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야간에 엔진/미션 오일 체인지를 하게되면 그냥 집에 가기가 힘듦니다.
특히 주말밤이라면....
이번엔 외곽순환도로를 한바퀴 돌아볼 생각으로 일산 IC에서 판교 방향으로 진입했습니다.
쭉 1차선으로 규정속도를 위반해가며 달려보았습니다. 물론 1, 2차선이 모두 비어있는 경우엔 2차선도 이용하였습니다. 많은 차량들이 1차선은 비워 놓고 2,3 차선을 이용하는 모습이었습니다만.. 역시나 1차선을 규정속도내 주행차로로 이용하는 운전자들을 계속해서 만나게 되더군요...
멀찌기서 부터 제차를 인지하고 비켜주는 분들!
비상등 3번 점멸하고 지나갑니다.
다가가도 별 무 반응인 경우엔 먼저 차량 3-4대 거리까지 따라 붙습니다. 간이 배 밖에서 대부분 지내던 시절에는 무모하게 차간거리를 좁힌일도 많았습니다만.. 지금은 복부 초음파로도 찾기 힘든 사이즈라 3대 차이면 엄청 무리한 시도입니다.
이 시점에서 뒤통수에 뭔가를 느끼고 비켜주시는 분들!
비상등 2번 점멸하고 지나갑니다.
붙어도 반응이 없으면 좌측깜박이를 점멸합니다.
의외로 이게 효과가 좋은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왼쪽엔 차선도 없는데 제 왜 저래?' 하시다가 '가만... 혹시 1차선 얘기?'로 생각들이 가시는 건지... 하여간 효과 있습니다.
비상등 1번 점멸하고 지나갑니다.
그러다 만난 1톤 트럭... 3단계 신호에도 꿈쩍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상향등을 점등하였습니다. 속도를 줄입니다... ㅡ.ㅡㅋ
오늘은 1차선으로 달려보기로 맘먹고 나온 길이었던 관계로 저도 끝까지 1차선을 고집합니다. 이제 브레이크까지 밟습니다.... OTL
그렇게 한 20km를 달리다보니 결국 도로가 좌 합류 되면서 1톤차가 자연스레 3차선으로 달리는 형국... 이 때다 싶어 1차선으로 잽싸게 추월해 지나쳤습니다.
비상등 대신 귀 따가운 배기음을 남겨 드리고 온건 당연합니다...
기회가 좋은 주말 새벽, 시간을 길에 뿌리면서 시험해본 1차선 고속주행은 이후 별 무리없이 성공하였습니다.
그런데 1차선을 두고 1톤차와 신경전을 길게 하다보니 이전엔 별로 경험하지 못했던 상황이 생기더군요...
후행차량들이 제 오른쪽으로 무섭게 추월을 해가는 모습이 계속 연출됐습니다.
나름 '추월 차선으로서의 1차선'의 개념을 홍보한다는 생각으로 시도한 지리한 신경전이 오히려 그 날 도로 상황엔 독이되는 형국이었습니다. 1톤차가 무리하게 속도를 줄이기까지 했으니 더 심해진 것이죠.. 어쩌다보니 저도 공범이 되어버리는 상황이 벌어진 것입니다..
끝까지 비켜주지 않는 차량들이 많습니다.
그네들이 구별이 되려면 길든 짧든 일단 뒤에서 시간을 끌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1차선이 막혀 있으면 그냥 2차선으로 신속히 추월하는 것이 오히려 안전한 운전 일까요? 일단 1차선에서 신호를 보내 보는것이 더 안전한 운전일까요? 기다려 본다면 언제까지?
차가 1000만대 넘은지가 오래인데.... 어쩌다 교통문화는 요 모양 요 꼴인지... 제 스스로도 잘하고 있는건지 못하고 있는건지도 모르겠습니다.
어디서 배워서 어떻게 운전해야 하는지요?
특히 주말밤이라면....
이번엔 외곽순환도로를 한바퀴 돌아볼 생각으로 일산 IC에서 판교 방향으로 진입했습니다.
쭉 1차선으로 규정속도를 위반해가며 달려보았습니다. 물론 1, 2차선이 모두 비어있는 경우엔 2차선도 이용하였습니다. 많은 차량들이 1차선은 비워 놓고 2,3 차선을 이용하는 모습이었습니다만.. 역시나 1차선을 규정속도내 주행차로로 이용하는 운전자들을 계속해서 만나게 되더군요...
멀찌기서 부터 제차를 인지하고 비켜주는 분들!
비상등 3번 점멸하고 지나갑니다.
다가가도 별 무 반응인 경우엔 먼저 차량 3-4대 거리까지 따라 붙습니다. 간이 배 밖에서 대부분 지내던 시절에는 무모하게 차간거리를 좁힌일도 많았습니다만.. 지금은 복부 초음파로도 찾기 힘든 사이즈라 3대 차이면 엄청 무리한 시도입니다.
이 시점에서 뒤통수에 뭔가를 느끼고 비켜주시는 분들!
비상등 2번 점멸하고 지나갑니다.
붙어도 반응이 없으면 좌측깜박이를 점멸합니다.
의외로 이게 효과가 좋은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왼쪽엔 차선도 없는데 제 왜 저래?' 하시다가 '가만... 혹시 1차선 얘기?'로 생각들이 가시는 건지... 하여간 효과 있습니다.
비상등 1번 점멸하고 지나갑니다.
그러다 만난 1톤 트럭... 3단계 신호에도 꿈쩍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상향등을 점등하였습니다. 속도를 줄입니다... ㅡ.ㅡㅋ
오늘은 1차선으로 달려보기로 맘먹고 나온 길이었던 관계로 저도 끝까지 1차선을 고집합니다. 이제 브레이크까지 밟습니다.... OTL
그렇게 한 20km를 달리다보니 결국 도로가 좌 합류 되면서 1톤차가 자연스레 3차선으로 달리는 형국... 이 때다 싶어 1차선으로 잽싸게 추월해 지나쳤습니다.
비상등 대신 귀 따가운 배기음을 남겨 드리고 온건 당연합니다...
기회가 좋은 주말 새벽, 시간을 길에 뿌리면서 시험해본 1차선 고속주행은 이후 별 무리없이 성공하였습니다.
그런데 1차선을 두고 1톤차와 신경전을 길게 하다보니 이전엔 별로 경험하지 못했던 상황이 생기더군요...
후행차량들이 제 오른쪽으로 무섭게 추월을 해가는 모습이 계속 연출됐습니다.
나름 '추월 차선으로서의 1차선'의 개념을 홍보한다는 생각으로 시도한 지리한 신경전이 오히려 그 날 도로 상황엔 독이되는 형국이었습니다. 1톤차가 무리하게 속도를 줄이기까지 했으니 더 심해진 것이죠.. 어쩌다보니 저도 공범이 되어버리는 상황이 벌어진 것입니다..
끝까지 비켜주지 않는 차량들이 많습니다.
그네들이 구별이 되려면 길든 짧든 일단 뒤에서 시간을 끌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1차선이 막혀 있으면 그냥 2차선으로 신속히 추월하는 것이 오히려 안전한 운전 일까요? 일단 1차선에서 신호를 보내 보는것이 더 안전한 운전일까요? 기다려 본다면 언제까지?
차가 1000만대 넘은지가 오래인데.... 어쩌다 교통문화는 요 모양 요 꼴인지... 제 스스로도 잘하고 있는건지 못하고 있는건지도 모르겠습니다.
어디서 배워서 어떻게 운전해야 하는지요?
2006.09.25 15:40:25 (*.55.192.254)

