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최근에 나오는 왜건이나 SUV의 루프랙은 실용성을 떠나 스타일링에 중점을 두는 것 같습니다.
크롬도금으로 되어있는 차량이 대다수이다보니..
사실 실내 공간이 넉넉한 차에, 지붕 위에까지 짐을 얹는 건 좀 오바다 싶기도 하지만
독일로 오면 상황은 달라집니다.
독일인이 성실하고 시간 개념이 철저하다는 편견, 다 지워버리십시요 ㅎㅎ
그런거 없습니다.
융통성이 없어서 자신들이 정해놓은 체계를 그대로 밟아가고
그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모델 체인지 주기가 유난히 길었던 독일차를 떠올리시면 쉬울 듯)
무엇보다 현실 가능성과 실용성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스타일링만 좇는 아시아 국적의 디자이너 지망생들은 애를 많이 먹습니다.
(페라리타고 슈퍼마켓가면 이상한데 포르셰타고 장보러 가면 어색하지 않죠)
이번 여름에 유럽 날씨가 미쳤는가봅니다.
특히 독일은 날씨가 저주받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종잡을 수가 없네요.
5, 6월에도 춥다가 이번달에는 35도가 넘는 기온으로 사람 잡습니다.
길거리를 보면 그 더운날, 창문을 열고 다니는 차들이 많습니다.
에어컨을 틀지 않았다는 얘기죠.. (대단들 하십니다)
아직도 중형급 이하의 신차는 파워 윈도우와 에어컨이 선택 사양으로 분류된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대중 교통(버스나 지하철)에도 에어컨이 없는 경우가 부지기수죠..
요즘같은 날, 대중교통을 타면 기절합니다. 찜질방에 앉아있는 기분에다가 땀냄새와 암내.. 와우~~
원래 쓰려던 내용으로 돌아오자면 ㅎㅎ
정작 험로에 잘 들어가지 않는 SUV가 대부분이고, 루프랙이 스타일링의 요소로 자리잡은 요즈음에
본연에 충실한 모습을 발견했기 때문입니다.
디자인계열 미대에 있다보니 그림만 그리는게 아니라 제품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게다가 학기말인 요즘은 대다수의 학생들이 극도의 피곤함과 초예민함으로 가득차 있죠. 건들면 의 상합니다 ㅠ.ㅠ
저 친구는 MDF를 구입했는지 차 위에 루프랙에 얹어서 학교에 왔습니다.
누군가는 물어보겠죠.
"왜 배달 안 시키고 직접 저 고생을 해?"
생각처럼 쉽게 배달이 된다면 저렇게 하지도 않습니다 ㅎㅎ
인건비가 비싸서 왠만한 건 직접 들고 옵니다.
한국은 다 배달이고 전화 한 통이면 해결되죠 ㅋㅋㅋ
아마 저 친구가 저 합판을 배달시켰더라면,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상황이 왔을겁니다.
저것도 제대로 고정시키지 않으면 순찰 중이던 경찰차에 바로 걸립니다.
화물에 대한 부분은 좀 가혹한 편이라 때로는 귀찮을 때도 있는데, 덕분에 앞 차에서 떨어진 화물 때문에
사고로 이어지는 어이없는 일은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하는 편입니다.
게다가 실내 화물칸에 짐을 적재했을 때에도 제대로 고정하지 않으면 벌금을 물립니다.
급제동시에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판단인거죠.
(애완견도 별도의 벨트 따위로 고정시키지 않으면 경찰이 바로 세웁니다 ㅎㅎ)
그러다보니 화물칸에 천막을 씌운 트럭은 거의 볼 수가 없고
렌터카 업체에서도 '고객의 이동 경로 중에 고속도로를 이용한다(타도시 이동)'는 짐작을 하면
무조건 캡 형태의(화물칸 자체가 아예 봉인된 형식) 차량을 내어주곤 합니다.
