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재 미국 LA에 거주하는 초보 회원 심요섭입니다.

 

이번에 7월 31일, 8월 1일 이틀간 NASA (National Auto Sport Association) 에서 주최하는 HPDE (High Performance Driving Event) 에 다녀왔습니다. 참가기 까지는 아니더라도 간단히 초보의 첫 트랙데이 경험담을 남겨보고자 글을 올립니다.


참고로 저는 면허도 또래 친구들 보다 조금 늦게 땄고, 제 명의의 차를 소유하게 된지도 그리 오래 되지는 않습니다. 그나마 아내가 자동 면허라 거의 자동 변속기 차량만 운전했습니다. 그동안 호시탐탐 기회만 노리다가 미국에 와서, "캘리포니아에서 차 없이는 어디 돌아 다니기 힘들다"라는 이유를 들어 차를 한대 더 사자고 아내를 설득했습니다. 그리고, 반드시 문 네개 달리고 뒷 좌석 있는 차를 사라는 아내에게 "문 두개 달린 차가 더 싸다"고 설득해서 마침내 첫 수동에, 무려 후륜구동(!)인 Mazda Miata MX-5 (NB) 를 중고로 영입하게 됐습니다. 처음에는 고생도 했지만, 수동 변속기에 적응해 가며 점점 운전하는 재미를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러던 중 아내가 아이들을 데리고 잠시 한국에 가 있게 되었습니다. 혼자 미국에 남게 된 저는 '수년안에 다시는 못올 금쪽같은 이 시기'에 그동안 마음은 굴뚝 같았지만 해보지 못했던 트랙데이 참가를 하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그리고, 온라인에서 드라이빙 스쿨 및 트랙 데이 이벤트를 검색하다가, 곧 NASA에서 HPDE를 연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컨버터블이 트랙 주행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롤바를 달게 되어 있더군요. 그래서 달았습니다.


07252010435.jpg



그리고,  첫 트랙 주행 준비 차원에서 차의 오일류를 전부 교환했습니다. (엔진, 변속기, LSD, 클러치, 브레이크)


07272010451.jpg



또한 가뜩이나 부족한 헤드룸에 헬멧까지 착용해야 하므로, 시트 포지션을 낮추는 DYI 작업도 하게되었습니다. 시트 커버를 벗겨내고 폼을 적당히 잘라내는 것인데요. 커버를 시트에 고정하는 호그링이 무려 스무개 가량은 있는 것 같더군요. 일일히 플라이어로 펴서 빼낸 다음, 폼 작업후 다시 하나씩 고정시키는데, 정말 손에 쥐나는 줄 알았습니다.


07282010456_2.jpg



 

<첫째 날>

 

오전 7시에 Auto Club Speedway (구 California Speedway)에 도착해서 차량 점검을 받고, 8시 반에 드라이버 미팅에 참여해서 트랙 주행 룰과 깃발 신호등을 배웠습니다. Miata는 느린차의 전형으로 항상 교보재로 활용되더군요;;;

 

07312010460.jpg

 

(나중에 알고 보니 옆의 M쿱 주인도 인스트럭터 였습니다.)

 

 

드라이버 미팅에서는 무엇보다 참여 구성원의 다양함에 놀랐는데요. 18세 아가씨, 20대 청년 부터 시작해서 중년 여성, 백발이 성성한 할아버지들까지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모두가 공통의 취미를 가지고 함께 모여서 즐기는 모습이 참 보기 좋았습니다.

NASA의 HPDE 홍보 영상입니다.

 

  

 

NASA의 HPDE는 다음과 같이 네개의 레벨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HPDE-1 : Novice

HPDE-2 : Beginner

HPDE-3 : Intermediate

HPDE-4/Time Trial : Advanced

 

저는 당연히 저같은 왕초보를 위한 HPDE-1에 참가하게 되었고요. HPDE-1은 인스트럭터가 한명씩 동승해서 운전자를 가르쳐주게 됩니다. 저는 운이 좋은 건지 나쁜 건지 중간에 인스트럭터가 두 번 바뀌어서 이틀간 총 세명에게서 가르침을 받았습니다.

 

이번 HPDE가 열린 Auto Club Speedway의 트랙 맵입니다.

 

CA-lineL.jpg
 

 

이날 HPDE-1과 2은 같은 그룹에서 주행을 했습니다.

HPDE-1/2 는 추월에 관한 규정이 매우 엄격해서, 4-5, 6-7, 11-12, 19-1의 직선 구간을 제외하고는 추월이 금지됐습니다.

