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요즘 두 차량에 필이 꽂혔습니다. 특히 지난 번에 K5를 시승해 본 후에는 더더욱 고민스럽게 만들더군요.
제가 원하는 차량은 순전히 제 개인용입니다. 출퇴근 및 장거리 출장이 주 용도입니다. 평소에 제가 원하던 차량은
1. 엔진은 6기통 혹은 8기통 자연흡기
2. 변속기는 클러치 페달이 달려 있는 6단 수동 (고로 SMG나 DSG는 제외)
3. 차형은 4 DR 세단
4. 후륜구동 혹은 4륜구동 방식
5. 모르는 곳으로 간혹 출장을 다녀야 하는 직업의 특성상 정품 네비게이션과 하이패스 기능
이 있어야 한다.
위의 조건 중에서 5번은 다른 모든 조건을 포기해도 꼭 달성해야 할 가장 강력한 조건입니다. 저는 순정에 작은 액세서리를 꽂는 것 조차 끔찍히 싫어합니다. 핸드폰 번호를 앞 유리에 붙이는 액세서리만 조수석에 있을 때에만 허용합니다. 제차는 NF Transform F24S인데, 하필이면 하이패스기능이 장착되기 직전 모델이라 눈물을 머금고 칼을 댔습니다. 운전석 앞문을 따라 내려오는 전선 장착 광경을 떠올리면 끔찍합니다. 그래서, 이 차를 기회가 되면 바꾸겠다고 마음먹게된 계기죠. 여기에, 작년에 집사람 타라고 줬더니, 몇 군데 찌그려트려놨습니다. 뜨악~!
하여간, 5번 조건때문에 현기차 말고는 현재 대안이 없습니다. 이제 남은 1-4번 조건을 검색하기 시작합니다. 8기통 자연흡기 차량이 있긴한데, 1억이 넘는 가격의 에쿠스는 일단 여러모로 제외입니다. 제 격과 맞지도 않고, 가격도 예산 범주를 벗어납니다. 고로 수정된 차량 선택의 조건은 이렇습니다.
1. 엔진은 6기통
2. 변속기는 클러치가 있는 6단 수동
3. 차형은 4DR 세단
4. 후륜구동 혹은 4륜구동 방식
그런데, 위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차량이 없어서, 뭔가를 포기해야 합니다. 제 운전성향을 고려하면, 젠쿱 380 수동과 K7 VG350 입니다. 일단 둘 다 1번 조건은 만족시킵니다. 두 차량의 가격조건 등은 적절히 제 수입범위 안에 들어옵니다. 그런데, 젠쿱은 3번을 포기해야 하고, K7은 2번과 4번을 포기해야 합니다. 두 차량을 모두 소유하기에는 경제력이 모자랍니다. 게다가 이번에 집사람에게 포르테 2.0을 구매해 주었기 때문에 더더욱 모자랍니다.
내장의 럭셔리함과 기타 여러 사항을 이모저모 따져보면 K7이 맞습니다. 제 개인적인 판단에는 K5와 K7이 출시된 이후에 최소한 국내에서는 동일한 가격에 한 차급을 낮추면서까지 폭스바겐 세단을 후보 명단에 올릴 이유가 전혀 없어졌습니다. 특히, VW의 자자한 국내 A/S 명성을 고려하면 더더욱 그렇습니다. 일본산 차량들은 과거 경험을 통해 아예 제외입니다.
그러나, 6단 수동을 탐닉하는 저로서는 분명히 6단 수동에 대한 미련 때문에 끊임없이 수동을 찾아 헤메일 것은 불을 보듯 뻔합니다. 마치 골프를 좀 배우면 끊임없이 골프장비를 찾아 헤메이는 골퍼와 같다고나 할까요? 골프 장비 중독에서 헤어나오기 위해 제가 택한 방법은 피팅한 클럽이 아닌(!), 일반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클럽으로 골프백을 채운 후에 그 클럽에 적응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면, 드라이버는 Titleist 909D3 Fujikura Rombax 7F09 9.5도에 아이언은 Callaway X-Prototype Dynamic Gold S300 이런 식이죠. 제 예상대로 1년 고생했더니 되더군요.
자동차도 마찬가지 접근입니다. 문제는 위의 5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차는 지극히 드물다는 것이지요. 일단 6단 수동이 상당히 맘에 걸립니다. 일단, 6기통 엔진을 갖춘 세단에서는 수동이 아예 옵션에서조차 없습니다. 수입차량의 특별주문도 한가지 방법이긴 한데, 차라리 현기차의 가격올리기가 착해보일 정도로 국내의 A/S 뜯어먹기 행태가 맘에 안드는데다, 5번의 강력한 조건 때문에 고르기도 쉽지 않습니다.
젠쿱으로 가는 경우도 생각해 봤는데, 젠쿱의 경우에는 세단이 아니라서 걸리는 문제만이 아닌, 제 뒷덜미를 잡아끄는 요인이 몇가지 있습니다. 첫 째로, 2.0 Turbo도 아닌 3천만원 대 중반의 가격의 차량에 걸맞지 않는 내장재질이 걸리고, 둘째로는 분명히 디자인 감각이 떨어지는 원가절감을 부르짖는 고위층의 입김이 불어넣어졌다고 저 혼자 확신하는 프런트 디자인이 맘에 걸립니다. 마지막으로는, 트렁크의 효용성입니다. 골프백은 둘째치고, 사는 곳은 포항인데, 고향은 인천이라 해외출장을 가게되면 인천까지 차를 몰고가서 부모님 얼굴한번 뵙고, 다음날 인천공항에서 떠나는 일정을 주로 택합니다. 돌아올 때에는 역순이고요. 이런 일정을 잘 소화할 수 있게 트렁크에 제 짐을 잘 꾸려서 넣을 수 있을까?
하여간, 이런 고민으로 오늘도 퇴근 후에는 인터넷을 헤집고 다닙니다.

