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조선일보 오늘자 기사입니다
아래 읽어보시면알겠지만 S500 4MATIC L 의 한국내 판매가격이 2억 0960만원
미국내 가격이 8241만원이랍니다
아마 동급이라는거보니 현대소나타,그랜져 미국가격비교 처럼 옵션깡통3.3이나3.8과
비교했던 우는 범하지 않을듯하구요.. DVD는 7인치 매립하는데 50만원, 블루투스는
그냥 무시하더라도 1억 2천만원정도의 차이가 나는군요
예전에 S2000을 일본내중고차가격으로 구매해서 한국내로 들어올까 고민했을때
지인으로부터 대략 차 가격의 30~35%정도 더 세금 및 운송료로 붙는다고 하셨던거같은데요
그리고 2년이상 운용하면 세금이 좀 줄어들구요....
저정도 가격차이면 그레이업체 없이 그냥 가져오는게 더 이익 아닐까요?
AS는 무시해도 될정도의 가격이구요
고장나면 "미국에서 몇년 몰다가 가지고왔어요" 라고 하죠 뭐..
8241만원의 S500L 4matic...
과연 이시점 저 차를 고민하는 아저씨였다면 들여올만하지 않을까요?
------------------------------------------------------------------------------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가 28일 출시한 S500 4MATIC L 모델의 국내 판매 가격은 대당 2억960만원으로 책정됐다.
벤츠의 플래그쉽 모델로 배기량 5500cc급 V8 엔진, 자동 7단 변속기를 탑재했다.
이 차량은 특히 최고출력 388마력(6000rpm), 최대토크 54.0kg.m(2800~4800rpm)를 발휘해 승차감이 뛰어나면서도 폭발적인 엔진파워를 지녔다.
여기에 상시 4륜구동 방식을 적용해 빗길이나 눈길, 미끄러운 노면에서도 차량의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미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배기량이 같은 동급 모델(S550 4MATIC)은 권장 소비자 가격이 대당 8241만원에 불과하다. 같은 차 두 대를 사고도 남는 2.5배 수준이다.
독일에서는 S500L 4MATIC 모델명으로 판매되는데 소비자 가격이 1억2061만원이며, 일본(S550 4MATIC)에서의 판매 가격은 1억402만원에 불과하다.
같은 차종이면서도 왜 한국에서만 소비자 가격이 유난히 비싼걸까?
이에 대해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의 김예정 상무는 "미국 자동차 시장은 한국에 비해 규모가 클 뿐만 아니라 경쟁이 치열해 소비자 가격이 낮게 책정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여기에 "한국에서는 거의 판매량이 적기 때문에 그만큼 차량의 가격을 높일 수 밖에 없으며, 국내 자동차 소비자들의 취향을 고려한 편의사양이 적용됐기 때문이다"고 덧붙였다.
국내 소비자들의 취향을 고려한 편의사양으로는 한국형 DVD 내비게이션과 블루투스 이동전화 장치가 적용된 것을 의미한다.
아래 읽어보시면알겠지만 S500 4MATIC L 의 한국내 판매가격이 2억 0960만원
미국내 가격이 8241만원이랍니다
아마 동급이라는거보니 현대소나타,그랜져 미국가격비교 처럼 옵션깡통3.3이나3.8과
비교했던 우는 범하지 않을듯하구요.. DVD는 7인치 매립하는데 50만원, 블루투스는
그냥 무시하더라도 1억 2천만원정도의 차이가 나는군요
예전에 S2000을 일본내중고차가격으로 구매해서 한국내로 들어올까 고민했을때
지인으로부터 대략 차 가격의 30~35%정도 더 세금 및 운송료로 붙는다고 하셨던거같은데요
그리고 2년이상 운용하면 세금이 좀 줄어들구요....
저정도 가격차이면 그레이업체 없이 그냥 가져오는게 더 이익 아닐까요?
AS는 무시해도 될정도의 가격이구요
고장나면 "미국에서 몇년 몰다가 가지고왔어요" 라고 하죠 뭐..
8241만원의 S500L 4matic...
과연 이시점 저 차를 고민하는 아저씨였다면 들여올만하지 않을까요?
------------------------------------------------------------------------------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가 28일 출시한 S500 4MATIC L 모델의 국내 판매 가격은 대당 2억960만원으로 책정됐다.
벤츠의 플래그쉽 모델로 배기량 5500cc급 V8 엔진, 자동 7단 변속기를 탑재했다.
이 차량은 특히 최고출력 388마력(6000rpm), 최대토크 54.0kg.m(2800~4800rpm)를 발휘해 승차감이 뛰어나면서도 폭발적인 엔진파워를 지녔다.
여기에 상시 4륜구동 방식을 적용해 빗길이나 눈길, 미끄러운 노면에서도 차량의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미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배기량이 같은 동급 모델(S550 4MATIC)은 권장 소비자 가격이 대당 8241만원에 불과하다. 같은 차 두 대를 사고도 남는 2.5배 수준이다.
독일에서는 S500L 4MATIC 모델명으로 판매되는데 소비자 가격이 1억2061만원이며, 일본(S550 4MATIC)에서의 판매 가격은 1억402만원에 불과하다.
같은 차종이면서도 왜 한국에서만 소비자 가격이 유난히 비싼걸까?
이에 대해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의 김예정 상무는 "미국 자동차 시장은 한국에 비해 규모가 클 뿐만 아니라 경쟁이 치열해 소비자 가격이 낮게 책정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여기에 "한국에서는 거의 판매량이 적기 때문에 그만큼 차량의 가격을 높일 수 밖에 없으며, 국내 자동차 소비자들의 취향을 고려한 편의사양이 적용됐기 때문이다"고 덧붙였다.
국내 소비자들의 취향을 고려한 편의사양으로는 한국형 DVD 내비게이션과 블루투스 이동전화 장치가 적용된 것을 의미한다.
2006.12.30 07:58:06 (*.251.219.22)

