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부모님 내외분과 저는 지난 11일 새벽 6시 완도를 향해 출발합니다.

전날인 10일 완도항에 전화를 걸어 태풍으로 인해 배가 다음날 제주도로 뜰 수 있느냐는 질문에 11일 9시 이후에 다시 전화를 해보라는 말을 들었지만 출발을 지체할 수는 없었습니다. 만약 완도가 안되면 목포나 부산을 통해서 제주로 들어가 수 있기 때문에 일단 최대한 빨리 전라도 주변으로 도착하는 것이 관건이었습니다.

오전 10시쯤 전화를 걸어 확인해보니 완도항에서 제주로 페리가 출항한다는 소식에 일단 안도합니다. 내려가는 동안에는 비를 만나지 않았습니다.

목포를 지나면서 쏟아지기 시작하는 빗줄기는 시간당 40mm이상이었고, 물살을 가르며 달리는데, 맞은편 도로에서 양동이로 퍼붓는 듯힌 물세례를 숫십차례 당하면서 겨우 완도항에 도착할 수 있었습니다.

완도항에 도착했을 당시

주유를 한 후 주유소에서 근처에 맛있는 집 없냐고 하니까 주유소 지인으로 보이는 분이 자기들도 점심 먹으로가는데, 매운탕 먹고 싶으면 자기를 따라오라고 해서 앞차를 따라가고 있는 중입니다.

차량을 배에 싣기 위해서는 여객터미널 대신 위의 사진이 보이는 사무실에서 표를 사야합니다. 카드 결제는 안되며, 현찰로 지불해야합니다.

완도발 제주행 페리의 모습

제주까지 배로 가장 가까운 곳이 완도입니다. 완도에서 제주까지 국산 소나타 기준으로 10만원이며, 수입차라고하니까 12만원 조금 넘게 받았습니다. 아마 배기량이 2000cc이상이었다면 더 불렀을 수도 있기 때문에 배기량이 큰 수입차라면 그냥 2.0 수입차라고하는 것이 나을 것 같습니다. 배기량이 달라지는 것으로 인해 어떤 보험혜택이라든지 기타 설명이 전혀없기 때문에 요금 기준이 상당히 모호하게 느껴집니다.

차로 배안으로 진입하는 모습입니다.

차를 안쪽에 주차시키면 바닥에 고임목을 받쳐줍니다.

페리는 제법 큰 배이기 때문에 왠만하면 배멀미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차를 싣는 화주는 운임이 50%로 할인되며, 일반인은 21000원을 내면 제주까지 갈 수 있습니다. 경로우대는 20% 입니다.

제가 완도항에서 배시간전에 사용했던 동전 인터넷입니다. 100원에 4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의 두사진은 선실의 모습입니다. 먼저 자리를 잡은 분들이 누워버리기 때문에 의외로 금방 사람이 차버립니다. 그리 지저분하지는 않지만 카펫에서 약간의 냄새는 나는 것 같지만 뭐 호화 크루즈도 아닌데, 3시간 타는 배라면 충분히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2층 갑판으로 향하는 곳에는 아쉽지만 테이블이 있어서 저희 3식구는 여기에 앉았습니다.

밖에 나가면 의자가 있지만 비가 많이 와서 밖에는 거의 나가지 못했습니다.

제주에 거의 다다랐을 때의 사진입니다. 3시간은 그리 지루하지 않고, 신문이나 책보면서 금방 보낼 수 있는 시간입니다.

제주항과 제주 공항은 5분거리에 있습니다. 제주에 거의 다다르자 이륙하는 비행기를 자주 볼 수 있었습니다.

까까머리 쌍둥이 아이들이 둘이서 제주도를 여행하나봅니다.

배를 파킹하는 장면입니다.

보이시는 밧줄을 던져 먼저 항쪽에 건 후 배쪽에서 밧줄을 잡아당겨 항쪽에 완전히 붙입니다.

제주항에 도착한 후 차를 뺄때는 후진으로 나와서 차를 배 안에서 돌려야합니다.