2011년형 젠쿱에서는 내장재 재질에 대한 컴플레인이 반영되었다는군요
아직 출시전이라 실제 만저보지는 못했지만 약간 개선이 되었을것 같습니다^^

후륜구동 또는 4륜이라 하시면.. 기아에서 나오는 세단은 모두 제외가 되지 않을런지요 ^^
요즘 국산차들은 수동차량이 거의 없으니 쉽지많은 않네요.
아무쪼록.. 좋은선택 하시길 바랄께요.

너무 고민이시면
K7, 제네시스 쿠페(2011년형) 두 대 모두 전시차가 있는 매장에 가셔서
직접 보시고, 끌리는 모델로 가시기를 추천요. ^^

파나메라가 딱일것 같은데요...^^
젠쿱 트렁크는 의외(?)로 캐디백 한개는 아주 쉽게 들어갑니다!
직접넣어보기 전엔 의자 접을꺼라 생각했는데...^^
그러니 왠만한 짐은 전혀.......문제는 2도어만 2대가 되는군요...ㅋ

저정도 배기량 급에서...
서킷 타실 것 아니시면, 2번 수동을...과감히 포기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3300cc 정도 넘어서니... 크게 수동에 대한 미련이 없더군요.
더구나 장거리 출장길... 다운쉬프트가 극단적으로 필요한 배기량도 아니니 말입니다.)

젠쿱3.8을 운행하는 입장에서 보면 동승자를 신경쓸 필요 없다면 k7보다는 젠쿱이 나을것 같습니다.
생각하시는 단점중 내장 재질은 신버전에서 개선되었고 전면디자인은 다양한 사제튜닝이 가능하십니다.
저도 전면디자인이 조금 싫었지만...자주 보니 적응이 되어서인지 이제 튜낭할 생각은 사고시 교체전까지는 참으려 합니다.^^
마지막으로 트렁크 용량은 뒷좌석 여유까지 합치면 출장시 짐정도는 충분히 커버될것 같습니다.
제네시스 브랜드에 안팔리는 쿠페를 생각하면 요사이 가격을 엄청올린 현대차 라인업중에서 나름 가격대비 성능은 최고라고 보여집니다. 단 감가상각은 세단에 비해 훨씬 크더군요.
깨끗한 중고도 권해 봅니다.^^
젠쿱 동호회에 보시면 3.8은 얼마 타지도 못하고 나오는 매물이 종종 있습니다. 2.0에 비해 젊은 사람들이 유지하기에는 보험료나 유류비가 꽤 차이납니다.
P.S 기아 K7도 잠깐 타보았는데...재질은 그다지 좋은지 모르겠으나 외부 내부 디자인 정말 마음에 들더군요.
여기에 4륜이나 후륜등을 조합하고 더 고급화 시키면 정말 수입차들이 긴장해야 할것 같습니다.
단 택시로는 출시하지 말기를...전 택시로 나온 차는 아무리 좋아도 싫습니다.^^