1차선에서 정속주행으로 꿋꿋이 버팅기는 차주들을 욕하진 맙시다. 국내 문화교육의 전반적 후진성을 탓합시다. 언젠간 교육의 효과가 비춰지는 날이 오겠죠... 공중파홍보가 최고로 빠른데, 자주 홍보를 안하는 듯...
2006.09.25 16:19:34 (*.252.192.197)
작년에 산본에서 일산방면으로 차가 막히길래 계속가봤더니...
1차선 트럭 70키로 2차선 트럭 70키로
3차선 트럭 70키로 4차선 트럭 70키로
트럭 4대가 전세놓고 달리고 있었는데...
대한민국 고속도로 문화로 완전히 정착이 될까봐 두렵습니다
1차선 트럭 70키로 2차선 트럭 70키로
3차선 트럭 70키로 4차선 트럭 70키로
트럭 4대가 전세놓고 달리고 있었는데...
대한민국 고속도로 문화로 완전히 정착이 될까봐 두렵습니다
2006.09.25 16:28:15 (*.214.233.91)

그냥 2차선으로 비켜가세요^^; 매너를 떠나서 1차선이라도 과속하면서 비킬때 까지 고집피우는건 안비켜주는것보다 더 법에 어긋나는듯 합니다. 기분나쁘게는 듣지 마세요 :)
2006.09.25 17:07:09 (*.214.84.253)

