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1.
귀국시까지 사용하려고 한달간 대여해서 2주정도 타고 다니던 엑센트에
타이어 경고등과 체크엔진등이 한꺼번에 들어온 관계로
어제 엔터프라이즈에 가서 차량을 바꿔받았습니다.
그런데 compact 차량이 남는 것이 없어서 그 윗급인 intermediate에서 Civic을 한 대 내주더군요.
차 이상때문에 차 바꾸러 가는 것이 무지 귀찮았었는데 추가금 없이 상급으로 바꾸어 주는 것에,
그리고 이제는 리모트, 파워윈도우 등 기타 편의사양이 있는 차랑을 탄다는 사실에 기분이 좋아져 버렸네요.
2010년형 Civic LX Trim으로 받아왔는데, 기존에 조수석에 타본 적은 있었어도 직접 운전한 것은 처음입니다.
이번에 미국에 와서 처음에 꽤나 오래 탔던 코롤라에 비하면 인테리어도, 차량의 거동도, 감성도 모두 Civic의 승리입니다.
게다가 디지털 속도계와 적산계는 마일과 키로미터를 변경할 수 있어서 제 주변 사람들 여럿이 미국에서 Civic 타다가
그냥 한국으로 가지고 간 이유를 조금이나마 이해하겠더군요.
1.8 SOHC i-vtec 엔진의 가속 반응도 나쁘지 않고, 서스펜션도 나름 이 세그먼트에서는 탄탄한 느낌이고
깡통휠이긴 하지만 205/55/16 타이어가 들어가 있습니다.
나름 Honda DOHC i-vtec 엔진은 여러대의 차량을 소유해 보았는데 (2002 Civic Si 2.0, 2006 CR-V 2.4, 2008 CR-V 2.4)
이들 엔진보다는 마이너스펙이지만, 역시 나름의 감성이 있는 엔진이라는 느낌이 듭니다.
단점이 있다면, 계기판이 두개로 나누어져 있는 것은, 타코미터를 자주 보는 제게는 좀 불편하네요.
지금 세대의 Civic Si를 타본 경험은 없는데, 은근히 타보고 싶다는 생각도 많이 들게 하네요.
8월 14일까지 2주간 이 녀석을 타고 다닐텐데, 이정도면 매우 만족입니다.
2.
한국에 돌아가면 KTF에서 SKT로 갈아타면서 T-Map을 사용해 볼 생각입니다.
그래서 스마트폰을 구입하는 것을 고려중인데, 아무래도 갤S가 제일 나아보이기는 합니다만,
실제 손에 잡고 오래 써보지 않으면 장단점을 알기가 힘들 것 같네요.
혹시 SKT용 스마트폰 쓰시는 분들 있으시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덧붙여서 굳이 번호이동을 하지 않아도 실제 제품 구입비용이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습니다.
요즘은 약정 프로그램을 통해 구입하는 형태라서 마치 신규 또는 번호이동이 상대적으로 금전적 이익을 가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기기변경 역시 거의 동일한 비용으로 구입 가능합니다.
일단 T-map이 절대적 기준이 아니시라면 기기변경도 나쁘지 않은 선택일 수 있습니다.
KT용 스마트폰 리스트
- 넥서스원 (구글 레퍼런스폰 재고 부족), 레전드(HTC), 아이폰(애플)
혹시 몰라 LGT용 스마트폰
- 옵티머스Q(LG), 갤럭시L(삼성, 갤럭시S와 동일한 스펙에 3.7인치 AMOLED+적용)
SKT와 KT용으로 출시되는 옵티머스Z는 최적화가 되지 않아 추천드리기 어렵습니다.
옵티머스Q는 그나마 나은 편입니다.(하지만 배터리는 포기하셔야..)
딱 잘라서 말씀드리자면, LG전자의 스마트폰은 연내 구입은 미루시는 것을 권합니다.
