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일본언론도 한국 수입차 구매행태 비판해 = 이와같은 한국인들 의 수입차 구매패턴에 대해 일본 언론도 한마디 하고 나섰다. 일 본 매체인 제이 - 캐스트(J - CAST)는 12일 “한국에서 일본차가 잘 팔리는데 이는 비싸야 잘 팔리는 한국인의 특이한 소비행동 에 기인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렉서스LS의 경우 한국 가격이 미국 가격보다 2배 이상인데도 잘 팔리는 것은 한국인의 특이한 기질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인들은 “너 차에는 이거 없냐”라는 동료의 놀림을 방어하 기 위해 풀옵션 승용차를 구매한다는 것이다. 도요타 등 일본 자 동차사들이 연간 판매량이 4만대 이하인 한국시장에 적극적으로 매달린 것은 판매대수에 비해 수익률이 높기 때문이라고 분석했 다. 실제로 도요타 코리아는 2001년 한국진출 이래 2002년부터 이익을 내기 작해 2002년부터 지난해까지 일본에 송금한 배당금이 180억원으로 한국에 투자한 돈(90억원)의 2배 수준이다.
...............
특히 한국에는 IMF의 회복으로 인해 갑작스레 부자가 된 경우가 많다며 '상급 모델이 주로 팔리는 이유는 「허세」'라는 부제를 달아 자세히 설명했다.
한국인들은 “너 차에는 이거 없냐”라는 동료의 놀림을 방어하 기 위해 풀옵션 승용차를 구매한다는 것이다. 도요타 등 일본 자 동차사들이 연간 판매량이 4만대 이하인 한국시장에 적극적으로 매달린 것은 판매대수에 비해 수익률이 높기 때문이라고 분석했 다. 실제로 도요타 코리아는 2001년 한국진출 이래 2002년부터 이익을 내기 작해 2002년부터 지난해까지 일본에 송금한 배당금이 180억원으로 한국에 투자한 돈(90억원)의 2배 수준이다.
...............
특히 한국에는 IMF의 회복으로 인해 갑작스레 부자가 된 경우가 많다며 '상급 모델이 주로 팔리는 이유는 「허세」'라는 부제를 달아 자세히 설명했다.
2006.11.15 01:08:31 (*.14.71.166)

컴퓨터의 경우에도, 꼭 최신의 최고 사양이 필요없는 용도의 경우에도 최신, 최고 사양을 대부분 구매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핸드폰도 마찬가지이구요. 제조사가 국내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을 그렇게 유도하는 경향이 크지만, 소비자가 적극적으로 그에 반항하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2006.11.15 08:48:59 (*.192.187.141)

솔직히 비꼰다기 보다는 사실보도죠 -_-;;; 훨씬 싸게 살수있는 제품을 소비자들이 담합해서 비싸게 공구하는 격이랄까...
2006.11.15 09:08:45 (*.52.80.6)
어제 ytn 에서 렉서스를 예를 들면서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봉이다 뭐 이런식으로 방송되더군요. 현지가격보다 비싼 차들중에(전부다 이지만) 특별히 렉서스를 택한 이윤 알수없지만.
ls460 리무진 버전은 현지가격보다 2배 이상 비싸다고 하더군요.
비싸야 잘팔린다는 소비자들의 특이한 행태 때문이겠죠. 어쨋든 가격이 현지 가격으로 내려간다면 현대가 정신차리겠죠. ^^
어쨋든 돈많은 사람들은 요즘 살기 아주 좋은 때인것은 확실합니다.
ls460 리무진 버전은 현지가격보다 2배 이상 비싸다고 하더군요.
비싸야 잘팔린다는 소비자들의 특이한 행태 때문이겠죠. 어쨋든 가격이 현지 가격으로 내려간다면 현대가 정신차리겠죠. ^^
어쨋든 돈많은 사람들은 요즘 살기 아주 좋은 때인것은 확실합니다.
2006.11.15 09:17:59 (*.120.132.59)

