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최근들어 자전거의 수송 분담률에 대한 기사나, tv프로그램들이 많이 방송되고(주로심야-.-) 있습니다
저또한 산악자전거를 즐기고 있기에 관심이 무척이나 가더군요
프로그램이나 기사의 요지는 자전거이용을 장려해서 교통량,체증,매연을 줄이고 더불어 건강도 챙겨보자 하는식의 내용입니다
자전거를 이용해 출퇴근 할때의 장점은 위에서 언급했던 것들이고,
우리의 숙제 단점은 차도 이용시 사고의 위험성, 자전거 주차 문제, 비용
자전거 주차 문제 : 도난의 위험성이 큽니다 맘만 먹으면 낼름 들고가 버리죠~ 일본의 경우 자전거 주차타워가 있더군요
비용 : 산악자전거 메니아 중심으로 캠페인이 진행되다 보니 비싼 용품(계절별로 장만하면 100만원은 가볍게 넘어갑니다) 고가의 자전거가 (1000만원 짜리 요즘 한강 나가면 많이 볼수있고 4000만원 짜리도 있답니다) 시작하려는 사람들의 발목을 잡습니다 나도 쫄바지에 쫄티 입고 헬멧쓰고 고글끼고 쇼크업쇼버 달린 자전거로 시작해야하나?? 출퇴근이 목적이라면 정장에 10만원대 자전거라도 충분합니다
사고의 위험성 : 자전거를 타고 도로를 달리다 보면 거짓 조금도 안보태고 생명의 위협을 느끼는 순간이 꼭 찾아옵니다 제일 하위 차선으로 교차로를 건너자면 우회전하려는 차들의 위협, 각종 차량의 들이대기, 차량 위주의 도로체계 차와 같이 고가도로를 넘어야 하는 일도 있습니다 다리가 후달리죠...
어느 기사의 내용을 조금 빌리자면 농촌의 국도변에서 경운기가 차선을 차지하고 천천히 가도 비키라고 빵빵거리는 사람은 없다고 합니다
이제는 도로에서 자전거가 달리고 있다해도 빵빵거리지 안아야 하고 그렇게 되길 빌어봅니다
저또한 산악자전거를 즐기고 있기에 관심이 무척이나 가더군요
프로그램이나 기사의 요지는 자전거이용을 장려해서 교통량,체증,매연을 줄이고 더불어 건강도 챙겨보자 하는식의 내용입니다
자전거를 이용해 출퇴근 할때의 장점은 위에서 언급했던 것들이고,
우리의 숙제 단점은 차도 이용시 사고의 위험성, 자전거 주차 문제, 비용
자전거 주차 문제 : 도난의 위험성이 큽니다 맘만 먹으면 낼름 들고가 버리죠~ 일본의 경우 자전거 주차타워가 있더군요
비용 : 산악자전거 메니아 중심으로 캠페인이 진행되다 보니 비싼 용품(계절별로 장만하면 100만원은 가볍게 넘어갑니다) 고가의 자전거가 (1000만원 짜리 요즘 한강 나가면 많이 볼수있고 4000만원 짜리도 있답니다) 시작하려는 사람들의 발목을 잡습니다 나도 쫄바지에 쫄티 입고 헬멧쓰고 고글끼고 쇼크업쇼버 달린 자전거로 시작해야하나?? 출퇴근이 목적이라면 정장에 10만원대 자전거라도 충분합니다
사고의 위험성 : 자전거를 타고 도로를 달리다 보면 거짓 조금도 안보태고 생명의 위협을 느끼는 순간이 꼭 찾아옵니다 제일 하위 차선으로 교차로를 건너자면 우회전하려는 차들의 위협, 각종 차량의 들이대기, 차량 위주의 도로체계 차와 같이 고가도로를 넘어야 하는 일도 있습니다 다리가 후달리죠...
어느 기사의 내용을 조금 빌리자면 농촌의 국도변에서 경운기가 차선을 차지하고 천천히 가도 비키라고 빵빵거리는 사람은 없다고 합니다
이제는 도로에서 자전거가 달리고 있다해도 빵빵거리지 안아야 하고 그렇게 되길 빌어봅니다
2006.07.26 18:29:15 (*.147.181.101)