삼성전자와는 대조적으로 고성능 피쳐폰을 주력으로 2010년 글로벌 전략을 세웠던 LG전자는 현재 스마트폰 관련 개발자는 물론 기획, 디자인, R&D 분야 모두 타 경쟁사에게 월등히 밀리는 형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사업부문까지 독립적으로 운영되지 못하는 상황이다보니 어거지로 찍어낸 스마트폰이라는 것이 좀 더 정확할 것 같습니다.
제품 자체가 하드웨어적으로 나쁜 것은 아니지만, S/W가 올라가면서 전체적으로 좀 삐걱거리는 느낌입니다. 단순 3D가속이라던지 이런건 문제가 안되는데, 전체적인 제품 응답속도가 경쟁 제품에 비해 떨어집니다.
처음 Z를 만져본게 지난 6월 경이었는데, 그때는 정말 눈뜨고 못봐줄 지경이었구요..
지금은 많이 좋아졌지만 경쟁 제품과 비교했을때 많이 딸립니다. (사실 올해 봄에 내놨어야 하는 제품인데, 밀리고 밀려서 이제서야 나오는거죠..-_-;;)
옵티머스 Z는 연내 상품성이 완전히 사라질 수도 있는 비운의 제품이죠..
자세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일단 T-Map을 써보고 싶다, Smartphone을 써보고 싶다의 두가지 이유가 주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SKT로 넘어갈 것 같습니다. 사실 원래 SKT만 쓰다가, 잠시 무슨 생각이 들어갔는지 2년간 KTF로 외도를 한 것이었구요. --;;;
적어주신 정보로는, 역시나 갤S가 제일 나은 것 같습니다. 그나저나 갤S의 경우 통화중 끊김이나 초기화 현상 등의 문제점들이 검색결과로 나오는데, 이런 점은 괜찮은가 모르겠네요. 혹시 아시면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초기화 현상이나 통화중 끊김 등은...
사실 "사소한" 문제점입니다.
말씀하신 부분들은 최근 펌업으로 해결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보다 더 큰 이슈는 북미에 판매된 갤럭시S의 경우 GPS자체가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해서 사용자가 불편을 겪고 있다고 하는군요-_-;
(이에 대해 삼성전자 측에서 공식적으로 해당 문제를 인정하고 펌웨어 업데이트를 준비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사실 어떤 스마트폰이든간에 문제점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100% 완벽한 폰은 없으니깐요 ^^;
중요한건 "실제 사용자가 얼마나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는가"가 아닐까 싶습니다.
초기화 현상은 당시 원인 발생 기준이 휴대폰의 전원을 끄지 않고 배터리를 뺐을때 나타나는 현상이었으며(사용자가 조심하면 일단 문제는 안됩니다.), 통화중 끊김 현상 자체는 폰 자체의 결함으로 보기에는 어려움이 많습니다.(대체적으로는 통신망 문제일 때가 더 많습니다.)
도움되셨길..^^

음...저는 현재 소니에릭슨 엑스페리아1을 쓰고있는데요. 물론 윈도우 모바일 기반이라..참...쓰기 어렵고 다른것과 많이비교됩니다만..
T맵이 윈도우 모바일용도있어서 가끔 네비안들고나오거나 급하게 어디갈때 쓰기는 합니다..
T맵 좋은거같은데..사실 네비게이션이있으면 별로 안쓰게되더라구요..
실시간 교통도 나와서 좋고 안전운전구간도 매번빠르게 업데이트 해주고.
저는 걷는 시간이 많다보니 Playmap이라고 뚜벅이용으로 좋은 어플있습니다...
겔S 화면 상당히 크고 밝아서 보기에는 편해보였습니다.. 3GS랑 비교해가면서 봤는데 속도도 괜찮고.. 헌데..
친구가 산지 얼마안되서 어플을 하나도안깔아놔서...;;;
3GS 또는 아이폰4 보다 화면큰건 정말 인정..ㅎㅎ 근데 전 개인적으론 두개놓는다면 아이폰으로...;;
겔S는 조만간 안드로이드3.0 고급형 OS나오면 분명히 구형될꺼구요..
