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90 년대 ..각 전시회에 냈던 제 작품들입니다. 부족하지만, 제 글을 이해하는데 참고가 되실지 몰라 올려봅니다. ^^;


.jpg)

자동차는, 2만개 이상의 부품으로 당대 공학기술이 집결된 이동매체입니다.
기계문명의 꽃이라고 불리우는 이유이지요. 한대의 자동차가 만들어지기 위해, 공학, 재료학, 역학, 물리학, 시대적 감성, 문화트렌드까지.. 실생활과 밀접한 당대의 모든 패러다임이 집약되어 있습니다.
고도의 전쟁무기 만큼 최첨단은 아니여도, 인간과 가장 밀접한 부분들을 가장 빨리 접목시키고, 양산화 하여 어찌보면 인간에 가장 가까운 기계덩이라 할 수 있지요. 가장 개인주의가 보장되는 공간이고, 어릴때 책상밑에 보자기로 커튼을 쳐놓고 들어가 놀던때처럼, 자신만의 사유가 존재하는 매우 특별한 매체이고, 거주와 소유, 이동을 원하는 인간본성에 가장 가까운 물체이기도 합니다.
드라이빙 매니아에게 있어 '왜 달리는가..' 의 명제는, 영화 'Days of thunder' 에서 탐크루즈가 니콜키드먼에게 자겁하는 장면에서 한마디 말로 압축됩니다. " 다루기 어려운 무엇을 컨트롤하기 위해.." 라는 대사였죠. 이는.. 여성을 향한 남자의 본성을 은유하기도 하는점이 재미있습니다. 좀 더 광의적으로 해석하면, 세상만사에 부딪치는 인간의 보편적 진취성과도 상통하지요.
제 경험에 비친..'왜 달리는가'의 문제는, 상징체로서의 자동차..캐릭터로서의 자동차와 비롯됩니다. 차를 소유하는 순간, 상상하던 장소로 자신을 이동시킬 수 있고, 다감한 친구..연인과 자신만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 이는 사람들의 '자유에로의 동경'과 연관되며, 세상이라는 무대에 선 특정 캐릭터로써 자신과 동일시 한다는데서 기인합니다.
완벽한 소유..
인간의 본성이 꿈꾸는 궁극적인 욕망이고, '무소유의 진정한 소유'를 아는 수준높은 철학을 가진사람에게도, 여전히 매력적이고 거부할 수 없는 욕망의 단면입니다. 진정한 매니아의 속내는, 자신이 사랑하는 어떤 행위에서 이..'진정한 소유'를 꿈꾸고 있음이 분명합니다.
한대의 자동차가 있다.. 난, 그 차를 살 수있는 돈이있고..운전할 수 있는 라이센스를 갖고있다. 사람들이 그차를 모는 나에게 충분한 자격이 있다고 인정한다.. 여기까지가 일반 오너의 보편적인 마인드라면..
그 사람의 자동차가 있다. 그 차의 성능은 이러저러하며, 그 내용에 대해 그는 충분히 이해하고 소화하고 있다. 그사람은 그 차로 해낼 수 있는 일을 충분히 컨트롤할 수 있고.. 그것에 대해 완벽히 알고있다... 여기까지가 매니아의 입장이라고 봅니다.
위의 개략적인 충족요건에 부합되지 않는다면, '완벽한 소유'의 명제는 성립되지 않습니다. 형식적인 소유는 가능하겠지만요.. 물론 일반은, 오너가 갖고있는 차에 대해 꿰뚫지않아도 '저차는 저사람 소유가 아니다..'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요..
'달린다.' 는 것은, 차가 갖고있는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고.. 다른것은 다 없어도 되는것이지만, 그게 없으면 이미 차가 아닌게 되지요. 마치..'친구'에게 기본적인 '의리'가 없다면 이미 '친구'가 아닌것처럼 말입니다. 드라이빙 매니아에게 가장 소중한 가치관은, 차가 갖고있는 상징적인 가치관과의 교류이며, 그것으로 인해 '완벽한 소유'를 추구하는것이라는 생각입니다.
왜 달리는가..
드라이빙을 취미나 자신의 가장큰 가치관으로 삼는것은 분명, 다른 그것들과 엄격히 차별화 된 의미를 갖습니다. 위의 도입부에 언급했듯.. 자동차가 갖는 시대적 역사적, 본성적 기능과 역할이 인간과 자연에 가장 닮아있고, 거기에 가장 중요한 가치인.. '실생활에 사용한다.'는 의미가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실생활'은 대다수의 누구나 하는 일이기 때문에, 더욱 빛날 수도..더욱 지탄받을 수도 있는 활동이 됩니다.
자동차의 운동성을 탐구하고 근접해가는 일은, 완벽한 소유에의 욕구로 시작되는데.. 이 일은, 다분히 단순한 취미로써 즐기는 일과는 차별화 되어, 매우 가시적인 평가기준이 객관적으로 마련되어 있어 서로 유기적인 관계와 상식을 지닌다는 소중한 의미가 있습니다.
월드컵중에 선수중 누군가에게서 나온..좋은 말이 생각나는군요.
'천재는 노력하는 사람을 이길 수 없고.. 노력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을 이길 수 없다.'
모든 면에서, 상대적인 비교에 연연하는 모터라이프보다는.. 스스로 '완벽한 소유'에 충실하고 있는가.. 자동차의 속성을 이해하고 알아가는 '즐거움' 에 충실하고 있는가..를 자문해보면, 자동차와 나..의 관계에서, 늘..승리하는 멋진 모터라이프를 얻게 될것 같습니다.
깜장독수리..
2006.07.27 06:11:51 (*.162.76.113)

