 스치더군요. 되돌아가기도
너무 늦었고 뒤쪽 상황도 다를 바가 없고...
차를 버리고 걸어가야겠다는 생각이 제일 먼저 들었구요..
물이 차오르는 속도로 봐서 전방 500~600 미터.. 걸어서 약 5분 이상 소요될 듯한
육지를 보니...걷다가 분명 수영까지 해야할 판이었습니다..
최악의 경우 차를 포기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직감한 후..
남은 걱정은 수영할 줄 아는 사람이 나밖에 없는 가족들의 안위 뿐..
동승한 가족들은 지금 닥친 상황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고..
아직 알릴 때는 아니었죠.. 차를 버리기 전까지는..
일단 차로 갈 수 있는 만큼 최대한 가보고 결단을 내리기로 했습니다.
물은 범퍼를 치고 있었고.. 차를 멈추면 시동이 바로 꺼질 것같아
계속 악셀에 힘을 주면서 먼저 진행했던 스타렉스가 보여준 기동형태로
가상 곡선을 머릿속에 그리며 도로의 곡선 정도를 가늠하기 위해 애를 썼습니다.
그러나 눈을 감고 가는 것 마냥 점차 확신이 없어지면서..
연석에 충돌하거나 물에 잠긴 도로밑 1미터 아래의 더 깊은 물속으로 빠져들것
같은 불안감만 증폭되더군요
즉시 창문을 열고 머리를 최대한 밖으로 빼내어 물밑을 살펴보기 시작했습니다.
믿거나말거나지만 물이 어찌나 거무스름한지 날이 저문 시간때에 겹쳐
바닥은 전혀 보이지 않았고.... 그때 내 눈에 희망이 발견되었습니다.
도로 가장자리의 범퍼 높이 정도로 솟아있는 연석 맨 윗부분이 물속에서
희미하게 보였기 때문입니다. 아주 자세히 들여다 봐야 윤곽이 느껴질 정도지만
그거라도 얼마나 감사하던지..
차를 연석 부근에 붙이고 머리를 내밀고 연석만 보면서 핸들을 조작해 가다보니
드디어 연석이 물밖으로 머리를 내밀고 있는 구간까지 무사히 나올 수 있었습니다.
거기서부터는 그냥 아무 생각없이 물살을 가르며 육지로 달렸죠.
여기서의 교훈..
서해안 밀물때 물이 차오르는 속도는 상상외로 빠르다..
제부도 물때는 공지된 시각이 분 단위까지 아주 정확하게 맞는 것은 아니다..
도로 중간이 물에 잠긴 상태가 보여지면 안내요원이 통과를 허락해도
건널지 말지 신중히 생각할 것..
추후 세차는 기본..
이상입니다..
2006.07.01 11:34:05 (*.38.156.251)

으하... 정말 무서우셨겠네요. 네, 밀물때 물 차오르는 속도는 정말 순식간이지요. 꽃지해수욕장에서 밀물때 사진찍으면서 뒤로 주춤주춤 물러서던 생각이 나네요.
2006.07.01 11:37:47 (*.110.63.232)

한 번도 생각해보지 못했던 일이네요.
안재용 님의 침착한 대처가 빛을 발했던 것 같습니다.
조심해야겠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안재용 님의 침착한 대처가 빛을 발했던 것 같습니다.
조심해야겠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2006.07.01 11:43:02 (*.106.195.15)

밀물 들어오는 속도는 예상외로 빠릅니다 ..어렸을적 서해안갯벌에서 조개잡다 너무 깊이 들어겄더거 밀물때문에 나온다고 빨리나왔는데도 어느새 물이 허리이상 차버리더군요..
2006.07.01 13:39:22 (*.241.147.30)

진땀나는 상황이네요...ㅡㅡ;;
그럴때일수록 침착해야 하는데 막상 그러한 상황에 처하면 당황하기 일쑤지요. ㅜ.ㅜ
안재용님의 소중한 경험담으로 이미지 트레이닝 해야겠습니다.
그럴때일수록 침착해야 하는데 막상 그러한 상황에 처하면 당황하기 일쑤지요. ㅜ.ㅜ
안재용님의 소중한 경험담으로 이미지 트레이닝 해야겠습니다.
2006.07.01 16:09:53 (*.120.215.183)

차를 아끼시는 분들은 저런 곳은 최대한 피하시는게.. 염분에 노출되면 차체 노후의 지름길입니다.. 물이 빠진 시간이라고 해도 길에 고인 해수가 튀어서 차체의 부식을 가속시키죠.. 정말 차를 사랑하시는 분이라면 해수와는 멀리하시길..
2006.07.01 21:28:45 (*.127.196.133)
난감하죠... 정말... 전 몇년전 여름에 흙탕물에 갖혀서 같은 경험을 한적이 있습니다 정말 S곡선이 아닌 직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물이 덥혀서 길이 전혀안보이는 공포는 끔찍합니다 게다가 물깊이가 머플러까지 차고나니까 멈추면 끝짱이다란 생각에 더진행하니까 본넷까지 차오르는 흙탕물... 쫌있으면 떠내려가겠다는 생각에 액셀에 힘은가고 가끔씩 차가 안나가고 바퀴가 뜬것같은 느낌도 오고... 정말 무서웠습니다
2006.07.01 21:54:14 (*.88.94.236)
휴~~ 아찔한 경험이었겠습니다...
예전에도 비슷한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밀물 속도는 장난이 아니라고 하더군요.
예전에도 비슷한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밀물 속도는 장난이 아니라고 하더군요.
2006.07.02 02:10:32 (*.254.53.109)

전 영종도에서.. 실미도 들어가는 배 타는섬... 연결도로에서.. 물에 잠기진 않앗지만,, 파도가 무서워서.. 그자리에 멈출뻔 했습니다.. 그후론 .두번다시.. 그섬에 안갑니다..
2006.07.03 09:42:13 (*.144.184.106)

제부도 근처(20km 이내)에 살다보니 남예기 같지 않네요.
침착한 상황판단 훌륭하십니다. 혹시 다른 분들도 놀러가실때 한번 연락주세요.
침착한 상황판단 훌륭하십니다. 혹시 다른 분들도 놀러가실때 한번 연락주세요.
2006.07.03 13:37:07 (*.106.65.125)

침착한 대처가 돋보이네요. 글을 읽으면서 정말 긴장감이 엄청나더군요.
비슷한 상황을 만나면 저라면 안재용님처럼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었을지 판단이 안섭니다.
애마가가 물에 잠기는 상황 상상도 하기 싫습니다.
비슷한 상황을 만나면 저라면 안재용님처럼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었을지 판단이 안섭니다.
애마가가 물에 잠기는 상황 상상도 하기 싫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