맞는말인것도 같지만 기분은 나쁘군요.
순정파(?)들은 풀옵을 선호하는지 몰라도 튜닝매니아들은 꼭 필요한 옵션만 최소한으로 넣고 차를 구입한다음 나머지는 애프터마켓용으로 튜닝하는데 -_-
순정파(?)들은 풀옵을 선호하는지 몰라도 튜닝매니아들은 꼭 필요한 옵션만 최소한으로 넣고 차를 구입한다음 나머지는 애프터마켓용으로 튜닝하는데 -_-
2006.11.15 09:48:46 (*.221.43.208)
집값 담합하는거 보면... 차값도 타는 사람들 끼리 담합을 하는게 아닐까 할 정도로
수입차 값이 비쌉니다. 조금 현실화 되어도 다양한 차를 탈 기회가 늘어날텐데...
수입차 값이 비쌉니다. 조금 현실화 되어도 다양한 차를 탈 기회가 늘어날텐데...
2006.11.15 11:47:32 (*.6.15.102)

인식이 아무래도 수입차 레벨은 풀옵은 돼야하지않냐는 식으로 비춰져서 그런걸로 알고있습니다...
전에 어디서 들은적이...
수입차 사는 소비자분들이 초창기에는 거의 과시용(?)이 많았던거 같은데 그게 계속 이어지고 있는게 아닐까 싶네요...
국산차는 옵션 묶음배송으로 팔고...
수입차는 풀옵션 위주로 팔고...
아주 현실적인 위험한 문제같습니다...
전에 어디서 들은적이...
수입차 사는 소비자분들이 초창기에는 거의 과시용(?)이 많았던거 같은데 그게 계속 이어지고 있는게 아닐까 싶네요...
국산차는 옵션 묶음배송으로 팔고...
수입차는 풀옵션 위주로 팔고...
아주 현실적인 위험한 문제같습니다...
2006.11.15 12:00:55 (*.244.218.10)

종덕님 스바루 임프레자 일본에서 중고로 한화 2000만원 정도면 사긴 합니다만, 신차일 경우 350만엔 전후입니다...
근데 갑자기 임프레자 가격은 왜 언급하셨는지요? ^^;;
근데 갑자기 임프레자 가격은 왜 언급하셨는지요? ^^;;
2006.11.15 13:47:31 (*.112.82.132)

예전에 일본에서 본 가격이 생각나서요. 최고옵션 말고 일반 2.0 터보 모델은 200만엔 중반 정도 갔던거 같은데요.~ㅎ 개인적인 드림카입니다~^^ 부러워요~
2006.11.15 15:03:53 (*.159.253.196)

사실 맞는 말이네요. '너 차에는 이거 없냐' 해서 풀옵션하는건 좀 비꼬기 위해 만든말 같기도 하지만. 이왕사는거 전부다 되는거로 사려다 보니 그렇겠죠 ^^ 진짜 이런 풍토때문에 수입차 가격이 터무니 없이 비싸도 합리적인 가격 개선이 안되는데 한몫하는 듯 합니다. 정말 문제...
2006.11.15 15:24:47 (*.217.175.121)

