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뚜껑 열리는 차를 저렴하게 알아보던 중에 가격이 2천 만원 미만으로 찾던 중에 구형 SLK 를 한번 타봤습니다.
SLK는 10년전 로망이었어요. 저런건 꿈에서나 타볼 수 있는 차였는데 요즘 7년 넘은거는 2천만원도 안합니다.
중고차 파는 사람 말로는 신형이랑 디자인이 많이 바뀌어서 가격이 더 떨어진대요.(그럼 생긴거 별로 안바뀌면 성능이 별로라도 안떨어진다는 얘기인가)
R170 2004년 끝물에 나온 마지막 버전이었습니다. 나름 3만 2천킬로밖에 안탄 차였는데 전 주인이 관리를 너무 막 했는지 10만 킬로 탄 차보다 더 상태가 안좋아보였습니다.-_-;
어찌됐건 기대와는 달리 엔진 소음이 정지 중에 가속할때는 포터에서 나는 디젤음이 나는데 구형 C200K에서 나는 소음하고 비슷했습니다.
터보엔진임에도 불구하고 스펙에 나온 190마력은 의미없는 수치였습니다. 자연흡기에 156마력인 제 차보다도 나가는건 답답하고 엔진 소리도 그다지 맘에 들지 않았고 벤스가 2천cc 대 엔진은 다 비슷한 소리가 나나봅니다.
더 안좋은건 핸들링이었는데 마치 무슨 고무줄에 묶었다가 푸는 듯한 암튼 바퀴를 돌리는 감도 안좋고 핸들을 움직일때 느낌도 안좋고 뭔가 표현하기 어려운 절도있는 핸들링은 아니었습니다.
브레이크는 안좋았습니다. 한마디로 잘 안들었습니다.
시트 높낮이 조절이 안되서 키큰 사람은 전면을 보기가 좀 불편했습니다.
대시보드가 낮아서 무릎 아래랑 닿았습니다. 이점은 불편합니다. 시트를 낮추면 가능할텐데 그게 안되서...-_-;
어차피 저런 컴팩트한 차는 고속주행 보다는 요리조리 잘 움직이고 단단하고 민첩하고 잘 서는 맛이 있어야 하는데 뭔가 재가 생각했던 벤스의 이미지하고는 많이 다르더군요.
연식이 있으니 그럴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오래된것도 아닌데...
중고차 파는 사람도 되게 난감했나봅니다. 가격을 낮췄는데도 아무도 안사가고 악성 재고로 남았나봅니다. 하여튼 말은 3만 킬로라는걸 강조하던데 오늘 느낌은 10만킬로 탄 차나 별반 다를거 없어보이는 3만 킬로였습니다.
다른걸 더 알아볼까 하다가 3만킬로 뛴 놈도 이런데 더 뛴걸 보면 뭐하나 하고 그냥 돌아왔습니다.
확실히 차는 인터넷에서 글로 백만번 봐야 소용없다는걸 느낀 하루였지 말입니다.
사족 .
- 중고차 파는 사람들은 정말 말도 안되는 변명을 눈앞에서 늘어놓습니다.
- 업자들이 "무사고"라고 하는 말은 절대 믿지 말것
- 중고차 시장에 있는 성능검사소는 믿지 말것
- 어설픈 짧은 킬로수 차보다는 부품 새로 바꾼 관리 잘한 차가 더 나을 수 있음
- 3만 킬로 뛴 차에서 계기판에 엔진 이상 불은 계속 들어오고, ABS, ESP, ((!)), 랑 뭐 또 한개 총 5개 불이 들어왔음
- 차가 오래 서있어서 체크등이 들어온다는데(아 예...-_-) 이걸 3만 킬로 뛴 새삥이니까 고쳐줄테니 사라고?