지금은 안타지만 MTB타고 산으로 들로 다녔었습니다. 산으로 들로 다닐때는 좋은데 도로로 나오면 운전자들의 고의적인 위협에 시달립니다. 괜히 스쳐지나듯 쌩~하거나 매연을 뿜거나 빵빵 거리거나하죠. 자전거가 도로로 다니니 위험하기도 하고 짜증나기도 하겠지만 자전거는 법규상 차로 간주되어 인도로 다니다 인사사고가 나면 곤란한 상황이 옵니다. 보험이 있는것도 아니고. 도로에서 자전거 라이딩 자체가 스트레스였죠.
2006.07.26 18:41:20 (*.133.190.124)

저도 저렴한MTB를 타지만 도난도 매우 짜증나더군요 ㅠㅠ 출퇴근용으로도 쓰는데 그새 훔쳐가더군요;;; 극도의 분노가;;;
2006.07.26 20:46:54 (*.113.131.60)
저는 자전거로 와인딩 -_-;;
학원에서 저희집까지 직각 내리막이라, 바이크 코너링 하듯 -_-;; 꺽으면
타이어에서 지지지지직~~ 하는 소리,, 참 불쾌합니다.
그렇게 한달간 타니 지금은 림이 휘었습니다. ㅋㅋ
그리고 자전거로 와인딩을 할시 쇼버 달린걸론 불가능입니다.
제끼는데 쇼버가 들어가면 다쳐요 ;;
학원에서 저희집까지 직각 내리막이라, 바이크 코너링 하듯 -_-;; 꺽으면
타이어에서 지지지지직~~ 하는 소리,, 참 불쾌합니다.
그렇게 한달간 타니 지금은 림이 휘었습니다. ㅋㅋ
그리고 자전거로 와인딩을 할시 쇼버 달린걸론 불가능입니다.
제끼는데 쇼버가 들어가면 다쳐요 ;;
2006.07.26 20:53:01 (*.121.243.137)

사실 전 국민학교(요즘 말하면 무서운 초딩시절..특히 방학이 더 무섭다죠? ㅎㅎ)때부터 자전거 진입이 금지된 강변북로가 제 주요 자전거 하이킹 코스였답니다. 집이 바로 거기 코앞이라 거의 매일 강북강변에 진입하곤 했으니까요..두무개길을 통해 진입한 강변북로를 통해서 구리, 의정부, 일산부근까지 서울 동서남북을 모두 휘젓고 다녔습니다. 과거에도 거긴 자동차 전용도로라서 이륜차 등 자전거 진입금지 표지판이 분명 있었지만 어린나이에 별로 의식하지 않고 다녔고 자주 마주치던 순찰차도 아무런 제지를 한적도 없었죠. 그런데 요즘 들어서는 그냥 집앞 일반 도로에서조차 자전거타기가 무섭습니다. 그만큼 철이 들고 많은 것을 알게 되어서 그런가봅니다. 초등학교 다니는 큰아들이 만일 자전거로 지금의 강북강변이나 88도로 등을 다닌다고 한다면.. 과연 과거의 나를 떠올리면서 대범하게 참고 지나갈 수 있을지 요즘도 가끔식 스스로에게 물어보곤 합니다.
2006.07.26 21:10:18 (*.205.184.43)