배에서 차를 뺀 후 나머지 차량들이 나오는 장면을 찍은 사진입니다.

저희가 제주항에 도착할 무렵 와이프와 여동생이 제주공항에 무사히 도착했다는 전화를 받습니다. 제주공항에서 만난 반가운 얼굴들...

인원 5명이 4박 5일동안 사용할 짐으로 트렁크가 완전히 꽉차버렸습니다.

제주의 여행은 이렇게 시작됩니다.
비행기로 가서 차를 렌트하는 방법도 좋지만 차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자신의 애마로 제주에 가볼만한 것 같습니다.
to be continued...
-testkwon-
- 1.jpg (105.7KB)(22)
- 2.jpg (117.1KB)(5)
- 3.jpg (97.7KB)(2)
- 4.jpg (94.1KB)(1)
- 5.jpg (146.9KB)(3)
- 6.jpg (75.5KB)(1)
- 7.jpg (92.7KB)(3)
- 8.jpg (109.6KB)(2)
- 9.jpg (135.0KB)(4)
- 10.jpg (125.3KB)(2)
- 11.jpg (141.7KB)(1)
- 12.jpg (99.5KB)(1)
- 13.jpg (110.5KB)(1)
- 14.jpg (137.0KB)(1)
- 15.jpg (164.5KB)(1)
- 16.jpg (126.1KB)(1)
- 17.jpg (134.3KB)(1)
- 18.jpg (121.1KB)(1)
- 19.jpg (123.8KB)(1)
- 20.jpg (135.5KB)(2)
- 21.jpg (46.9KB)(1)
- 22.jpg (205.6KB)(3)
- 23.jpg (211.9KB)(2)
- 24.jpg (177.8KB)(1)
- 25.jpg (175.1KB)(1)
- 26.jpg (110.8KB)(4)
- 27.jpg (152.6KB)(2)
- 28.jpg (166.8KB)(1)
- 29.jpg (126.7KB)(2)
2006.07.17 12:09:45 (*.198.55.123)

차를가지고 배로 제주도 여행할일은 생각만 해봤었는데... 한번 도전해볼만 하겠네요^^ 온가족이 함께가는 여행. 즐거우셨겠습니다.
2006.07.17 12:21:20 (*.72.233.241)

지난 여름 휴가때 배로 실어날라볼까 생각만 했는데, (제 입장에선) 의외로 경비가 비싸고 배에 싣고 가는 시간이 꽤 길어서 포기했었는데 완도가 있었군요. @@;;
2006.07.17 13:00:40 (*.120.11.220)
저도 도전해 봐야겠습니다..^^
그런데 2.6뱃지는 확인하지 않나보네요..ㅋㅋ
저도 2.0이라 해야겠습니다..
친절한 설명 감사드립니다..다음편도 기대할께요..
그런데 2.6뱃지는 확인하지 않나보네요..ㅋㅋ
저도 2.0이라 해야겠습니다..
친절한 설명 감사드립니다..다음편도 기대할께요..
2006.07.17 13:50:17 (*.120.109.81)
완도항에서는 시간이 얼마 안 걸리는군요. 부산항에서 제주항까지는 밤 7~8시쯤 출항해서 다음날 아침 6~7시쯤 도착....12시간 족히 걸렸던 것 같습니다.
2006.07.17 19:00:44 (*.145.76.171)