적산거리계를 조작하는것이 어렵지는 않습니다만... 계기판만 바꿔서는 어차피 센터 진단기 물리면 원래 키로수가 그대로 다시 드러납니다..
BMW의 경우 완벽하게 조작하려면 관련 부품 3가지를 모두 교체해야하는데.. 부품 생산단계에서부터 차대를 입력해서 주문생산해야하는데다가 그 비용이 비싸서 거리조작 중고시세 차익으로는 결코 그 손실을 만회할수없죠 -_-;;;
한마디로 할수는 있지만 더 큰 손해를 보게되는... 그런 부분입니다. 그래서 유럽쪽 수입차들은 요즘 왠만해서는 거리계조작을 하지않습니다..(오래된 모델들은 가능하다고합니다만..) 적발되었을때의 처벌도 상당히 무겁구요..
터보가 아니라 수퍼차저입니다.
근데 말씀하신 주행감이 바로 벤츠다운게 아닐까 싶습니다.
(물론 시승차가 문제가 있었을 수도 있고요^^)
저도 R171 SLK350 운전해보고 배기량이나 출력, 차 크기 등을 감안했을 때 생각보다
날렵하지 않고 묵직해서 놀랐는데 그게 오히려 벤츠의 매력이었던 것 같습니다.
바로 이런 부분이 벤츠와 BMW 오너들의 호불호가 나뉘는 점 같기도 하고요.
근데 포르쉐 911도 BMW보다는 벤츠의 느낌과 비슷하더군요. 스티어링이나 페달링 감각도 비슷하고.

보고 오신 매물은 2004년식이지만 R170은 1997년부터 생산되기 시작한 차종이기 때문에 '요즘 차'의 퀄리티를 기대하시면 큰 실망을 하실 겁니다. 전 특히나 센터페이셔의 디자인이 도저히 용납이 안되더라구요.ㅡㅡ
저라면 그래도 '21세기'의 Z4를 살 것 같습니다 ㅎ

관리잘된 차량을 타보셨다면 다른 느낌이실텐데요. R170 SLK230부터 R171 SLK350을 거쳐 SLK55AMG 030을 몰고 있지만 SLK230의 경우에 관리가 잘된 차라면 정말 잘 나갑니다. 와인딩에서도 S2000만큼의 날카로움은 없지만 핸들링이 무디다는 생각은 없구요. 소형로드스터에 기대할수있는 재미있는 핸들링은 충분히 있습니다. 벤츠특유의 고속 안정성은 작은 차체에도 불구하고 뛰어났구요. 동호회등의 관리잘된 개인매물을 한번 알아보세요. 매매상에 온갖 경고등이 들어오는 상태 안좋은 차라는걸 감안해도 너무 나쁜 인상을 받으셔서 혹 SLK 전체에 대한 오해가 생기실까 하여 안타깝네요.
이런 글은 왜 작성하셨는지 잘 이해가 안 되는데요..
구형 SLK시승기라고 받아들여야 하는 겁니까? 아니면 해당 매물에 대한 불평을 토로하시는 건지?
저는 후자로 받아들여집니다만....
위에 김용진님과 같은 의견입니다만..
일반 세단처럼 흔하지 않은 차량들은 스쳐지나가듯 던져지는 말들이 카더라 통신이 되어서 정설이 되어지는 걸 많이 봐와서요..
저도 사족을 붙이자면...
혹시 2시터 로드스터 처음 운전해보신 건지...?
아마도...오두환님의 취향 자체가 근본적으로 세단이실 듯합니다..^^
예전에 오두환님이 작성하신
'차에 대해서 말을 섞기 싫은 사람들...'이라는 글을 공감하며 읽었었는데요...
본인이 작성하신 그 글로 답변을 대신하겠습니다.
추가 답변... 타보신 차량의 상태는 차치하고라도, 2시터 로드스터의 경험에 대해 여쭈어본 건 예전에 작성하신 글의 화두처럼 본인이 잘 모르는 것들에 대해 자신의 기준을 가지고 결론내리는 걸로 느껴져서 경험이 없으시리라 예상되어서입니다.
그리고 본문에서처럼 차량에 엔진경고등과 각종 조향/제동장치 경고등이 들어온 상태였다면 최소한 주행성능에 대해서는 언급을 자제하는 게 상식이지 않겠습니까?
예를 들자면 왕년의 축구선수(전방십자인대 파열에 허리 디스크에 걸리고 전날 밤새도록 술을 마신 상태)를 만나서 같이 조기축구시합을 해 봤는데 정말 별거 아니더라라고 포스팅하는 글을 본 느낌이었습니다.