그럴꺼면 그냥 갖고있어도 구형됬다는 마음쓸 걱정이 덜한..아이폰으로..
T맵..쓸만한 제품이기는 한데 경로 이탈로 인한 재 검색시에는 화면의 맵들이 사라지고 검색한다는 %만 나와서 조금 짜증이 나는 부분도 있습니다.
예를들면 재 검색중에 빠지면 되는 길을 맵상으로 보지 못하고 지나치는 경우도 있고 전방에 카메라를 안내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T맵 적용 안드로이드폰인 모토로이 사용자 입니다.
전화오면 T맵 프로그램이 부팅되며 이용하던길을 계속 안내 받겠냐고 묻습니다.
가끔 재부팅도 안될때가 있기도 합니다.
그리고 음성통화로 길안내 받기도 안된다는.. 통화하고 나면 데이터를 받아야 하는데
프로그램이 재부팅되니..
T맵이 적용된 SK엔나비가 곧 나오는데 Tmap처럼 스마트폰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 받습니다.
블루투스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SK가 아닌 타사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아이폰3G가 포함되어 있는것을 본적이 있습니다.)

갤럭시S쓰고잇습니다
펌웨어 1.02(?)최신버젼 어제 다운받아서 쓰고있구요
전 운전중
갤S로 잭 연결해서 노래듣고 Tmap쓰며 정차중 문자하며 전화도 합니다.
출시날 구입해서 이제껏 다운되거나 이런현상 겪어본적없습니다.
런쳐프로 사용중이며
플래쉬매모리에 대이터를 10기가 정도 넣어두고 다닙니다.
GPS만 데이터와 연동해서 더 정확하게 잡으시면 더 좋은 성능냅니다
그리고 전 올인원95쓰는데 단 한번도 2기가 체워본적이 없네요 아직..
거의 일기가에서 일.5기가 정도 씁니다..
회사에선 와이파이가 빨라서 ^^..
갤럭시s 쓰고 있습니다. 제가 재수가 없는건지.... 벌써 교품 받았네요 ㅡㅜ첨에는 멀티 터치가 어느 한부분에서 되지 않아 패턴으로 암호를 걸경우 풀어지지를 못해서 교품 받았구요 현재 폴더를 여러개 만들어 정리했는데 다른 폴더는 이상없이 열리는데 한폴더만 안열린다던지 자주 다운된다던지 하는 증상때문에 as센터에 가있는 상태입니다ㅜㅠ

전 지난 3년간 스마트폰 쓰다가 최근 구형 2G 전화기로 바꿨습니다.
역시 전화기는 전화가 잘되야....
그런거 걱정 안하시면 스마트폰 대단히 좋은 물건이죠. 특히 지하에 안들어가시고, 지방에 안가시면 더더욱.
현재의 스마트폰은 제가 10여년간 PDA와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필요로 하는 모든 기능이 담긴 궁극의 그것이죠.
모든 스마트폰이 그렇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물론 완벅한 물건도 있긴하겠죠.

현재 SKT에서 넥서스원을 사용중입니다. 1월에 구입해서 개인인증을 통해 가입한 케이스고요..
2.1에서라면 디자이어용 TMAP 사용이 가능하고, 현재 디자이어가 2.2 업데이트 중이니 2.2용 TMAP이 곧 출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초반엔 넥원으로 TMAP을 썻었는데, 지금은 아몰레드에 데이터 전용 USIM을 넣어서 네비 전용으로 씁니다)
미국에 계시기 때문에 저렴하게 넥서스원 PB99100(T-mobile용)을 들고 오시는것도 괜찮은 선택이라 생각됩니다.
구글의 빠방한 지원을 통한 빠른 업데이트라는 메리트가 있지요^^
앱 호완성이 뛰어나고, 레퍼런스격인 단말이라 시뮬에서만 테스트 되어도 넥원에서는 에러나는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또 부트로더 언락없는 루팅의 재미도 있고요.