대딩때 스쿠버원정 다닐땐, 경비절감을 위해 목포까지 완행열차로 이동.. 제주,홍도,추자도등을 노상 배로 다닌 기억이 새록하군요. 서귀포에서 부산왕복하는 18시간짜리 통통배 '동해호'는 무지 구리고 진짜 지루했죠. 자다~술마시다~니발바닥내발바닥 하다~ 자다깨다 해야 다음날 부산에 도착합니다. 차싣고 다닌건 영종도 경기하러 노상 왕복..30분밖에 안가니 뭐..^^
시간은 걸려도 경비를 절감할수 있는 방안이 있습니다.
월미도에서 제주로 가는 배가있는데, 거기에 차를 실으면 완도까지 이동하는 기름값과 비교..적게든답니다. 단지..20시간정도 걸리는걸로 아는데, 여럿이 배로 이동할땐..시간성에 구애받지않고 엠티같은 분위기를 즐길 수 있어 좋습니다. 사진들 보니..넘 좋네요.^^
시간은 걸려도 경비를 절감할수 있는 방안이 있습니다.
월미도에서 제주로 가는 배가있는데, 거기에 차를 실으면 완도까지 이동하는 기름값과 비교..적게든답니다. 단지..20시간정도 걸리는걸로 아는데, 여럿이 배로 이동할땐..시간성에 구애받지않고 엠티같은 분위기를 즐길 수 있어 좋습니다. 사진들 보니..넘 좋네요.^^
2006.07.17 22:27:36 (*.127.196.133)
제주도 차가지고 가야죠... 꼭... 언젠가... 반드시... ^^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제주도는 해뜰무력 새벽에 차없을때 드라이브하는 기분이 제일인거 같아요 ^^
2006.07.18 00:17:32 (*.228.58.162)
가족끼리 완도에서 제주가는 배를 타시려면 되도록 1등실을 권하고 싶네요.
1등실은 윗층에 각 방으로 되어있고 마루바닥이 아닌 침대가 있어서 3-4시간 이지만 편안하게 갈수가 있습니다.
친구들끼리는 홀에서 이야기 하고 놀면서 가면 좋지만 아이가 있는 가족이라면, 마루바닥은 많이 불편하더군요. 특히 사람이 많을때는...
1등실은 윗층에 각 방으로 되어있고 마루바닥이 아닌 침대가 있어서 3-4시간 이지만 편안하게 갈수가 있습니다.
친구들끼리는 홀에서 이야기 하고 놀면서 가면 좋지만 아이가 있는 가족이라면, 마루바닥은 많이 불편하더군요. 특히 사람이 많을때는...
2006.07.18 09:55:56 (*.219.0.69)

인천 연안부두에서 제주항으로 왕복하는 페리가 있습니다. 오후 5시 승선해 다음날 오전 7시쯤에 내리게 됩니다. 사실 그리 추천하고 싶지는 않습니다만, 색다른 경험은 됩니다. 인천항을 떠나면서 노을 빛 바다를 실컷 보기도 하고, 아이들이 어리다면 배를 타고 제주에 가는 것도 신기한 경험이 됩니다.
제주에서 4일 이상 머무실 계획이라면, 인천에서 배를 타고 제주로 출발하시고, 제주에서 나올 때는 완도로 나와 육로를 이용하는 것이 좋겠네요.
연안부두에서 본 사람들은 자전거를 이용해 제주도 투어를 가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성인이 3만원을 안넘었던 기억입니다. 배안에서 식사도 하고, 괜찮은 경험이었습니다.
다만 수입차는 운송비가 꽤 비싸기 때문에 장기간 머물 계획이 아니라면 비추입니다. 비행기값+렌트비와 페리 왕복 승선료를 비교해 어느쪽이 이득인지를 잘 따져 보셔야 합니다. 여름철에는 아무래도 승선인원이 많아 미리 선금을 보내야 하므로 예산의 압박도 있습니다. ㅡㅡ; 대신 제주도에서 내 차로 마음껏 드라이브가 가능하다는 점이 장점이죠. 전 작년에 그랜드체로키를 가지고 제주도에 방문, 제주 지역 오프로드까지 신나게 돌고 온 기억입니다.
제주에서 4일 이상 머무실 계획이라면, 인천에서 배를 타고 제주로 출발하시고, 제주에서 나올 때는 완도로 나와 육로를 이용하는 것이 좋겠네요.
연안부두에서 본 사람들은 자전거를 이용해 제주도 투어를 가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성인이 3만원을 안넘었던 기억입니다. 배안에서 식사도 하고, 괜찮은 경험이었습니다.
다만 수입차는 운송비가 꽤 비싸기 때문에 장기간 머물 계획이 아니라면 비추입니다. 비행기값+렌트비와 페리 왕복 승선료를 비교해 어느쪽이 이득인지를 잘 따져 보셔야 합니다. 여름철에는 아무래도 승선인원이 많아 미리 선금을 보내야 하므로 예산의 압박도 있습니다. ㅡㅡ; 대신 제주도에서 내 차로 마음껏 드라이브가 가능하다는 점이 장점이죠. 전 작년에 그랜드체로키를 가지고 제주도에 방문, 제주 지역 오프로드까지 신나게 돌고 온 기억입니다.
2006.07.18 17:52:49 (*.219.73.141)