MBUSA 웹에가서 Base Model MSRP($89,525)에 거의 풀옵션으로 때려 넣으니깐 12만불정도 되네여.. 세금에 각종 워런티 좀 연장해 주면 13-14만불에 인수할수 있겠습니다. 실질적인 가격이 이럿다 치더라도 한국의 차값.. 너무 하네여^^;
2006.12.30 11:30:41 (*.153.155.145)

기자의 수준?으로 봤을 때.. 절대 동급에서 저런 차이가 날 수는 없다고 봅니다. 한국에 들어오는 옵션을 공통적으로 적용하면 물론 가격 차이가 나긴 하겠지만 제 예상?으로도 13 만불 이상 될 거 같네요.^^ 세금과 기회 비용 및 시간을 따지면 어찌될런지.. *^^*
2006.12.30 13:14:28 (*.93.5.229)
뭐 기자야 현지 가장 낮은 가격을 명시해서 기사를 만들어 내야 하는 책무를 가졌으니 ^^
S500 4-matic 아닌 신차가 지금 개인 수입업자가 1억 4천, 이게 양재동으로 가면 모니터 옵션 작업 붙여서 1억 5천 되니까요. 4-matic은 정식이랑 한 4천만원의 차이가 날 것 같습니다.
S500 4-matic이 저 가격이면 S8이 상당히 리즈너블해 보이네요. 가격이 더 싸면 모를까 비싸다면야 당연히 S8이 낫겠죠.
S500 4-matic 아닌 신차가 지금 개인 수입업자가 1억 4천, 이게 양재동으로 가면 모니터 옵션 작업 붙여서 1억 5천 되니까요. 4-matic은 정식이랑 한 4천만원의 차이가 날 것 같습니다.
S500 4-matic이 저 가격이면 S8이 상당히 리즈너블해 보이네요. 가격이 더 싸면 모를까 비싸다면야 당연히 S8이 낫겠죠.
2006.12.30 17:29:04 (*.108.18.115)