님이야 말로 정말 말을 섞기 싫은 스타일 같으신데
경고등 들어온 차를 타면 주행 성능에 대해 말을 하지 말라는 둥 상식이 아니냐는 등의 비상식적인 용기는 어디서 나오는겁니까.
어차피 자세히 소감을 적을 글도 아니라 느낀대로 글을 쓴게 뭐가 잘못이고 설령 실제와 차이가 있다고 해서 그게 무슨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을 합니까.
아까 한말 다시 반복하지만 감동적인 글이나 한번 써주세요. 얼마나 대단한 분인지 글보고 감동이나 좀 받게.
태클 건다고 뭐라고 하는게 아니라 글 내용을 전달하기 전에 자기가 사용하는 워드 수준부터 먼저 고민을 해보시지요.
님의 글을 빌리자면 도대체 이딴 글을 왜 쓰시는지요.
지금 다시 보니 제 첫 댓글이 다소 시비조로 보일 수도 있겠군요...
"경고등 들어온 차를 타면 주행 성능에 대해 말을 하지 말라는 둥 상식이 아니냐는 등의 비상식적인 용기는 어디서 나오는겁니까.
어차피 자세히 소감을 적을 글도 아니라 느낀대로 글을 쓴게 뭐가 잘못이고 설령 실제와 차이가 있다고 해서 그게 무슨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을 합니까."라고 하셨습니까?
"느낀대로" 미니홈피같은 사적인 공간에 글을 쓰는 것과 테스트드라이브 같은 커뮤니티에서 글을 쓰는 것은 큰 차이가 있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본의아니게 오두환님의 심기를 불편하게 했다면 사과드리고 이만 글 줄이지요..
사족.. 제가 구형 Z4 3.0 smg모델로 한 5년째 타고 다니는데 E90 320과 비교하여 주행안정감은 더 떨어지고 정숙성은 비교도 안 됩니다. 가속력도 드라마틱하게 나을 것도 없고요.. 트렁크에 골프백 넣을라치면 드라이버는 따로 넣어야될 정도로 수납공간 협소합니다.
아참...뒷좌석 없는 건 아시죠? 그리고 스위치 누르면 지붕은 열립니다..
혹시나 Z4도 리스트에 올리셨다면 시승시에 참고하세요.

애초에 시승기를 쓸거였으면 여기다가 안쓰고 test drive 란에 썼읍니다.
단순이 어제 느낀점을 쓴건데 뭐하러 이 따위 글을 쓰느냐는 시비조로 글을 쓰십니까.
제가 그렇게 잘못하거나 나쁜 내용을 쓴것도 아닌데 내가 왜 초면에 님한테 그런 어조의 멘트를 들어야 하는지도 모르겠고 애초에 test drive란에 썼으면 몰라도 여긴 그것도 아니구요.
저도 좀 까칠하게 대응을 한건 사실인데, 워낙 초반에 쓰신게 그러셨으니 그정도는 감수를 하셨어야죠.
하여튼 저도 심기를 불편하게 해드렸으니 사과 드립니다.
그렇게 님이 보시기에 개 허접에 말도 안되는 개소리를 썼으면 모르겠는데, 제가 님한테 그정도 소리 들을 사람은 아닌것 같아서 한마디 썼습니다. SLK전체를 놓고 님 말씀대로 불평을 쓴것도 아니고 어제 탔던 차가 좀 기대이하였다라는 말인데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는 있습니다. 그럼 님 말대로 불평을 쓰면 안되는겁니까?
Z4에 대해서는 관심이 많았는데 좋은 설명 감사드립니다. 다음에 한번 타보게 되면 조언을 한번 구하고싶습니다.

댓글과 본문으로 유추하건데 문제가 있는 차량이었다고 확신합니다. SLK320의 파생상품(?)정도 되는 crossfire 3.2 limited를 쿠페에 이어 로드스터로 타고 있고 국내 유일의 crossfire 동호회 시삽입니다만, 생산 5년이 되어가는 차량인데도 매료되어 저처럼 두 세 번씩 입양하는 동호회원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기본기는 되어있는 차량이라 생각합니다. crossfire가 slk에서 좀 더 하체쪽에 개선이 되었다고 하지만 slk230을 더러 시승했을땐 좀 더 안락한 승차감에 나름 괜찮았습니다. 신형 slk350과도 그 셋팅에선 큰 차이가 없을정도였습니다. (slk350에 스포츠서스펜션 넣거나 slk55amg 정도면 탄탄함이 좋습니다.) 핸들쇼바(steering damper)라는 부품이 있습니다. tie rod 가운데 뒤로 전륜조향장치에 연결됩니다. 구형 체어맨과도 호환되고 그리 비싸지 않지만(1만5천원선) 이게 잘 나갑니다. 이게 맛이 가면 핸들링이 허당이 되거나 제멋대로 될 수 있습니다. 아니면, 큰 충격이후 전륜 토각이 틀어지거나 캠버각이 이상해 졌을 수도 있겠다는 추측이고요. Z4같은 날카로운 핸들링은 벤츠 차량에선 없다고 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그게 벤츠의 색깔중 하나거든요. sls 라면... 혹시...