 

 

정말 다양한 차들이 제 그룹에 있었는데요. 미아타, MR-2, 셀리카, BMW 웨건 부터 시작해서 란에보, M3, S5, 콜벳, 머스탱, 카마로, 911, 알피나, GTR 등등 차종 및 출력에 구별없이 함께 달렸습니다. 처음에는 좀 위험할 수도 있겠다 싶었지만, 서로 포인트 바이 잘 해주면 문제 될게 없어 보였습니다.

 

08012010465.jpg

 

08012010468.jpg

 

 

08012010469.jpg

 

 

가장 인상 깊었던 차는 포르쉐 959 였습니다;;; 이런 차와 함께 트랙에서 달린다는 것 자체가 영광이 아닐까 싶었습니다. 할아버지께서 운전은 아주 살살 하시더군요.


08012010470.jpg

 

 

다른 그룹에 있던 인상적인 차들입니다. 제가 트랙이 처음이라 마음의 여유가 없었고, 쉬는 시간에는 머릿속으로 운전을 어떻게 해야 할 지 고민하느라 사진은 많이 찍지 못했습니다.

 

08012010462.jpg


 

08012010463.jpg

 

 

08012010464.jpg

 

 

기본적으로 하루에 4 세션이 진행되고, 한 세션 당 20분 가량 트랙을 주행했습니다.

그리고 매 세션이 끝난 후에는 클래스룸에 다시 모여, 다운로드 미팅이라는 이론 교육, 자아비판 및 소원수리(?)의 시간을 가졌고요.


제 트랙 주행의 첫 느낌은 "무섭다"였습니다. 첫 인스트럭터 였던 Jared 는 트랙 주행 및 오토크로스 경험이 없다는 저에게, 100~120 마일 (160~200km)의 고속 주행이 불편하지는 않냐고 물어보더군요. 괜찮다고 대답 했는데, 이건 왠걸 트랙을 달리는 것은 공도에서의 주행 또는 제가 막연히 상상하던 것과는 차원이 달랐습니다. 제 차인 Miata가 빠른 차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무섭기도 하고 스릴 있기도 하고 뭐라고 표현하기 힘든 느낌이었습니다.

 

그리고 정말 배울 것이 많고, 동시에 처리해야 할 정보의 양이 많더군요. 기본 규칙, 코너 워커, 깃발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코너에서 apex 및 exit에 시선 처리도 하고, 가속 또는 감속도 해야하고, 기어 변속도 해야하고, 자기 라인도 그려야 되고, 다른 차도 봐야되고. 많은 연습양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July-31-2010-Nasa HPDE 1-2 3pm CP4_9220.JPG



창피하지만 저는 첫 세션에서는 8번 턴에서 한번 off, 두번 째 세션에서 4번 턴에서 한번 스핀해서 검은 깃발을 받았습니다;;; 코너이탈이나 스핀을 하면 무조건 피트인 시키더군요. 차량이나 드라이버에 이상이 있는지 점검하는게 목적이라지만, 기분은 꼭 잘못하고 혼나러 들어가는 학생같았습니다. 이 때부터 저와 제 블루 미아타는 문제 학생으로 찍히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나중에 계속...)

 

Jared 도 미아타를 타는데, 차가 오버힛되서 본인 그룹에 참여를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중간에 한번 HPDE 리더의 허락을 받고 제 차를 Jared가 운전하고 제가 동승하여 한 세션을 주행했는데요. 정말 드라이버가 바뀌니, 완전 다른 차를 타는 느낌이 들더군요. 가장 중요한 튜닝은 드라이버 튜닝이라고 누가 이야기를 하던데, 정말 공감이 갔습니다.

 

 

이어서 세번째 세션부터는 스핀 없이 주행을 마쳤습니다. 사람들이 박수를 쳐주더군요;;;

그런데 첫 랩에서 블렌딩할 때 2번 턴이 지난 후에 하게 되어 있는데, 의아하게도 인스트럭터가 출발 후 바로 트랙으로 올라가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그렇게 했는데, 나중에 다운로드 미팅에서 HPDE 리더한테 이 것 때문에 혼났습니다. Jared도 잘 가르치지 못했다고, 나중에 다른 인스트럭터로 교체된 것이 아닐까 추측해 봅니다.