배기량 2500cc 미국 현지가격 $ 34,700 짜리 차량을 국내로 직접 들여왔습니다.
운송료+보험 = USD $230 , 인증비 700만원 , 등록&취득세= 544만7천 여러백원
통관료+통관대행수수료= 1370만원 , 기타 서류&제반비용+100 만원 하니 약 7천만원에서
아주 조금 빠지더군요.
통관료에서 배기량 별로 관세율을 적용하는데, 장난이 아닙니다.
합법적으로 정식통관을 하면, 일반적인 국내 판매가와 별반 큰 차이를 못느낄 정도 입니다.
국내 정식 수입판매되는 아우디나 비머, 벤츠의 경우 A/S 비용, 딜러마진을 감안하더라도
직접수입시 대비(신차기준) 조금식 다르겠지만 약2천만원정도 내외의 차이를 보일것 같습니다.
na 차량의 경우, 환경법 통과기준이 그렇게 까다롭지는 않지만, 과급차량이 경우엔
미국 켈리포니아 환경기준에 적합하지 않으면 배기인증은 무척이나 까다로울것 같습니다.
인증작업동안 피마름을 생각하면 다시는 하고싶지 않다는 ㅡㅡ;
운송료+보험 = USD $230 , 인증비 700만원 , 등록&취득세= 544만7천 여러백원
통관료+통관대행수수료= 1370만원 , 기타 서류&제반비용+100 만원 하니 약 7천만원에서
아주 조금 빠지더군요.
통관료에서 배기량 별로 관세율을 적용하는데, 장난이 아닙니다.
합법적으로 정식통관을 하면, 일반적인 국내 판매가와 별반 큰 차이를 못느낄 정도 입니다.
국내 정식 수입판매되는 아우디나 비머, 벤츠의 경우 A/S 비용, 딜러마진을 감안하더라도
직접수입시 대비(신차기준) 조금식 다르겠지만 약2천만원정도 내외의 차이를 보일것 같습니다.
na 차량의 경우, 환경법 통과기준이 그렇게 까다롭지는 않지만, 과급차량이 경우엔
미국 켈리포니아 환경기준에 적합하지 않으면 배기인증은 무척이나 까다로울것 같습니다.
인증작업동안 피마름을 생각하면 다시는 하고싶지 않다는 ㅡㅡ;
2006.12.31 00:07:01 (*.41.213.6)
인겸님// 그렇다면 해외에서 2년정도 운용하다 들어오면 소위 "들여올수있다" 라는 뜻은 어느정도선에서 면제가 되는건가요?
2006.12.31 07:31:46 (*.21.8.51)
등록+취득세도 따로 544만원 납부하시고.. 통관료와+통관대행수수료가 무엇인지요? 대행업자 수수료로 1370만원이나 하는가요? 인증비700만원도 저렴한 가격은 아닌것 같습니다.
2006.12.31 14:15:50 (*.120.112.95)
조금 이상하군요...전 35000불 짜리 렉서스 3300CC 짜리 6개월 타다가 한국으로 보냈는데, 관세 포함해서 1200만원정도 밖에 안들던데요...한국 가격이랑 비교해서, 아반테 한대 이상은 빠지던데요...
2006.12.31 15:32:17 (*.133.99.193)

메이커에서 수입하는 경우 황인겸님이 수입하면서 낸 각종 통관비용과 제반비용이 훨씬 줄어들겠죠. 스바루 임프레자의 경우도 일본에서 34700달러라면 그가격 그대로 사오는 건 소비자일 경우인 것이고 딜러나 수입업체라면 거기서 소비자가 마진을 뺀 가격을 상정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포드 몬데오의 경우 독일현지판매가와 거의 차이가 없는데 그렇다면 포드가 손해보는 장사를 할까요?
예를 들어 포드 몬데오의 경우 독일현지판매가와 거의 차이가 없는데 그렇다면 포드가 손해보는 장사를 할까요?
2007.01.01 06:50:46 (*.230.135.33)

미국은 S550 아닌가요??? 국내 S-Class가 완전한 풀옵은 아니니.. 음..
미국서 완전한 풀옵으로 가지고 들어오셔도.. 가격은 당연히 아무리 비싸게 들어온들..
1억6000정도네요. NEW S-Class는 인증비 비싸게 안듭니다.
A/S는 미국서 차를 구입할시에 딜러한테 꼭- 월드 워런티 증을 달라고하시고..
국내 들어와서 A/S신청하시면 됩니다.
미국서 완전한 풀옵으로 가지고 들어오셔도.. 가격은 당연히 아무리 비싸게 들어온들..
1억6000정도네요. NEW S-Class는 인증비 비싸게 안듭니다.
A/S는 미국서 차를 구입할시에 딜러한테 꼭- 월드 워런티 증을 달라고하시고..
국내 들어와서 A/S신청하시면 됩니다.
2007.01.01 20:07:17 (*.108.18.223)

조영재님..2년이상 거주, 6개월( 3개월로 바뀌었단 소리도 있습니다만 확인해 보지 못했습니다) 차량 소유자는 국내로 반입시 소음,배기인증이 면제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