380 수동 타는 입장에서... 글을 자세히 탐독해보니 VG350이 더 적합 하실 듯 합니다.
젠쿱 트렁크 용량이 뭐 딱히 적은 편은 아닌데 트렁크 입구가 작다보니 좀 불편할 때가 간혹 있더군요.
제가 젠쿱 산 이유는 디자인이고 뭐고 전혀 고려도 안한 상태에서 오로지 6기통 후륜구동 수동차를 타보고 싶어서
시승도 안해보고 출시되자마자 한두달만에 바로 샀던것이였는데... 막상 타고다녀보니 ZF 오토로 살껄 하고
후회가 간혹 들때가 있습니다. 심지어 후륜구동을 포기하더라도 문짝 4개짜리를 살껄 하는 생각도 종종 ^^;;
젠쿱이 운전의 재미는 국산 타차종에 비할바 못되지만.. 재미도가 높은 만큼 피로도도 꽤 높은 차가 아닌가 합니다.

조건들을 보고 바로 떠오르는 차는 아우디 rs4군요. 중고지만 k7풀옵션 가격에 구매도 가능하고 테드에 탐나는 매물도 올라와 있던데,,,
여담으로 제가 폭스바겐을 두대 타는데(절대 폭스바겐을 사랑해서는 아닙니다.ㅋ gti와 cc가 마음에 들어서지요) 지난 3년간 서비스에 특별히 불만을 가져본적이 없고 동호회 지인들의 평가도 좋습니다(대구 서비스가 유독 잘하는건지도). 서비스 퀄리티로 치면 국산 메이커보다 높습니다만 결정적인 단점이 있다면 동네마다 가는곳마다 있지 않다는게 제일 불편한점으로 현기와 르삼을 그립게 만들더군요.
6단수동을 타고 싶어하시는것은 출력의 문제보다... 클러치를 이용한 운전의 즐거움을 포기하기 어려워서인걸로 느껴지네요.
그렇다면 가장 중요한 차량 선택의 기준이 될것으로 보이구요.
온식구를 태우지 않아도 되는 환경이니.. 2도어쿠페 도 괜찮을 듯 합니다.
실내 내장재는 보름전부터 2011년형이 나와있습니다. 실내 내장재 재질도 괜찮게 바꿨더군요.
그런데... 고급스럽고.. 그와함께 적당한 스포츠성과 좋은 츨력도 가지고 있는 K7이 눈밖으로 내치기엔 힘들어보이네요.
일단 그런 고민이 부럽습니다. ㅋㅋ.
젠쿱 6단 수동의 경우... 미션 체결감 자체는 좋지만... 완성도가 높은 수준이라고 보기엔 아쉬움이 좀 있습니다.
수동 미션이 없다 뿐이지, 위의 조건상 제네시스 세단이 조건을 제일 잘 충족 시키는것 같은데요? 우선 후륜구동이니.... 여러 옵션들을 둘러 보시면 답이 나올듯 합니다.
결론적으로 위 조건을 전부 만족시키는 차량은 없군요. 위 조건중에 양보할만한것을 찾으셔야겠군요. 저도 하나만 양보하면 되는 제네시스 세단을 생각하게 되네요.

이렇게 수동에 집착하는 분이 있어 기분이 좋습니다. 저는 차량선택의 1번 충족조건이 수동입니다. 이종영님이 말씀하신것 처럼 파나메라가 정답인듯. 파나메라 모델에 수동이 있는 것을 보고 포르쉐 진짜 멋있는 브랜드라 생각했습니다.

수동 + 후륜구동 조합만으로 젠쿱(380)이 좋은 선택입니다. K7은 그냥 스타일 좋은 그랜저입니다. 그나마 VG350 이라면 가끔 쭉 뻗은 직선에서 고속빨로 잠깐 달리는 차지 절대 운전의 즐거움을 찾을 수 있는 차는 아닙니다. 젠쿱 앞모습이 너무 마음에 안드신다면 내년말쯤 나오는 F/L 젠쿱까지 기다려야할꺼 같네요. 젠쿱 뒷좌석 폴딩해서 골프백 2개(캐디백2개)까지 넣어봤고 폴딩하지 않으면 골프백 1개 대각선으로 들어갑니다.ㅎ