실제로 고민이 됩니다. 지금까지는 그 고집이 매너는 떠나서라도 불편하지만(이 얼마나 지리하고 소모적인 신경전 입니까!!) 1g이라도 가치있는(홍보의 일환으로) 행동으로 믿었는데.. 이제 신호고 뭐고 없이 그냥 다 2차선으로 지나치고 싶습니다. 그게 더 서로에게 안전한것 같네요..
2006.09.25 17:48:00 (*.155.103.189)

앞 차량이 대형차인 경우를 포함하여, 내 차가 우핸들이 아닌 이상 시야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관계로 우측 차선 추월이 더 위험하다고 단언할 수 있습니다. 법적으로도 우측으로 추월은 앞지르기 방법(앞 차의 좌측으로 추월하라고 명시)을 위반한 것이 될듯 싶습니다. 1차선 뒤에서 고집피우는(?) 것이 어떤 법을 위반하는지 궁금하네요.
2006.09.25 19:12:45 (*.212.116.87)
저도 1차선으로 제가 갈때 제차를 멀찌감치.. 혹은 뒤에 다가와서 비켜줄때는 비상등을 점멸해준답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서로기분좋은 매너인것 같아서요....
끝까지 안비켜주면.... 전 스치듯 옆으로 추월한답니다..ㅡㅜ
끝까지 안비켜주면.... 전 스치듯 옆으로 추월한답니다..ㅡㅜ
2006.09.25 19:31:46 (*.39.219.239)

2차선으로 가다가 앞차가 막히면 1차선으로 추월한후 다시 2차선으로 들어오는게 안전하고 정상적인 운전방법이라고 저도 생각하는데요. 1차선에서 정속주행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뒤에서 고집피우는건 우선 1차선으로 주행을 한점과, 과속을 했다는 것도 있구요, 안전거리 미확보라는 상황에도 걸릴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1차선 정속주행 차량들이 있을때는 뒤에 따라가는 것보다는 우측을 잘 살핀후 우측으로 추월을 해도 충분히 안전하게 패스할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2006.09.25 19:53:10 (*.229.169.253)

1차로를 꿋꿋이 점유하고 달리다가도 2차선을 통해 추월을 당하고 나면 그제서야 알아차리고 2차로로 빠져 주는 차량도 꽤 있습니다. 2차로 추월이 법규만을 따지자면 잘못된 것이겠지만, 어차피 실상은 법규를 모두 지키며 달리고 있지 못하는 이상, 그 정도 융통성은 발휘해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답답한 공도에서 스트레스 받지 마시고 트랙에서 시원하게 달려 보심이...^^
답답한 공도에서 스트레스 받지 마시고 트랙에서 시원하게 달려 보심이...^^
2006.09.25 21:03:57 (*.64.65.96)

2차로로 추월해서 위험한 것이 2차로로 진입할 때 뒤에서 오는 차와 추돌해서 위험한 건가요? 아니면 추월후 1차로로 재진입시 앞서 정속주행하던 차와 추돌하는 위험 때문에 위험한 건가여?
제가 보기엔 1차선의 정속주행 차량이 비켜주기 위해 2차로 들어가는 거나, 뒷차가 2차선으로 추월하는 거나 비슷할것 같은데,
2차선 추월이 위법이라 꺼려진다는것은 설득력이 있으나, 위험하기 때문이란 말은 좀...
아 2차선으로 추월시 3차선의 차가 동시에 2차선으로 들어올 경우도 있네여. 그건 앞서가던 1차선의 정속주행 차량의 경우도 마찬가지지만...
이때는 누구 과실이 큰거져?
참고로 저도 1차선 정속주행을 반대합니다.
제가 보기엔 1차선의 정속주행 차량이 비켜주기 위해 2차로 들어가는 거나, 뒷차가 2차선으로 추월하는 거나 비슷할것 같은데,
2차선 추월이 위법이라 꺼려진다는것은 설득력이 있으나, 위험하기 때문이란 말은 좀...
아 2차선으로 추월시 3차선의 차가 동시에 2차선으로 들어올 경우도 있네여. 그건 앞서가던 1차선의 정속주행 차량의 경우도 마찬가지지만...
이때는 누구 과실이 큰거져?
참고로 저도 1차선 정속주행을 반대합니다.
2006.09.25 23:14:46 (*.48.36.130)