 

 

마지막 네번째 세션에서는 Mike라는 인스트럭터에게 가르침을 받았습니다. Mike는 자기가 트랙에서 타본 차 중에서 제일 재미있던 차가 터보 미아타였다고 하더군요.

 

 

그렇게 첫째날 일정을 마쳤습니다.

종합해보면 하루 종일 HPDE-1 드라이빙 교육의 포인트는 '시선 처리' (apex 그리고 exit 바라보기)와 '부드러운 라인 그리기'였던 것 같습니다.

 

 

이후 근처 숙소로 이동해서 잠을 청하려고 누웠는데, 잠이 오질 안더군요.

온몸의 신경이 모두 날카롭게 일어나 있는 기분이었습니다. 누워있는 동안 계속 캘리포니아 스피드웨이 트랙과 각 코너들이 머리속에 그려지고, 저의 뇌는 계속 트랙에서 운전을 하고 있었습니다.

 

 


<둘째 날>

 

둘째 날에는 Gene이라는 인스트럭터에게 교육을 받았습니다. Gene은 박스터로 레이스에 참가하는 선수입니다.

정말 친절하고 또 쉽게 설명을 잘해줘서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08012010471.jpg



첫째 날에는 긴장도 많이 되었는데, 둘째 날은 확실이 트랙에서의 운전이 훨씬 편하게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블루 미아타는 첫 세션에서 또 사고를 치게 되었는데요. 추월 금지 구간에서 실수로 다른 차를 추월하고 만 것입니다.

전날 보통 포인트 바이해주면서 추월을 당했지, 다른 차를 추월할 상황은 별로 없었기에 당황했던 것 같습니다.

 

이 패싱 룰이 굉장히 엄격해서 저는 두번 째 세션 주행을 금지 당했습니다. 좀 억울하기도 했지만, 안전을 위한 룰이니 따르기로 했습니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대신에 HPDE 리더가 자기가 운전하는 차를 동승시켜 주겠다고 하더군요. 트랙용으로 개조된 E36 M3 입니다.


08012010466.jpg

 

 

처음 몇 랩에서는 정말 부드럽게 교과서 적으로 라인을 그리면서도 빠르게 달리는 것에 놀랐습니다.

그러다가 점점 속도를 올렸는데, 저에게는 정말 신세계(?)를 경험하는 것 같았습니다. 난생 처음 경험해 보는 g-force 가 마치 롤러 코스터를 타는 것 같더군요. 중간에 교육생의 GTR을 먼저 보내고, 뒤에서 추격하는데 좀 엄살을 보태 죽는 줄 알았습니다;;;

 

 

세번 째 세션 부터 저는 다시 주행을 시작했고, 미아타로 다른 차들도 종종 패스하면서 재미있게 탔습니다.

Gene이 재미있는 것이, 뒤에서 고출력 차량이 오면 포인트 바이 해주면서도 개스 페달에서 발을 떼지 말라더군요. ㅋㅋ 추월을 하는 것은 그들이 알아서 할일이라고. 좀 우울한 것은 제가 풀 쓰로틀 상태여도 다들 알아서 잘 추월해 가더군요. ^^;

 


네번 째 세션에서는 때때로 조금씩 차가 미끄졌습니다. 그래서 Gene에게 제가 뭘 잘 못한건지 물어 봤습니다. 그랬더니, 그렇게 운전하는게 맞다고, 차와 타이어가 한계에 이르러서 그렇다고 하더군요.

 


마지막 일정을 마치고 Gene 이 저에게 조언한 내용은 스티어링 휠을 더 부드럽게 조작하라는 것이었습니다. 제가 좀 급하게, sharp하게 조작한다고 알려줬습니다. 앞으로 이 부분에 촛점을 맞추고 개선해봐야 겠습니다.



 

이틀 연속으로 트랙 이벤트에 참가했더니, 에너지 소모가 많고 몸이 많이 피곤했습니다.

하지만, 굉장히 즐거웠고 또 좋은 경험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에도 기회가 된다면 꼭 다시 참가하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이틀 동안 제가 만난 몇몇 인스트럭터들이 각자 운전실력 향상 방법을 추천해 줬는데요.

서로 다른 방법을 제시한 것이 재미있어서, 한번 옮겨 봅니다.

 

1. Jared : 오토크로스

 

2. Mike : 비디오게임 ("그란투리스모")

 

3. Josh (위에 M쿱 주인) : 책 ("Going Faster", "Speed Secret")



동의 하시는 지요? ^^

 


이상 두서없는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