100%동감됩니다. 양산(Mass Production)이라는 개념에서 가장 까다로운 퀄리티를 요구하는 것이 자동차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물론 여객기라고 생각해볼수도 있지만 자동차는 개인이 감당할 수 있는 메인터넌스비용(한마디로 오일만 주기적으로 교체해주면 달려줘야 하는..)으로 가능케 해야하니까요. 저도 완벽한 소유를 위해 여러 단계를 목표로 해두고 있는데 결코 쉽지는 않네요:-)
2006.07.27 07:26:46 (*.55.46.44)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글도 글이지만 그림이 아주 좋습니다. (그림에 그자도 모르지만 ^^;) 바탕화면에 깔고 감상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06.07.27 10:20:49 (*.244.218.10)

익렬님 작품 너무 멋집니다...^^
글 내용도 좋으나 미술을 전공한 저에게는 작품이 먼저 마음에 와 닿습니다...
디자인 전공이라 특히 저런 터치의 작품을, 그것도 소재가 모터스포츠인경우 껌뻑 넘어가기 땜시...ㅎㅎ
요즘은 작품 그리지 않으세용? ^^;
글 내용도 좋으나 미술을 전공한 저에게는 작품이 먼저 마음에 와 닿습니다...
디자인 전공이라 특히 저런 터치의 작품을, 그것도 소재가 모터스포츠인경우 껌뻑 넘어가기 땜시...ㅎㅎ
요즘은 작품 그리지 않으세용? ^^;
2006.07.27 11:22:44 (*.191.45.33)

글 잘읽었읍니다..마지막 문구는 멋있네요..
'천재는 노력하는 사람을 이길 수 없고.. 노력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을 이길 수 없다.'
무슨일이든지 즐기는 사람이 젤 멋있다고 봅니다.
'천재는 노력하는 사람을 이길 수 없고.. 노력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을 이길 수 없다.'
무슨일이든지 즐기는 사람이 젤 멋있다고 봅니다.
2006.07.27 13:48:28 (*.227.63.231)

멋진글.. 멋진그림임다..
위에 노란것 니젤만셀의 인디500 출전인가요? 이거 바탕화면 하면 좋겠는데.. 좀 작네요..
어느그랑프리인지 모르지만 마지막의 스타트장면의 표현도 넘 멋지네요..
혹시 좀 큰 그림으로 받을수 있을까요?..^^
heyjunny@freechal.com
위에 노란것 니젤만셀의 인디500 출전인가요? 이거 바탕화면 하면 좋겠는데.. 좀 작네요..
어느그랑프리인지 모르지만 마지막의 스타트장면의 표현도 넘 멋지네요..
혹시 좀 큰 그림으로 받을수 있을까요?..^^
heyjunny@freechal.com
2006.07.27 14:22:16 (*.145.76.171)