김순익님 말씀은, 1차선에서 거대한 트럭 뒤에 오른쪽 시야가 가려졌을때 오른쪽으로 들어갔다가 훨씬 더 저속차량을 만날 경우를 말하신 것 같습니다.
하지만 끼어들기전에 앞의 트럭과 안전거리 확보만 한다면 그런 시야의 방해는 애초에 없겠죠.
저는 귀찮아서 계몽은 1년에 한두번쯤만 하는 편입니다.(그것도 30초 이상 안합니다. 고집 피워봤자 서로에게 득될건 없겠죠.) 그것도 우측이 순간적으로 비어있지 않을때 1차선 차량을 비난 할만한 상황에서만 합니다. ㅎㅎ
하지만 끼어들기전에 앞의 트럭과 안전거리 확보만 한다면 그런 시야의 방해는 애초에 없겠죠.
저는 귀찮아서 계몽은 1년에 한두번쯤만 하는 편입니다.(그것도 30초 이상 안합니다. 고집 피워봤자 서로에게 득될건 없겠죠.) 그것도 우측이 순간적으로 비어있지 않을때 1차선 차량을 비난 할만한 상황에서만 합니다. ㅎㅎ
2006.09.26 09:19:28 (*.202.144.90)
얼마전 서해안 고속도로에서 이유없이 차량 흐름이 안좋아진 경우가 있었습니다..한참을 가보니 100Km/h 정도로 정속 주행하시는 여자분이 계시더군요..하이빔..바짝붙기..소용없었습니다..한참을 비키라고 크락션을 빵빵거리니 비키더군요..그러고나서는 다시 1차선..T.T..그다음에는 140-50 으로 저를 열심히 따라오더니 정체구간에서 창문열고 xx새끼하면서 운전 어디서 배웠냐고 열심히 욕을 해주더군요..그래서 1차선 차량 비키게하기를 그날이후로 포기했습니다..
2006.09.26 10:18:59 (*.120.131.4)

보현님... 개념을... 1차선으로 계속 주행을 하다가 뒷차를 위해서 2차선으로 비켜주는 개념이 아니라.. 잠시 1차선으로 추월을 위해 탔던 차선을 다시 원래대로 2차선으로 간다는 개념으로 하면 이해가 될듯 합니다.
2006.09.26 10:22:18 (*.120.131.4)

저는 이렇게 합니다. 2차선으로 달리는 차량때문에 2차선으로도 추월할 공간이 없슴에도 꿋꿋하게 천천히 1차로를 막고 달리는 차량에만 하이빔 및 좌측깜빡이로 신호를 보냅니다. 2차로가 완전히 비어있는 상황이라면 그냥 우측으로 추월합니다. 일단 빨리 가고자 하는 제 목적을 쉽게 달성할 수 있고, 우리나라 일반적인 운전자들의 인식으로는 아직은 이 방법이 가장 나은듯 합니다. 1차로로 정속주행으로 달리는 차량 뒤에서 하이빔 날리면 싸움나기 쉽습니다 ㅎㅎㅎ
2006.09.26 10:29:56 (*.239.231.228)
1차로에서 느리게 주행하는 차를 추월하기 위해 따라가는 건 추월차로 주행이 아니죠.
만약 그렇다면 아우토반에서 추월차로 뒤를 따라가는 모든 차들은 주행하는 것이 되는데 그건 아니죠.
추월하기 위해 뒤를 따라가는 것...............절대 주행이 아닙니다. 앞 차의 잘못입니다.
그리고 우측 추월이 위험한 것은 일반적인 시각에서 우측엔 나보다 더 느린 차가 가고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고 우측을 좌측보다 덜 신경쓰는데 빠른 차가 지나가면 위험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그렇다면 아우토반에서 추월차로 뒤를 따라가는 모든 차들은 주행하는 것이 되는데 그건 아니죠.
추월하기 위해 뒤를 따라가는 것...............절대 주행이 아닙니다. 앞 차의 잘못입니다.
그리고 우측 추월이 위험한 것은 일반적인 시각에서 우측엔 나보다 더 느린 차가 가고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고 우측을 좌측보다 덜 신경쓰는데 빠른 차가 지나가면 위험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2006.09.26 15:31:13 (*.110.140.98)