저는 항상 최하위차선에 자전거가 있으면 뒤에서 가볍게 빵빵합니다. 차가 지나간다는 신호라고 할 수 있죠.. 나름의 안전장치입니다.
MTB 자전거들은 대다수가 사이드 미러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도로를 주행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가끔 호루라기 입에 물고 삑삑 거리면서 당당하게 차선을 다니시는 자전거 무리들이 있던데 솔직히 아주 매우!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자전거 옆에 지나갈때마다 저놈이 내쪽으로 넘어지면 어떡하나 하고 조마조마합니다. 완전 맨몸이나 다름없는 쫄티에 쫄반바지..보호구라고는 헬멧하나 달랑쓰고 다니면서 내차 바로 앞에서 휙 넘어져버리면! 상상만 해도 아찔... 아무리 차량 운전자가 주의해도 과실치사의 혐의 덮어쓰기 딱 좋죠...
개인적인 생각으로 자전거 전용도로가 아닌 일반도로에서 자전거 주행은 아주 이기적이며 위험한 발상이라고 생각하며 좀 자제하시는게 좋지않을까 합니다.. 물론 바이크도 마찬가지라고 하실수도 있겠지만 무동력에 안전장치 없는 자전거는 정말이지...--;
MTB 자전거들은 대다수가 사이드 미러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도로를 주행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가끔 호루라기 입에 물고 삑삑 거리면서 당당하게 차선을 다니시는 자전거 무리들이 있던데 솔직히 아주 매우!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자전거 옆에 지나갈때마다 저놈이 내쪽으로 넘어지면 어떡하나 하고 조마조마합니다. 완전 맨몸이나 다름없는 쫄티에 쫄반바지..보호구라고는 헬멧하나 달랑쓰고 다니면서 내차 바로 앞에서 휙 넘어져버리면! 상상만 해도 아찔... 아무리 차량 운전자가 주의해도 과실치사의 혐의 덮어쓰기 딱 좋죠...
개인적인 생각으로 자전거 전용도로가 아닌 일반도로에서 자전거 주행은 아주 이기적이며 위험한 발상이라고 생각하며 좀 자제하시는게 좋지않을까 합니다.. 물론 바이크도 마찬가지라고 하실수도 있겠지만 무동력에 안전장치 없는 자전거는 정말이지...--;
2006.07.26 22:02:08 (*.176.232.99)

한국에선 자전거 타고 다니기 위험해요. -ㅅ- 중국은 자전거 하나 있으면 온 도시를 다 싸돌아 댕기죠.-0- 아에 도로 만들때부터 한차선은 자전거 도로로 만드니... 솔찍히 정상수온까지 도달 못할 정도의 거리라면 정말 자전거 타고 싶은데... 아무리 생각해도 한국은 위험해요. 국도로 MTB타고 댕기시는 분들 정말 깡다구 죽인다고 생각 합니다. 싸이클이라면 속도차 크지 않기때문에 조금 더 안전할건데... 하긴 엉덩이가 아프긴 하죠.
2006.07.27 11:06:36 (*.112.181.227)

자전거를 자주 타고, 자전거 동호회에서도 활동하는 저는.
자전거와. 차가 공생했으면 좋겠네요.
"자전거" 역시 ...차에 해당하는 "운송장치" 입니다. 따라서 도로 운행이 합법적입니다.
가끔 1차선에서 좌회전도 합니다. 물론 1차선 좌회전후 ..가장 우측 자리에 붙습니다.
차들이. 위협하지 않는한 잘 넘어지지 않습니다. 정해진 룰을 따르는게 이기적인지는 모르겟습니다.
자동차와 어울려. 공생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갓길에 차를 피해 요리 조리 자전거가 문제 일까요? ....갓길을 막고있는 불법 차량이 문제 일까요?...
무동력이지만, 도심에서는 또는 한강변을 따라서는. 차보다 더 빠르기도 하며,(야구보러 여의도서 잠실로 갔을때 차보다도 훨~~ 빠르더라구요 ^^).
자전거도 . 엄연히 브레이크등의 제어장치가 있는데 ^^.
한번 타보시면, 편견과. 뱃살이 줄어드실껍니다. ^________^
이상. 유사 MTB타는 회원이었습니다. ㅋ
자전거와. 차가 공생했으면 좋겠네요.
"자전거" 역시 ...차에 해당하는 "운송장치" 입니다. 따라서 도로 운행이 합법적입니다.
가끔 1차선에서 좌회전도 합니다. 물론 1차선 좌회전후 ..가장 우측 자리에 붙습니다.
차들이. 위협하지 않는한 잘 넘어지지 않습니다. 정해진 룰을 따르는게 이기적인지는 모르겟습니다.
자동차와 어울려. 공생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갓길에 차를 피해 요리 조리 자전거가 문제 일까요? ....갓길을 막고있는 불법 차량이 문제 일까요?...
무동력이지만, 도심에서는 또는 한강변을 따라서는. 차보다 더 빠르기도 하며,(야구보러 여의도서 잠실로 갔을때 차보다도 훨~~ 빠르더라구요 ^^).
자전거도 . 엄연히 브레이크등의 제어장치가 있는데 ^^.
한번 타보시면, 편견과. 뱃살이 줄어드실껍니다. ^________^
이상. 유사 MTB타는 회원이었습니다. ㅋ
2006.07.27 11:07:48 (*.112.181.227)