풀옵션을 선택하건 최소 옵션을 선택하건간에 오너의 목적과 취향에 부합하면 되므로 풀옵션을 선택했다고 욕 먹을 일은 아닙니다.
문제는 자기 필요에 의해서가 아닌 남의 눈을 의식해서 풀 옵션을 넣는 것은 우매한 소비 행태입니다.
남에게 있어 보이고 싶어서... 또는 무시당할까 두려워 풀옵션을 선택하는 사람도 줏대가 없는 사람이지만, 다른 사람의 차에 어떤 기능이 없다고 해서 업신여기고 깔보는 정서가 근본적인 잘못입니다.
이런 정서는 수입차 가격 정책에 영향을 미치며 이것은 곧 내수차의 가격 책정에도 반영이 됩니다.
주택 공사의 주택 공급 가격은 " 분양 원가 대비 몇 %" 가 아니라 "주변 시세보다 약간 싸게"라고 하지요.
자동차 역시 가격경쟁 차원에서 비슷한 크기와 성능의 수입차보다 약간 싸게 내놓으면 되는 것입니다. 그만큼 품질에도 자신이 있다는 이야기라고 볼 수도 있지만, 수입차와 비슷한 세금을 내야한다면 과연 그 가격을 책정할 수 있었을 것인지 의문이 생기죠.
그리고, 해마다 계속되는 파업 역시 차량 가격을 증가시킵니다.
영국의 자동차 회사들이 문을 닫은 이유 중 하나는 바로 높은 인건비와 파업으로 인한 채산성 악화입니다.
다국적 기업이 대부분 더 저렴한 인건비( 가격 경쟁력)를 찾아 중국 등으로 공장을 옮기는 마당에 현대도 그리 되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습니다.
일자리를 걱정해야할 시기가 올지 모릅니다...
문제는 자기 필요에 의해서가 아닌 남의 눈을 의식해서 풀 옵션을 넣는 것은 우매한 소비 행태입니다.
남에게 있어 보이고 싶어서... 또는 무시당할까 두려워 풀옵션을 선택하는 사람도 줏대가 없는 사람이지만, 다른 사람의 차에 어떤 기능이 없다고 해서 업신여기고 깔보는 정서가 근본적인 잘못입니다.
이런 정서는 수입차 가격 정책에 영향을 미치며 이것은 곧 내수차의 가격 책정에도 반영이 됩니다.
주택 공사의 주택 공급 가격은 " 분양 원가 대비 몇 %" 가 아니라 "주변 시세보다 약간 싸게"라고 하지요.
자동차 역시 가격경쟁 차원에서 비슷한 크기와 성능의 수입차보다 약간 싸게 내놓으면 되는 것입니다. 그만큼 품질에도 자신이 있다는 이야기라고 볼 수도 있지만, 수입차와 비슷한 세금을 내야한다면 과연 그 가격을 책정할 수 있었을 것인지 의문이 생기죠.
그리고, 해마다 계속되는 파업 역시 차량 가격을 증가시킵니다.
영국의 자동차 회사들이 문을 닫은 이유 중 하나는 바로 높은 인건비와 파업으로 인한 채산성 악화입니다.
다국적 기업이 대부분 더 저렴한 인건비( 가격 경쟁력)를 찾아 중국 등으로 공장을 옮기는 마당에 현대도 그리 되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습니다.
일자리를 걱정해야할 시기가 올지 모릅니다...
2006.11.15 15:44:16 (*.82.118.48)

뭐 아주 틀린말은 아니지만, 명품 브랜드 수입 1위를 달리는 자기네 나라 소비자 행태부터나 먼저 잘 챙기라고 말해주고 싶네요.
2006.11.15 16:48:24 (*.79.237.128)

수입사에서 선택의 권리를 안주죠. 일단 딜러부터 스페셜오더 넣는다면 그런짓을 왜 하냐고 합디다.-ㅅ- 일단 수입차오너=졸부로 정리해놓고 이야기를 시작 했네요.
2006.11.15 18:13:09 (*.7.28.194)

개인취향이 바로 허세인경우가 많죠.....허영심과 남에게 안꿀리려는 사치병 환자들이 많은것이 문제라고 봅니다....검소하고 절약하는 것보단....일단 저질르고...카드..사채에...할부에.......문제입니다.........
2006.11.15 19:25:14 (*.133.99.193)