갑자기 단속 얘기하니까 생각나는데,
5년여 전에 MINI를 빌려서 야간에 사진 찍겠다고 차 세워놓고 모든 램프를 점등하고
결국엔 후방 안개등까지 켰었는데 순찰 중이던 경찰이 와서 딱지를 끊으려고 하더라구요..
'너 왜 뜬금없이 후방 안개등켰어?'라면서 말이죠..
매우 순한 얼굴로 '제가 MINI를 너무 좋아하는데 어쩌구저쩌구 그래서 사진찍다보니 그렇게됐어요. 죄송합니다'
이랬더니 옆에 있던 다른 경찰이 그냥 가자며 보내줬습니다.
재미있는 광경을 핸드폰으로 찍었다가 사진 한 장만 올리려고 했었는데
이게 본의 아니게 공익적인 글로 이어졌네요 ㅋ
다 필요없고 이 녀석으로 차를 바꾸고 싶습니다.. kia venga..
하지만 그저 바램일 뿐, 지금 있는 녀석에 감지덕지하며 살고 있죠..
그에 대한 반성의 댓가(?)일까요..
어제 아침에 갑자기 소포가 하나 도착했습니다.
보낸 이는 Fiat Germany..
응? 이건 도대체 뭐?
박스를 열어본 순간 알았습니다.
한 달 전에 이메일로 날아온 뉴스레터에서 피아트 500C(지붕과 뒷부분이 컨버스탑으로 열리는 반 컨버터블 모델)의
이벤트에 응모했는데 당첨이 되었더라구요 ^^;
'네가 이 의자를 꼭 가져야 하는 이유롤 적어라'고 하길래
혹시나 하는 마음에 끄적끄적대서 보냈더니
'이 의자를 가져야 한다는 너의 의견이 우리에겐 매우 감명깊었다. 그러니 보내주마'라는 식으로
편지를 동봉해서 친절하게도 의자를 보내줬습니다.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이 아니라서 기분은 참 좋지만
그렇다고 저 의자를 펴놓고 룰루랄라 일광욕을 하기엔 날씨가 너무 덥습니다.
조금 선선해지면, 국도를 돌아다니다가 어디든지 펼쳐놓고 앉아서 책이라도 읽을 생각입니다 ^^
외국에 나가 살다보면 정말 융통성이 없는 사람들이란 생각이 들때가 많지요. 우리나라나 중국 같으면 빨리, 쉽게 해결될 일을 원칙따지면서 하다보면 5분걸릴 일도 30분이상 소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그 사람들이 빨리하는 방법을 몰라서 그런걸까요? 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들의 제도와 교육과 사회적인 인식이 그렇게 만들었다고 생각됩니다.
우리처럼 무조건 빨리빨리를 외치는 사람들에게는 적응이 안되지만 그쪽에서 우리를 보면 반대로 매우 위태위태한 것처럼 보일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전에 독일 장비를 설치할 기회가 있었는데 한국 기술자와 독일 기술자가 설치하는게 정말 대조되더군요.
한국 기술자들은 많이 설치해보지도 않은건데 매뉴얼이고 뭐고 필요없이 그냥 포장뜯어서 마구 설치하고, 안되니까 선 자르고 하더니 결국 새로 설치한게 문제되서 계속 고장나고 AS 받느라 고생했습니다.
반대로 독일 기술자는 여러번 설치해본 장비일텐데도 매뉴얼 펼쳐놓고 하나하나 꼼꼼하게 따라서 설치하더군요.
물론 시간은 독일 사람이 더 걸렸지만 그 장비는 몇년동안 아무 문제없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제시대에 교육받으신 어른들은 항상 한국사람들이 뭐든 대충대충하려 한다고 하지요.
그분들의 어린시절 기억에는 일제시대 교육의 잔재가 남아있어 일본인과 같은 방식으로 일을 처리하려는 경향이 남아있는것 같습니다.