ㅎㅎ 그리고. 사고나면. 과실치사 아닐껍니다. "차대차" . 사고로 처리 되어 질껍니다. !
ps. 주변에 보면. 제일 많이 나는 사고는.... 운전자가 올바르게 확인하지 않고 바로 우회전 하거나... ... 불법주차후 안전확인 하지 않고. 문을 확 열는 행동이 제일 많아요 ^^.
ps. 주변에 보면. 제일 많이 나는 사고는.... 운전자가 올바르게 확인하지 않고 바로 우회전 하거나... ... 불법주차후 안전확인 하지 않고. 문을 확 열는 행동이 제일 많아요 ^^.
2006.07.27 11:10:06 (*.112.181.227)

따라서, 오늘도 (사실 오늘은 비가왓지만 -_-).... 당당하게 차선을 달립니다. ^^.
ps. 작년까진 차로. 남산에 가끔갔었는데, 요즘은 남산에 자전거를 타고 올라가서 내려오면 가끔 50km/h를 찍어보면. 정말 정말 쉬원하답니다. + 굵어지는 허벅지. -_-;;;
ps. 작년까진 차로. 남산에 가끔갔었는데, 요즘은 남산에 자전거를 타고 올라가서 내려오면 가끔 50km/h를 찍어보면. 정말 정말 쉬원하답니다. + 굵어지는 허벅지. -_-;;;
2006.07.27 13:04:15 (*.147.181.101)

경복님 말씀에 한표. 저도 위에 적었지만 자전거의 도로주행은 불가피합니다. 자전거가 차로 규정되는 법규정도 그렇고 자전거의 속도(평속40이상)가 인도로 달리기에는 상당합니다.
도로가 차들만의 것이라는것은 절대적으로 잘못된 생각입니다. 워낙 우리 나라에 자전거가 담당하는 교통분담률이 낮고 이미지가 '애들이 타는 놀이 수단'으로 박혀 있어 그렇지 고유가와 환경오염에 대처할 수 있는 가장 완벽한 교통수단입니다.
자전거가 잘 가다가 넘어져서 차랑 사고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가끔 국도에 술한잔 하시고 설렁설렁 자전거 타시는 영감님들이나 위험지각능력이 없이 어린이들이 그런 잠재적 사고요소를 가지고 있을 수 도 있습니다만 '도로를 달리는' 자전거 사고의 대부분은 운전자의 과실입니다. 경복님 말씀처럼 확인도 안하고 문을 확 열거나 우회전하면서 밀어버리는 경우가 99%였다는걸 저도 동호회 활동하면서 확인 했습니다.
제대로된 자전거 도로가 갖춰지면 가장 좋겠습니다만은 그렇지 못하다면 자동차 운전자들의 의식변화가 가장 필요한거 같습니다. 도로는 차들만의 것이 절대 아니니까요.
도로가 차들만의 것이라는것은 절대적으로 잘못된 생각입니다. 워낙 우리 나라에 자전거가 담당하는 교통분담률이 낮고 이미지가 '애들이 타는 놀이 수단'으로 박혀 있어 그렇지 고유가와 환경오염에 대처할 수 있는 가장 완벽한 교통수단입니다.
자전거가 잘 가다가 넘어져서 차랑 사고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가끔 국도에 술한잔 하시고 설렁설렁 자전거 타시는 영감님들이나 위험지각능력이 없이 어린이들이 그런 잠재적 사고요소를 가지고 있을 수 도 있습니다만 '도로를 달리는' 자전거 사고의 대부분은 운전자의 과실입니다. 경복님 말씀처럼 확인도 안하고 문을 확 열거나 우회전하면서 밀어버리는 경우가 99%였다는걸 저도 동호회 활동하면서 확인 했습니다.
제대로된 자전거 도로가 갖춰지면 가장 좋겠습니다만은 그렇지 못하다면 자동차 운전자들의 의식변화가 가장 필요한거 같습니다. 도로는 차들만의 것이 절대 아니니까요.
2006.07.27 15:40:01 (*.144.184.106)