그리고, 다른 스마트 폰에 대해서 보자면
겔S의 경우 지금 사용중인 프로요 보다 UI반응성은 더 뛰어납니다. 삼성의 엄청난 지원을 통해 각종 이벤트 들도 열리고 있는 중이고요. 화면의 크기 및 밝기도 넥서스원보다 뛰어나다고 생각됩니다.
초기화 / 통화 끊김현상은 펍엄으로 해결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단점은 비싸다 / 해외버전에 비해 다운스펙된 스펙 / 업데이트 속도 / 휴대성(가볍지만 큽니다 -_-;;)
앱 호완성 - 마켓에서 다운로드 한 앱중 동작하지 않는 녀석들이 있습니다.
정도로 생각됩니다.
디자이어는 넥원이랑 거의 동일하고,
베가의 경우 국내 최초 with Google 제품으로 앱 호완성이 뛰어날 것이라 예상됩니다(아직 예판중이라..)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요. 팬텍이 LG를 눌렀다고 자신하는 것 만큼의 기능은 있어 보입니다.
옵티머스Z는 아직 손에 만져보지는 못하여서 확실히 말씀드리기는 힘들지만, 빠른 업데이트만 보장된다면 상당한 성능을 낼 것으로 기대 됩니다. 하드웨어적으로는 1.6 옵Q에서도 거의 최고속도를 내고, 2.1옵Q는 2.1넥원보다도 빠른 성능을 보여주고 있어 옵Z역시 동일선상에서 좋은 성능을 낼 것으로 예상되어 집니다.
(LG가 승부수를 던질 떄가 되었죠^^)
제가 아는 부분은 이정도네요^^
SKT용으로 스마트폰을 선택하신다면, 현재 대안은 의외로 몇개 안됩니다.
쓸만한 스마트폰 중에서 SKT만으로 고른다면 3개 정도 되는데요
1. 갤럭시S(삼성전자, 애니콜)
2. 베가(팬택, 스카이)
3. 디자이어(HTC)
1. 갤럭시S
- 4인치 화면이 장점
- 양산품중 2개 제품밖에 쓰이지 않는 45나노 공정 CPU(저발열 고성능)
- 허밍버드 1GHz (스냅드래곤보다 약 20~30%정도 고성능)
- 슈퍼 AMOLED (고휘도, 검정색 구현이 탁월, 하지만 펜타일 방식이라 가독성은 다소 떨어짐)
- 화면이 커서 그립감이 나쁘지만 얇고 가볍고, 상대적 발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현재 이클레어(안드로이드 OS 2.1)적용, 프로요(2.2)업데이트 예정 확정
2. 베가
- 3.7인치 AMOLED 적용 고휘도
- 후면 그립감이 좋아 손에 쥐고 있을때 안정감이 있습니다.
- 다양한 색상(4종)
- 큐브 인터페이스를 적용, 음성인식 탁월
- 굉장히 가벼움(갤럭시S보다 경량)
-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 벤치마킹 점수가 갤럭시S를 제외하고 가장 높음 (안드로이드 2.1 , 스냅드래곤, SKT 동일조건 기준)
- 이클레어 적용, 프로요 업데이트 확정
3. 디자이어
- 3.7인치 Display
- HTC 센스 UI
- 이클레어 적용, 프로요 업데이트 일정 확정 (8월)
- 가장 빨리 출시했고, HTC의 명성은 익히 뛰어남 (전세계 스마트폰 점유율이 가장 높은 브랜드)
- 핑거마우스 내장
- 제품 하단 단축키가 3개 제품 중 유일하게 구글 고유 인터페이스로 구성됨 (갤스는 검색키 삭제, 베가는 검색키가 측면 버튼)
- 멀티터치 오류 있음 (하드웨어 문제라 해결 불가로 알고 있어요)
- 초기 제품은 AMOLED적용이며, 이후 후기형 모델은 S-TFT 적용(귀국하시면 거의 99%확률로 후기형 구입하시게 됩니다.)
제가 이쪽 분야에서 밥벌어먹고 살다보니-_-;
실제로 모두 사용해보고 평가내린 부분입니다.
구입에 참고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