주절거리다보니 우리나라 교육의 현실이 걱정되네요. 어릴때부터 기본 교양교육을 잘 시켜야 할텐데 선생은 학생을 구타하고 학생은 선생을 욕하고, 학교에서도 무조건 공부잘하는게 장땡이라는 식의 교육을 하니 그 아이들이 자란 앞날이 걱정입니다.

독일은 요새 매년 폭염인가요.. 06년에 버스탔다가 정말 미쳐버리는줄 알았습니다. 통유리에 문 다 닫고 버스시간 맞춰 기다릴 때 그냥 시동 꺼버리던데... 지금은 미국에 와있는데 얘넨 참.. ㅋㅋ
후방안개등 한국에서도 좀 잡아주면 좋겠네요 -_-
후방안개등 눈아파서 추월해서 앞으로 가면 이제 각도조절안된 HID가 기다리고있더군요 ㅋ

독일인과 독일 문화에 관한 님의 평에 상당 부분 공감합니다. 1년 동안 독일 사람이 제 지도 교수였기에, 저도 어느 정도 겪었지요. 전 공대에서 학위 과정 중에 있구요.
꼭 시간 약속이 칼같고, 성실하지는 않았구요. 일본인들과 비슷한 점이 많다고 들었는데, 일본인보다는 덜 의뭉스럽고 쾌활했던 걸로 기억합니다. 일에 있어서는, 결과론에 중점을 둔, 정량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늘 인상적이었습니다.
공대에서는, 한국 남자 학생과 독일 남자 교수와의 궁합이 잘 맞다는 말이 많이 들리긴합니다. 도제식 관계가 성립이 된다나요?
대부분의 독일인들이 자동차에 대해서 조예가 깊더군요. 운전 매너도 미국인들에 비해서는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운전을 하는 편입니다. 추월선으로 추월을 하고 나면, 잽싸게 2차선으로 비켜주죠.
구형 후륜 구동 포르쉐를 보면서, 제가 아는 척을 했더니, 단박에 독일 교수가 하는 말이 "네가 포르쉐 로고로 알고 있는 저 로고는, 특정 지역을 상징하는 문양이다. 포르쉐의 로고가 아닌. 예전에 포르쉐 공장이 한 눈에 내려다 보이는 곳에서 몇 년간 살았다." 뭐 이런 말을 하더군요. 슈트트카르트 대학 출신인지라.^^

작년에도 5, 6월에는 선선하고 가끔은 썰렁하기 까지 했었지요..하지만 7월달 지나고서 갑자기 더워진 날씨에 출퇴근 시간 노란버스 사우나는 고문이 따로 없었드랬죠.. 으으으...

루프랙 하니까 저도 떠오르는 기억이 있네요.
예전에 강원랜드 근처의 O2리조트에서 등산용 배낭 여러개를
지붕에 매단 채 주차되어 있는 베라크루즈와 맞닥뜨린 적이 있습니다.
'왜 저런 오버를??'하고 생각하며 다가서는데 3열 시트가 펼쳐져 있더군요.
그 때 알았습니다. 루프랙의 용도를..ㅋ
그 전까지는 세차할 때, 지붕을 닦기 위한 손잡이 정도로 생각하고 있었거든요.^^;
3열 승차를 고려해서 구매하는 SUV라면
옵션인 루프랙을 꼭 포함시켜야 겠다 싶었습니다.
SUV라는 명칭에도 걸맞는 것일 테구요..
재미 있게 잘 읽었습니다.
독일회사에서 근무하다보니 참 답답한게 많은데 서두에 적은 융통성과 정해진 기준 마음에 200% 와 닫습니다..
어떠한 경우는 한국 사람 사고 방식 보다 나은 경우도 있지만 답답한 경우도 있고 청렴할것 같은 사람들 같은데 생각 보다 아닌경우도 있고 정답은 없는듯 합니다.
네가 맞추어 살아야 한다는 것 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