저도 자전거타고 출근하는 날이 절반 정도는 됩니다만...
자전거 예기는 많은 분들이 해주셨는데, 왜 모터싸이클 예기는 안나올까요?
다들 집과 직장이 그렇게 가까우신지... 자전거는 항상 서브에 해당하는 교통수단이 될수밖에 없는 이유가 구릉지(경사)가 많은 지형과 먼 출퇴근 거리때문일텐데요.
지금 모터싸이클이나 스쿠터를 못타는 형편이지만, 조금이라도 여건이 된다면 결국 엔진달린 이륜자동차를 타야만이 사륜차량의 운행을 줄일수 있지 않나요? 시골에 살다보니 기본적인 이동거리가 길어져서 더욱 그런 생각이 듭니다.
물론 운행구간에 구릉지도 적고 거리도 길지 않다면 자전거가 최고이죠.
하루 출퇴근을 자전거로 할때마다 나름대로의 뿌듯함과 그날그날 아낀 기름값, 그리고, 지구환경보호에 일조했다는 느낌이 정말 보람차긴 합니다.
그러니 우선, 두바퀴 달린 이동수단에 대한 편견부터 없애가면 좋겠습니다.
자전거 예기는 많은 분들이 해주셨는데, 왜 모터싸이클 예기는 안나올까요?
다들 집과 직장이 그렇게 가까우신지... 자전거는 항상 서브에 해당하는 교통수단이 될수밖에 없는 이유가 구릉지(경사)가 많은 지형과 먼 출퇴근 거리때문일텐데요.
지금 모터싸이클이나 스쿠터를 못타는 형편이지만, 조금이라도 여건이 된다면 결국 엔진달린 이륜자동차를 타야만이 사륜차량의 운행을 줄일수 있지 않나요? 시골에 살다보니 기본적인 이동거리가 길어져서 더욱 그런 생각이 듭니다.
물론 운행구간에 구릉지도 적고 거리도 길지 않다면 자전거가 최고이죠.
하루 출퇴근을 자전거로 할때마다 나름대로의 뿌듯함과 그날그날 아낀 기름값, 그리고, 지구환경보호에 일조했다는 느낌이 정말 보람차긴 합니다.
그러니 우선, 두바퀴 달린 이동수단에 대한 편견부터 없애가면 좋겠습니다.
2006.07.27 17:45:45 (*.165.137.217)

시골길 많이 다니다보니, 일단 경운기나 트랙터 뒤에 100미터짜리 밀린 차 줄 서서 가는 상황에 매우 익숙해지고, 그 다음으로는 자전거나 오봉스쿠터도 익숙해진 후, 마지막으로는 술취해서 차도를 걷는 사람 (주로 할아버지)에 대해서도 관대해졌습니다. ^^;;;; 주로 도시에 살던 옛날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저의 관대함에 놀라곤 합니다. 모든 것은 마음에서 나오고 사라지고 하는 것 같습니다.
2006.07.27 17:46:34 (*.165.137.217)

참고가 될듯하여,,, 정태준이라는 분의 서울-대구 스트라이더(자전거일종) 여행기...
target=_blank>http://kr.dcinside3.imagesearch.yahoo.com/zb40/zboard.php?id=hit&page=2&sn1=&divpage=1&banner=&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680
http://kr.dcinside3.imagesearch.yahoo.com/zb40/zboard.php?id=hit&page=2&sn1=&divpage=1&banner=&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684
target=_blank>http://kr.dcinside3.imagesearch.yahoo.com/zb40/zboard.php?id=hit&page=2&sn1=&divpage=1&banner=&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680
http://kr.dcinside3.imagesearch.yahoo.com/zb40/zboard.php?id=hit&page=2&sn1=&divpage=1&banner=&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684
하루종일 찝찝 합니다...겨울엔 손이 너무 시려워서...;; 그렇다고 스키장갑을 끼고 탈수도 없고요...봄엔 황사로 인해 못타고...결국 가을에나 좀 탈만 하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