젠쿱 트렁크는 생각보다 큽니다. 익렬님 말씀대로 입구가 좁아서 큰 물건을 넣기가 힘들 뿐이지요.
저도 앞모습이 너무 마음에 안들었지만 후륜구동, 6기통, 6단 수동의 매력때문에 사버렸지요. 뒷모습은 그래도 이뻐요!
근데 제 생각에도 수동을 포기하실수 있다면 4도어에 고급스러움에서 제네시스가 더 좋은 선택 아닌가 싶네요.
같은 '제네시스'이름이지만 많이 더 비싸긴 하지만요... ^^;
젠쿱과 K7 중에 골라야 한다면 저는 4도어 포르테가 있으니까 하나는 쿠페로 타고 싶네요.
걱정하시는 내장재 문제는 업그레이드 버전이 나왔다니.. 한번 시승해보시고 결정하세요. ^^

원하는 스펙의 차량이 국내에 없으면 직수입 하시면 되겠습니다만
기억나는건 ACURA TL SH-AWD 6단수동 밖에 없군요...
3천만원에 3800cc 후륜 구동 스포츠카면 괜찮은 가격이라고 생각하는데 글을 읽어보니 실내품질 별로라고 하시는것과 출퇴근 용도와 짐도 많이 가지고 다니시니 그냥 k7이 더 만족 스러우실거 같으세요 수동변속기가 중요하시다고 하시지만 용도에 맞는 차를 구입 하는게 더 중요해보입니다.
출퇴근과 장거리 출장이 주 용도라는것은 '순수한 이동수단'으로서의 차의 역할인데, 그런 용도의 차에 저리 까탈스런 조건을 부여하실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저 용도에선 제 기준에서 티코를 타나 벤틀리 플라잉스퍼를 타나 아무런 의미가 없는것같은데 말이죠...
K7 VG350 + 액츄얼 네비게이션 = 3970만원
제네시스 BH330 그랜드 + 인텔리전트 DMB 네비게이션 = 4339만원
369만원 차이가 나네요.
게다가 제네시스는 개선전 모델 (2010MY)에 대해 100만원 기본할인이 들어가니 269만원으로 차이는 더 줄어듭니다.
배기량도 200cc 더 빠지니 자동차세도 '조금'이나마 더 저렴할거구요 ㅎㅎ
다만 급하게 새차 뽑으셔야 할 상황이 아니라면 연말 HG그랜져 출시와 함께 람다 라인업이 GDI로 리뉴얼 된 이후에
구매하시는게 장기적으로 만족도 높은 합리적 소비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는 같은 차급의 최고등급을 선택합니다. 어정쩡하게 옵션 빼고, 등급 내렸다가 나중에 침흘리는 일이 싫어서요. 제네시스로 간다면 380입니다. 물론 미국에서 8기통짜리가 있어서, 차라리 그걸 사는 것을 고려 중입니다. 어찌되었건, 제네시스는 가격대비 가치를 별로 못 느낍니다.
어찌되었건, 급하게 차를 사야하는 이유는 전혀 없습니다. 내년에 엔진 variation 조절되고, 젠쿱도 F/L 되면 다시 생각해보는 것이 옳은 일이긴 한데, 웬지 현기차의 출시가 더더욱 원하는 조건에서 멀어질 것 같다는 불길한 느낌이 들어가서요.
(주소를) 모르는 곳으로 출장가시는 경우 순정 네비게이션은 아마 별 도움이 되지 못할겁니다. 순정은 대부분 상태가 영 아니라서요. 그리고 국내에선 6기통 이상 엔진과 수동미션은 거의 양립하지 않는 존재입니다. 꼭 세단이 아니더라도 정식 딜러 차량 중에서 6기통 이상 엔진과 수동미션을 둘 다 가질 수 있는건 Porsche 모델들과 젠쿱이 유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1..자연흡기여야 하고....
2..6단 수동이어야 하고...
3..후륜구동이어야 하고...
3..젠쿱 앞모양은 적응이 안되고... (문짝 2개인 것도...영~ 불편하고..)
3..순정에 작은 액세서리 하나도 결코 허용하기 싫은 것 까지.....^^
어찌~~ 저랑 이리도 똑같은(?) 고민을 하시는지....
반갑습니다. ^^
현재 저는 NF2.0 수동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수동 + 세단 조합을 고집하면 다른 대안이 없습니다. --;;
거기에 후륜구동까지 가정하면.....답이 없죠.
물론, 좋은 점도 있습니다.
이리도 차에 미쳐(?) 살지만....
살 차가 없다보니...차 바꾸는데.... 돈 쓸일이 없습니다. ^^
수입차도 수동을 취급안하다 보니...직수하지 않으면 대안이 없습니다.
문짝 4개 세단 까지는 어찌어찌 포기가 가능한데....
후륜과+수동 조합은 도저히 포기가 안됩니다.
이게 병이 되다 보면....전륜구동차의 꽉찬~ 본넷 안쪽만 봐도 속이 답답하죠..^^
사람이 미치다(?) 보니...포르세 수동까지 넘보게 되더라는....^^
결국...수동은 포기해야 할 것 같고....
그렇다면...제네시스 세단이 조만간 구입리스트에 오르게 되지 않을까 하네요...--;;
하도 포르쉐 타령을 하다보니, 집사람이 E시리즈나 5시리즈 이야기만 나와도 반색을 하더군요. ^^
차는 훨씬 고급스럽고, 네임벨류도 있어 보이고...무엇보다 가격이 반값(?)이다보니....
집사람이 오히려 내게 감사해 하더라는....^^
제네시스 세단에 여지간한 옵션 넣고.. 가격 측면에서만 비교해 보면....
벤츠E 나 벰베5에 비해서 그리 큰 메리트는 없지만...
부품 수급의 용이성과....정비의 용이성 측면까지 고려해 보면
아직은 국산차가 메리트가 있지요.
남은 몰라도...저는 충분히 김인기님 마음 이해합니다. ^^
ㅋㅋ
파나메라 S 사시는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
파나메라S 는 수동6단이 기본으로 들어가는거 같더군여.. ^^
1. 엔진은 6기통 혹은 8기통 자연흡기
2. 변속기는 클러치 페달이 달려 있는 6단 수동 (고로 SMG나 DSG는 제외)
3. 차형은 4 DR 세단
4. 후륜구동 혹은 4륜구동 방식
5. 모르는 곳으로 간혹 출장을 다녀야 하는 직업의 특성상 정품 네비게이션과 하이패스 기능
하이페스빼고 다 되여...