무조건 수입사만 욕할 것이 아니라 외국보다 비싼 값에 팔아도 군소리 없이 사주는 사람이 늘어나서 판매대수가 늘어나니 당연한 것이겠죠. 어차피 능력있어 사니 가격인하압력도 없고 명품처럼 어차피 살 사람은 산다는 식의 마케팅을 펼치는 것 같습니다. 특히나 벤츠나 BMW는...상대적으로 폭스바겐이나 혼다, 인피니티가 조금 합리적인 가격(우리나라 기준으로나 여전히 합리적이죠, 글로벌 기준으로 보면 역시나 폭리입니다.)에 파니 판매량이 많은 것이구요.
2006.11.16 12:29:50 (*.10.85.83)

사실 소비자의 소비행태는 판매자의 접근 방식에 따라 많이 좌우 됩니다.
그걸 '마케팅'이라고 하죠... 사실상 한국에서만 유독 '귀족마케팅'이
잘 팔리는 것 처럼 언론에 의해 희화되는데... 그건 아니라고 봅니다.
비싼 차만 잘 팔리고...수입차값이 거의 두배 가까이 되도 잘팔린다..
이걸..전체 구매 패턴 및 시장 볼륨에 의해 환산할 경우,
여타 다른 나라들이 비해 그렇게 심한 %는 아니라고 봅니다.
오히려, 갈수록 양극화로 치닺는 사회 풍토 탓에 더 그렇게 보여질 뿐.
돈 있는 사람이라 하여, 일부러 웃돈 줘 가며 까지 과시하고 싶을까요?
경로만 다양해진다면 한국 시장도 정상화(?) 되겠지요.
제가 보기엔 소비자들의 뽐내기 심리가 근본적인 문제라기 보다
정작 그러한 심리를 이용한 판매전략으로 재미를 본 후
그에 걸맞는 사후 관리 체계및 '상도의'를 지니고 있지 않은
대다수의 판매자들이 더 큰 문제라 봅니다.
그걸 '마케팅'이라고 하죠... 사실상 한국에서만 유독 '귀족마케팅'이
잘 팔리는 것 처럼 언론에 의해 희화되는데... 그건 아니라고 봅니다.
비싼 차만 잘 팔리고...수입차값이 거의 두배 가까이 되도 잘팔린다..
이걸..전체 구매 패턴 및 시장 볼륨에 의해 환산할 경우,
여타 다른 나라들이 비해 그렇게 심한 %는 아니라고 봅니다.
오히려, 갈수록 양극화로 치닺는 사회 풍토 탓에 더 그렇게 보여질 뿐.
돈 있는 사람이라 하여, 일부러 웃돈 줘 가며 까지 과시하고 싶을까요?
경로만 다양해진다면 한국 시장도 정상화(?) 되겠지요.
제가 보기엔 소비자들의 뽐내기 심리가 근본적인 문제라기 보다
정작 그러한 심리를 이용한 판매전략으로 재미를 본 후
그에 걸맞는 사후 관리 체계및 '상도의'를 지니고 있지 않은
대다수의 판매자들이 더 큰 문제라 봅니다.
2006.11.16 15:12:13 (*.68.16.174)

제가 NF를 오더할 때에 2.4리터 쎄타엔진에 17인치 휠 VDC를 넣고자 했더니 다행히도 F24S Luxury "기본형"!이라는 그레이드가 있더군요. EPS가 없고, 조수석 파워시트가 아닙니다. 후방감지기도 없고, 공기청정기도 없고, JBL 사운드도 아니구요. 2330만원이었는데 지금은 F24S는 Premier로 통일되고 가격도 기본형이 2718만원부터군요. (변속기가 5단, 듀얼 에어컨으로 바뀌었습니다만) 빠진 옵션들이 400만원 가격을 할 수 없을 것 같군요. 어쨌든 판매가 저조하니 없어졌겠지만서도.... 근데 생각해보면 그 급에 맞는 풀옵션을 갖추는 것보다 더 윗급의 깡통 옵션을 사는게 더 남을 의식한 구매 같기도 하고. 어쨌든 옵션이 줄어드는건 안타깝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