벤스만 전문으로 하시는 분께 들어본 바로는 체어맨이랑 호환되는 부품을 처음에 써봤는데 실제로 품질의 차이가 많이나서 그다음부터는 체어맨 부품을 안쓰신다고 합니다.
가격면에서 메리트가 있는건 사실이지만 쓰고나서 문제가 많이 생겨서 이래저래 차이가 없다고 부품을 사와서 쓰시더라구요.
다음에 가면 주피터님이라고 http://blog.daum.net/plaything 라는데에 포스팅을 하십니다.
물론 W140 위주이긴 해요.
Z4는 핸들링 날카롭습니다.
SLK350으로 예전에 한번 타본적 있지만, 그냥 편안한 차였습니다. 매우 무겁게 느껴졌구요.
한계도 낮은편이었습니다. 대신 직선가감속에선 매우 편했습니다. 전체적으로 코너를 타는 차는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그런데 SLK가 경량은 아니지 않나요? 꽤 무거울텐데)

L 자가 Lighr의 약자래요. 제조사가 경량이래니까 경량은 경량이 맞을거에요 ㅋ
장거리 운전용으로는 무리가 있어보이고 스트레스 안받고 타려면 SL500이나 SL350으로 가야 장거리에 무리없이 탈것 같습니다.
직진성은 좋았던걸로 기억합니다.
30분정도 타보아서 뭐라 평가하기는 어려운데 앞바퀴랑 뒷바퀴의 밸런스가 맞는 느낌은 아니었습니다. 뒷바퀴가 더 무거운 느낌이 들었어요.
다음엔 상태 좋은 놈으로 한번 타봐야 겠습니다.
Z4는 평이 아주 엇갈리는데 아주 좋게 말하는 사람들하고 골수 B당 사람들은 완전히 다른 느낌이라고도 해서요.
항상 느끼는거지만 텍스트하고 본인이 느끼는거랑 차이가 많아서 나중에 기회가 닿으면 한번 타봐야 겠습니다.

상당히 흥미로운 글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하체 관리 잘 안된차를 입양해 올 경우에 그 원인처치가 어렵고 (돈 뿜어서 싹 갈면 되지만)
신경도 많이 가는것 같습니다.

해당 차종엔 동승만 몇 번 해 봤지만 제가 알기로는 구형 SLK가 스펙보다는 실제 주행성능이 더 좋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동승석 체감으로도 평범한 2리터 차량들보단 좋았구요. 퍼포먼스와 그에 대한 연비도 좋구요. 핸들링도 괜찮습니다. 잡소리는 '제법' 나지만요.
내용으로 볼 때 아마 시승하신 차량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데 얼핏 SLK에 대한 총평으로 이해될 여지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탔던 차는 안전벨트랑 시트 볼스터랑 닿아서 삐거덕 소리가 계속 났습니다. 손으로 잡으면 멈췄는데 그거 말고는 별다른 잡소리는 없었습니다. 차령이 얼마 안되어서인지 탑에서 소음도 없었고 풍절음도 좋았는데 바닥에서 올라오는 소음은 많이 걸러내지 못했던것 같습니다.
그래도 옆사람하고 대화는 되는 수준이었는데 세단에 비해서는 좀 시끄러운 편이엇고 소프트탑을 쓰는 TT 카브리올레는 더 시끄럽다고 들었습니다.
말씀대로 총평의 오해소지가 있어서 어제 탔던 차로 한정을 하겠습니다.
제가 생각해도 킬로수만 믿고 탔는데 운수가 없었는디 진가를 느낄 수 없었던 놈인것 같긴 해요.