일단 클럽샤프트부터 바꾸심이 어떤지요? 차생각은 당분간 안날텐데요...전 695mb x100쓰거든요...우드샵트는 롬박스시리즈는 약해서 못쓰구요..한번 바꿔보세요..스틱보단 오토메틱이 땡기실겁니다...전 제네시스세단이나 쿱을 추천드립니다.

회사에서 일하다가 이 글 읽고 30분 동안 멍때렸네요 ㅎㅎ
저도 F24S를 소유하다가.. 얼마전에 어머니 드렸습니다.. 여러모로 부족함도 있고 좋은점도 있던 차였지요.
4DR을 포기하지 않으신다면...
아무래도 답은.. 중고 독일세단 밖에 없을듯 하네요.
어큐라 일부 모델도 있을듯 하지만...
둘다 정식수입품은 찾기 힘들어서..
5번은!
네비는 스마트폰하나 사셔서 그냥 휴대폰 거치하심됩니다. 선없이.
하이패스는 요즘 태양열 충전식 있어서 선없이도 가능합니다.
전 구형 엠피온꺼 리튬폴리머 전지가 있는거 쓰는데.. 1년에 한번만 그냥 집에서 충전합니다..
쓰다보니,
딱 하나! 조건에 맞는게 있는데요...
토스카 L6 ... 수동이 트림에는 있었던듯 합니다만. 후륜은 아니로군요
제가 수입중고차를 자꾸 거부하게되는 것이, 네비를 "거치" 해야 한다는 것과, 하이패스도 "거치" 해야 한다는 겁니다. 토스카는 요모조모 따져보다, 역시 2.0 배기량에나 수동이 달려서 제외했습니다. 이래나 저래나 원하는 차를 살 수 없으니, 그냥 K5로 가는 것도 심각하게 고민 중입니다. 가장 현실적인 새차구입이고, 이미 시승해봤고요.
F24S가 나쁜차도 아닙니다. 제 용도에는 충분합니다. 다만, 집사람이 주차장 기둥에 문질러 대고, 주차 중 핸들이 뜻대로 안움직인다는 핑계로 여기저기 피부 벗겨져있고... 도저히 2년된 차라고는 볼 수 없는 외관에 (뭐 외관이야 고치면 된다지만) 더하여 트랜스미션이 집사람 스타일에 완전히 적응되어서 내가 몰기에 어색하다는.... 등등의 감성적인 면 때문입니다.
사실 차 바꿀 핑계야 찾으면 계속 나옵니다.
아이언 좋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