웅..칭찬들 감사드립니다.
박승준님..위그림들은 촬영을 아무케나 해논거라서요. 조만간 사진..제대로 찍어서 화질 좋은거로 꼭 보내드리겠습니다. 메일주소 메모해놓을께요. 박태양님~ 다음번 개인전때 꼭 와서 사주세요. 제그림..별로 안비싸요. 카드결재도 가능..ㅎㅎ
박승준님..위그림들은 촬영을 아무케나 해논거라서요. 조만간 사진..제대로 찍어서 화질 좋은거로 꼭 보내드리겠습니다. 메일주소 메모해놓을께요. 박태양님~ 다음번 개인전때 꼭 와서 사주세요. 제그림..별로 안비싸요. 카드결재도 가능..ㅎㅎ
2006.07.27 14:42:51 (*.55.192.254)

점점 더 깊이있게 알고싶어지는 이익렬님...
잘 모르는 제겐 매번 신선한 충격입니다.
어수룩하고 갈피없는 제 개념을 덕분에 늘 잘 학습하고 정리하게 됩니다.
잘 모르는 제겐 매번 신선한 충격입니다.
어수룩하고 갈피없는 제 개념을 덕분에 늘 잘 학습하고 정리하게 됩니다.
2006.07.27 15:37:13 (*.149.193.167)

멋진 그림과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몇달전 첫차를 구입했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아직도 제것이 아니라는 먼가 꺼림칙한 부분이 느껴졌었던건 또레 친구들 보다 차를 먼저 소유해서 였을수도 있었지만 매니아의 입장으로서 완벽한 소유를 위해 충족시켜야할 요구조건들을 모두 충족시키지 못해서 였던것 같습니다.
앞으로 차를 대하는 자세를 다시금 생각해보게 하는 좋은 글이였습니다.
몇달전 첫차를 구입했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아직도 제것이 아니라는 먼가 꺼림칙한 부분이 느껴졌었던건 또레 친구들 보다 차를 먼저 소유해서 였을수도 있었지만 매니아의 입장으로서 완벽한 소유를 위해 충족시켜야할 요구조건들을 모두 충족시키지 못해서 였던것 같습니다.
앞으로 차를 대하는 자세를 다시금 생각해보게 하는 좋은 글이였습니다.
2006.07.27 16:15:02 (*.4.210.239)
잘 읽고 잘 보았습니다 ^^;
항상 익렬님 글들은 그어떤 무언가를 제게 깨닫게 해주시는게 있는거 같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글들 많이 올려주십시요. ^^
항상 익렬님 글들은 그어떤 무언가를 제게 깨닫게 해주시는게 있는거 같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글들 많이 올려주십시요. ^^
2006.07.27 18:20:50 (*.115.56.83)
좋은글 잘보았습니다 제가 존경하는 은사님의 말씀이 생각나는군요... 백문이 불여일견 백견이 불여일행 백행이 불여일심... 이라고...
2006.07.27 18:21:22 (*.19.220.15)

다소 주관적이면서..
관조적으로 읖조리듯..
점점 건조한 매력을 더해가는 익렬님의 글에..
환자들의 지적 갈증이 조금이나마 해소될 듯..
조만간 뵈여~~ (^^*)
관조적으로 읖조리듯..
점점 건조한 매력을 더해가는 익렬님의 글에..
환자들의 지적 갈증이 조금이나마 해소될 듯..
조만간 뵈여~~ (^^*)
2006.07.27 18:57:25 (*.214.84.253)

잘 읽었습니다.... 역시 또 배워가네요.
'왜 달리는가'도 문득 문득 드는 단상입니다만.. 그에 더해 '왜 레이스에 열광 하는가'라는 질문도 가끔 던지게 되더군요... ^^;
'왜 달리는가'도 문득 문득 드는 단상입니다만.. 그에 더해 '왜 레이스에 열광 하는가'라는 질문도 가끔 던지게 되더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