저도 7월말에 차를 가지고 제주 가려고 7월초에 알아봤는데 완도 - 제주 , 목포 - 제주 , 인천 - 제주 서울 출발 기준으로는 3가지 방법중 목포에서 가는게 가장 저렴합니다. 객실(1등실~3등실)에 따라 왕복운임으로 가격 편차가 인원에 따라 몇 십만원 단위로 커집니다. 목포에서 출발하는 배편은 차량 선적시 운전자 50% 할인이 되고, 인천에서 출발하는 배편은 차량 선적시 여객요금 26,000원 할인 (승용차:3인,승합차:6인할인)
인천에서는 차량 운임이 왕복 45만원 가량, 완도와 목포는 왕복 20~26 만원 정도이며 시간은 인천 12시간, 완도는 3시간 목포는 4시간30분. 서울 출발 기준 목포에서 완도까지 승용차 소요시간과 왕복 유류비를 계산한다면 시간적으로나 비용적인 면에서 목포에서 타는게 가장 유리하다는 결론 입니다.
20만원 주유로 왕복 계산 한다면 주행 스타일에 따라 추가되는 유류비용이 인천에서 출발하는 것보다 못 할 수도 있지만 12시간 배를 타야되는 지루함+운송료 보다는 오가는 길에 만날지로 모르는 알수 없는 차량과의 조우등 고속도로 게임비가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목포 배편은 am 9:00 , pm 1:00 매일 있습니다. 항만청 직원 같네요. ^^;
인천에서는 차량 운임이 왕복 45만원 가량, 완도와 목포는 왕복 20~26 만원 정도이며 시간은 인천 12시간, 완도는 3시간 목포는 4시간30분. 서울 출발 기준 목포에서 완도까지 승용차 소요시간과 왕복 유류비를 계산한다면 시간적으로나 비용적인 면에서 목포에서 타는게 가장 유리하다는 결론 입니다.
20만원 주유로 왕복 계산 한다면 주행 스타일에 따라 추가되는 유류비용이 인천에서 출발하는 것보다 못 할 수도 있지만 12시간 배를 타야되는 지루함+운송료 보다는 오가는 길에 만날지로 모르는 알수 없는 차량과의 조우등 고속도로 게임비가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목포 배편은 am 9:00 , pm 1:00 매일 있습니다. 항만청 직원 같네요. ^^;
2006.07.18 18:07:35 (*.37.198.195)
완도항에서 운송비를 검색해보니.... 아우디는 리스트에 없어서 가격이 저렴하게 책정된듯 합니다. 리스트에 있는 BMW는 16 - 17만원 가량하네요. ^^ 된장~ 가서 말 잘하면 해결될까요? ^^
2006.07.18 18:38:38 (*.219.73.141)

완도와 목포는 수입차 관련 운송료 표기가 없습니다.
인천항에서 출발하는 배편에는 편도기준으로
국산승용 15~21만원이며
외제승용 2,000cc미만 267,824원
외제승용 2,500cc미만 301,302원
외제승용 2,500cc이상 334,780원
인천-제주 , 국산-외제 (비교하시면 대략적인 추정 가격산출)
http://www.cmcline.co.kr/schedule/popup/cargo_rates.htm
인천항에서 출발하는 배편에는 편도기준으로
국산승용 15~21만원이며
외제승용 2,000cc미만 267,824원
외제승용 2,500cc미만 301,302원
외제승용 2,500cc이상 334,780원
인천-제주 , 국산-외제 (비교하시면 대략적인 추정 가격산출)
http://www.cmcline.co.kr/schedule/popup/cargo_rates.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