1. 잘 안 나갔다면 그차 엔진에 이상이 있습니다. 원래는 꽤나 잘 나갑니다. 자연흡기 156마력의 차종이 뭔지는 모르겠으나 경량의 차량이 아니라면 그 차보다 꽤 잘 나갑니다.
카이엔 터보 타는 형님이 국도에서 SLK 230과 달렸는데 생각보다 잘 달려서 놀랬다고 하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2. 핸들링은 원래도 민감하지는 않지만 말씀 하신 것으로 보아 스티어링 댐퍼가 나갔습니다.
3. 브레이크는 원래 BMW처럼 초기 반응이 민감하지는 않습니다. 반응이 리니어합니다. 하지만 잘 안듣는 정도는 아닌데 아마 패드가 불량입니다.
4. "고속주행 보다는 요리조리 잘 움직이고 단단하고 민첩하고 잘 서는 맛"은 원래 벤츠의 이미지가 아닙니다. 벤츠는 크건 작건, 차종을 불문하고 대체로 장거리 고속주행이 특기입니다. 서킷이나 와인딩보다는 한적한 국도나 고속도로가 어울리는 차입니다. 말씀하신 특징은 BMW의 특징입니다.
5. 04년식 3만킬로 차량이 그 정도로 상태가 나쁘다면 아마 일본에서 수입된 그레이 차량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일본에서 건너오는 중고 그레이 차량의 거의 대부분이 주행거리 조작을 한 후 들어온다고 합니다. 창고 같은데 중고차를 모아놓고 대량으로 조작하므로 단가가 싸진다고 하던데 주워들은 이야기라 자세한 것은 모릅니만 그말을 한 사람에 따르면 100% 조작해서 온다고 합니다. 조작도 10만을 5만으로 고친다던지 하는 정도가 아니고 20만을 2만으로 고친다던지 하는 정도라고 합니다. 물론 본인이 직접 경매로 낙찰 받았다던지 하는 경우를 제외한, 나까마를 통한 수입의 경우에 그렇다고 합니다.
6. 제가 보기에도 단지 시승하신 차량의 문제를 마치 구형 SLK 전체에 대한 평으로 오해할만한 내용이 있고 현재 SLK오너시거나 혹은 그 차량을 좋아하시는 분들에게 상처가 될수도 있다고 보여집니다. 경고등이 들어온 차량을 타보고서 스펙에 나온 190마력은 의미 없는 수치라고 단정하신 것만 봐도 그렇습니다. 오히려 제가 타본 기억으로는 수치보다 더 잘 나갔습니다.

말씀 잘 들었습니다. 다음에는 좋은 놈으로 한번 다시 타보겠습니다.
예전에 96년형 C200K 탈때 느낌하고 아주 비슷했는데요, 토크감은 리니어하게 계속 올라가긴 했는데 초기 응답이 민첩하지는 않았습니다.
핸들링도 원하는 만큼 돌았다가 가운데로 민첩하게 감기는 맛은 없었습니다.
엔진음도 C200K하고 거의 똑같았는데 초반에 나는 소음도 트럭엔진 같은 소리가 나서 아 벤스는 다 이런가 했습니다.
그게 원래 그런건지 제가 타본것만 그런지는 알 수 없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니 각종 경고등이 들어오는건 업자말대로 스티어링 휠이나 브레이크오일 등이 다 새서 그런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드네요.
다음부터 글 쓸때는 더 신중하게 쓰겠습니다.

갑자기 댓글이 많아져서 다시 한번 정독해보게 되었네요...
위의 몇몇 분들과 제가 처음 글을 읽었을 때의 느낌이 비슷해서 첨언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만...
본문에서 말씀하셨던 엔진 퍼포먼스, 스티어링 감각, 브레이킹 및 벤츠의 이미지와의 상이함 등의 표현이 조금 아쉬운 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제목이나 글의 주요 내용이 '잘 관리안된 중고차'에 포커싱 되었으면 논란은 없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
(그래도 덕분에 본문과 댓글들에서 SLK에 대한 정보도 볼 수 있었네요...)

글과 크게 관련은 없지만 , 2003 년에 벤쿠버 차이나 타운 버짓 렌트카에서 SLK 230 콤프레셔 오토랑 , 폴쉐 박스터 오토( 팁트로닉) 기본형을 빌려 탄 적이 있습니다. 렌트카라 고급유 넣었을리도 없고 상태가 일정하지는 않겠지만 SLK 230이 박스터보다 힙이 좋다고 느꼈습니다. MB 컴프레셔 소리가 혹자는 진공 청소기 소음같다고도 하는데 개인적으로는 듣기에 나쁘지 않습니다.
아돌프 히틀러도 멜세데스 수퍼차져 컨버터블을 소유했었죠 ^^; 세단이긴 합니다만....
미터기 꺽는건 일도 아니죠. 3만km뛴 차가 아닐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