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얼마전 TDI 엔진(170마력 PD방식)의 시동꺼짐 현상으로 질문 했었는데요
역시나 인젝터가 맛이 갔습니다.
고속화도로 주행중에 그냥 차가 서버려서 엄청 위험했다고 그러시네요...
센터에 입고하니 인젝터 고장이라고, 교체해준다는데....1개만.....ㅡ.ㅡ+
대신 동일증상 또 있으면, 보증기간 지나도 4개 교체 해주신다는데.....감사(?)
문서로 받아야 할지...그냥 믿어도 될지....=.=
여튼 보쉬에 다니는 지인이...항상....인젝터의 내구성에 대해 얘기했었는데...
그래서 더더욱 소모품이라고 생각은 하는데....6만에 나가는건 좀 아닌듯 합니다.
아무리 소모품이고 운이 없어도 10만 이상은 버텨야 하는거 아닌지.....쩝.....

피엔조타입 인젝터 이기에 고성능이지만 그만큼 민감하다는 문제가 있네요...
주행거리에 따라서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한것 같습니다...
구형 인젝터 재생품이 품질이 거의 새제품과 큰차이를 안보이더군요....
그래서 그냥 전체적으로 대품 교환조간으로 정비시 효과가 좋은것 같네요...
아직 보증기간이기에 무리가 없지만 보증기간 이후에는 부담감이 높을뜻하네요...
저도 170마력 gt tdi를 운행하고 있습니다. 저도 똑같은 경험으로 고속도로에서 시동 꺼짐이 발생했는데 인젝터를 교환했습니다. 필히 문서로 받아놓으시길 바랍니다.

저역시 170마력 TDI를 운행하고 있습니다. PD타입이구요.
7만8천에서 인젝터가 나갔습니다. 주행중이 아니라 곱게 시동이 안결렸습니다.
저 역시 같은 답변을 듣긴했습니다만 보증기간 만료가 다가와서 좀 무섭네요.

당연히 설계목표상으론 16만키로 이상일겁니다만.... 보쉬 인젝터 보증기간(카 메이커에 납품시 맺는 warranty계약)이 3년/6만키로였는데...(vw쪽은 정확히 모르겠고 몇년 전까지 대부분의 메이커에 대해 실시하던 보증기간 이었습니다..) 어떻게 보면 기가 막히게 설계? 한거라고 말 할 수도 있고... ㅡ,.ㅡ 그렇네요.
일단 사용환경에 따라 차이는 있습니다만 인젝터는 소모품이 맞고 신품 교환하실 필요 없이 bosch 서비스점에서 수리가 가능합니다. 노즐 교환하고 내부 세척하고 조립하는데 성능 검사 다 하고 그렇기 때문에 신품과 차이는 없고요.
보통 디젤 인젝터의 상태가 안좋아지는 이유는 노즐 끝단에 카본 등 deposit이 쌓여 분사량이 흐뜨러져서 그런거고 그로 인해 연소가 불균형해져 열로 인해 노즐에 damage를 주기 때문입니다. 노즐만 바꾸는 리페어로 전혀 문제 없고 정신 건강상 8만키로 정도를 주기로 실시해주시면 좋습니다.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인젝터 신품교환과 비교하면 많이 저렴할 겁니다..
다만 이번엔 센터에서 확약을 했으니 문서 등으로 확보하셔서 나중에 교환받을 수 있게 안전장치를 해 놓으시길 권해드립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운영되는 디젤차량들이 egr밸브 쪽에 슬러지가 많이 끼어 엔진소음이 증가하고 덜덜거리는 일이 많으니 6만키로 정도 운행하셨다면 egr밸브 클리닝을 해 주시면 좋겠네요..

완전 자세한 답변 너무 감사 드립니다.
노즐만도 그렇게 할 수 있군요...^^ 근데, 고장 나고나서 하는 거죠? 미리 할 필요까진 없을듯 해서요 ^^
다시 문의를 하니....문서로 남겨주지는 않네요...저도...모...벌어지지 않을지도 모르는 일에대해
빡빡하게 굴고 싶지 않아...그냥 잠시 잊으려고 합니다~~~~~
인젝터 1개와 배선을 4개 싹 갈았다고 하는데.....생각해보니 배선의 문제로 인젝터에 무리가
가서 그런일이 벌어지지 않았나 하는 의혹이 듭니다. 배선 품번의 리비젼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을듯 합니다.
egr 클리닝은 어디가서 하면 좋을까요? 센터에서도 하나요?

배출가스관련 부품 (인젝터 고압펌프, 각종센서류, 커먼레일(EUI 타입제외) 심지어 ECM 까지 대기환경법 하에 보증기간이 16만에 6년인가 정도 법으로 A/S 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Euro4 이후 차량.
ㅎㅎ
아... 왠지 가슴이...
벌써부터 걱정이 되는건 저만은 아닐것 같다는... ㅡ.ㅡ;;
(답변이 아니어서 죄송합니다... 저는 싼타페 2.2인데, 4만넘은... 암튼 지난주 스캐너에는 완전 깨끗하다고만 나오던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