안전하게 주행하시는 데 초점을 맞추시고요.
개인이 어떻게 할 수 있는 성격이 아닌 것 같습니다.
저도 많은 경험이 있는데, 오히려 위험해지고 기분만 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차로 점거 주행 운전자는 무슨 사정이 있거나, 운전면허를 편법으로 취득했거나, 본래 다른 사람을 배려하지 않는 성격이겠죠.
시력 저하로 야간 운전에 어려움을 느끼는 고령 운전자의 경우엔 1차로를 주행하기도 합니다. 본래는 운전대를 잡으면 안 되겠지만... 사람 일이 마음 같이 되나요.
추월을 오른쪽으로 하는 것이 위험한 이유는
1. 운전석이 왼쪽에 있어서 왼쪽으로 살짝만 이동해도 전방 상황을 볼 수 있지만 오른쪽 차로로 거의 들어가야만 전방 상황을 볼 수 있어서 상황 판단을 빨리 할 수 없습니다.
2. 고속 도로의 램프는 오른쪽에 있고 서행차랴은 오른쪽 차로를 이용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추월을 위해 오른쪽 차로를 이용하는 것은 위험성이 높습니다. - 주행 차량을 추월하는 동안 저속 주행 차량과 급박하게 가까와지는 경우가 많음. 1차로 주행 차량이 같이 속도를 높이는 경우는 위험 천만.
고속도로를 잘 이용하려면
규정 속도를 준수하고,
추월차로는 추월할 때만 이용하고 추월이 끝나면 주행차로로 복귀하며( 주행차로에서 주행중인 차량에 너무 바싹 끼어들면서 복귀하는 것은 예의가 아님.- 안전거리 미확보)
같은 차로의 후방 차량보다 계속해서 천천히 가려면 양보의 의무를 떠올리면서 오른쪽 차로를 이용하면 되며,
차로 변경은 미리 깜빡이 켜고 안전한 방법으로 하며,
속도를 높이거나 차간 거리를 좁히는 방법으로 다른 운전자의 차로 변경을 고의로 방해하지 말고,
옆 차와 계속해서 나란히 주행하는 것을 피하고,
주변 차량의 흐름보다 지나치게 빨리 달리는 것을 피하며,
틴팅을 하려면 적당한 어둡기로 하여 후방 운전자들에게 전방 시야를 제공하면 좋겠습니다.
개인이 어떻게 할 수 있는 성격이 아닌 것 같습니다.
저도 많은 경험이 있는데, 오히려 위험해지고 기분만 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차로 점거 주행 운전자는 무슨 사정이 있거나, 운전면허를 편법으로 취득했거나, 본래 다른 사람을 배려하지 않는 성격이겠죠.
시력 저하로 야간 운전에 어려움을 느끼는 고령 운전자의 경우엔 1차로를 주행하기도 합니다. 본래는 운전대를 잡으면 안 되겠지만... 사람 일이 마음 같이 되나요.
추월을 오른쪽으로 하는 것이 위험한 이유는
1. 운전석이 왼쪽에 있어서 왼쪽으로 살짝만 이동해도 전방 상황을 볼 수 있지만 오른쪽 차로로 거의 들어가야만 전방 상황을 볼 수 있어서 상황 판단을 빨리 할 수 없습니다.
2. 고속 도로의 램프는 오른쪽에 있고 서행차랴은 오른쪽 차로를 이용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추월을 위해 오른쪽 차로를 이용하는 것은 위험성이 높습니다. - 주행 차량을 추월하는 동안 저속 주행 차량과 급박하게 가까와지는 경우가 많음. 1차로 주행 차량이 같이 속도를 높이는 경우는 위험 천만.
고속도로를 잘 이용하려면
규정 속도를 준수하고,
추월차로는 추월할 때만 이용하고 추월이 끝나면 주행차로로 복귀하며( 주행차로에서 주행중인 차량에 너무 바싹 끼어들면서 복귀하는 것은 예의가 아님.- 안전거리 미확보)
같은 차로의 후방 차량보다 계속해서 천천히 가려면 양보의 의무를 떠올리면서 오른쪽 차로를 이용하면 되며,
차로 변경은 미리 깜빡이 켜고 안전한 방법으로 하며,
속도를 높이거나 차간 거리를 좁히는 방법으로 다른 운전자의 차로 변경을 고의로 방해하지 말고,
옆 차와 계속해서 나란히 주행하는 것을 피하고,
주변 차량의 흐름보다 지나치게 빨리 달리는 것을 피하며,
틴팅을 하려면 적당한 어둡기로 하여 후방 운전자들에게 전방 시야를 제공하면 좋겠습니다.
그 이후로는 첫 느낌에 안비켜줄꺼 같으면 (그러면 안되는거 알지만 ㅡ.,ㅡ) 기냥 2차선으로 추월하게 되더라구요.. OT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