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공정거래위원회가 18일 현대자동차에 대한 제재를 발표하면서 현대차가 그동안 중.소형차의 가격을 지속적으로 인상한 것은 독과점적 지위에 따른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아 주목된다.
공정위는 이날 현대차가 판매대리점에 판매목표를 강제로 할당하고 대리점의 직원채용이나 거점이전에 노조가 간여하도록 해 시장지배적 지위를 남용했다며 시정명령과 함께 230여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공정위는 특히 관련 사안의 배경을 설명하면서 “현대차가 1998년 기아차를 인수해 국내 자동차시장에서 독과점적 지위를 갖게 됨에 따라 해당 기업과 계열 기업의 이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남용행위를 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현대차의 승용차 가격은 2000년 이후 큰 폭으로 상승해왔고 이같은 인상폭은 경쟁업체의 유사차종보다 컸다는 것이다.
공정위가 분석한 현대차의 차종별 가격추이(최저가격기준)에 따르면 베르나는 단위 배기량당(1cc) 가격이 1997년 3천880원에서 2000년 4천470원, 2003년 5천560원으로 상승했고 지난해에는 6천150원까지 올랐다.
아반떼 가격은 1997년 5천100원에서 작년에는 6천30원으로 상승했고 쏘나타도 같은 기간 6천180원에서 지난해 8천780원으로 인상됐다.
반면 대형 주력 차종인 그랜저는 배기량 1cc당 가격이 1997년 1만420원에서 등락을 보이다 지난해에는 9천740원으로 낮아졌다.
공정위는 이에 대해 수입차와의 경쟁이 치열한 대형차는 가격을 올리지 못한 반면 국내시장에서 독과점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중.소형차는 상대적으로 경쟁이 치열하지 않기 때문에 가격을 대폭 올릴 수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았다.
현대차는 국내 승용차 시장에서 2005년 판매대수 기준으로 45%를 차지하고 있고 기아차(23%)를 합하면 68%를 점하고 있다.
국내 트럭시장에서도 현대차는 점유율이 66%였고 기아차(30%)를 합치면 96%에 달해 국내 시장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독과점적 사업자에 해당한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현대차의 독점적 지위는 1998년 기아차 인수 때부터 예고돼왔던 것이기 때문에 독과점 여부를 감안해 기업 인수합병(M&A)을 승인하는 공정위도 이같은 현대차의 독과점적 지위형성에 대한 비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더구나 자동차 판매가격은 시장내 경쟁관계도 감안하지만 원자재 가격과 납품단가, 인건비, 물가상승률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결정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경쟁관계만으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가격책정에는 시장내 경쟁관계도 중요하기 때문에 공정위의 해석이 틀렸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가격은 경쟁관계 외에도 여러 가지 요인들을 감안해 결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앞으로의 귀추가 주목됩니다... 공정위가 과연 강하게 밀어붙일 수 있을 지....
공정위는 이날 현대차가 판매대리점에 판매목표를 강제로 할당하고 대리점의 직원채용이나 거점이전에 노조가 간여하도록 해 시장지배적 지위를 남용했다며 시정명령과 함께 230여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공정위는 특히 관련 사안의 배경을 설명하면서 “현대차가 1998년 기아차를 인수해 국내 자동차시장에서 독과점적 지위를 갖게 됨에 따라 해당 기업과 계열 기업의 이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남용행위를 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현대차의 승용차 가격은 2000년 이후 큰 폭으로 상승해왔고 이같은 인상폭은 경쟁업체의 유사차종보다 컸다는 것이다.
공정위가 분석한 현대차의 차종별 가격추이(최저가격기준)에 따르면 베르나는 단위 배기량당(1cc) 가격이 1997년 3천880원에서 2000년 4천470원, 2003년 5천560원으로 상승했고 지난해에는 6천150원까지 올랐다.
아반떼 가격은 1997년 5천100원에서 작년에는 6천30원으로 상승했고 쏘나타도 같은 기간 6천180원에서 지난해 8천780원으로 인상됐다.
반면 대형 주력 차종인 그랜저는 배기량 1cc당 가격이 1997년 1만420원에서 등락을 보이다 지난해에는 9천740원으로 낮아졌다.
공정위는 이에 대해 수입차와의 경쟁이 치열한 대형차는 가격을 올리지 못한 반면 국내시장에서 독과점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중.소형차는 상대적으로 경쟁이 치열하지 않기 때문에 가격을 대폭 올릴 수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았다.
현대차는 국내 승용차 시장에서 2005년 판매대수 기준으로 45%를 차지하고 있고 기아차(23%)를 합하면 68%를 점하고 있다.
국내 트럭시장에서도 현대차는 점유율이 66%였고 기아차(30%)를 합치면 96%에 달해 국내 시장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독과점적 사업자에 해당한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현대차의 독점적 지위는 1998년 기아차 인수 때부터 예고돼왔던 것이기 때문에 독과점 여부를 감안해 기업 인수합병(M&A)을 승인하는 공정위도 이같은 현대차의 독과점적 지위형성에 대한 비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더구나 자동차 판매가격은 시장내 경쟁관계도 감안하지만 원자재 가격과 납품단가, 인건비, 물가상승률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결정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경쟁관계만으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가격책정에는 시장내 경쟁관계도 중요하기 때문에 공정위의 해석이 틀렸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가격은 경쟁관계 외에도 여러 가지 요인들을 감안해 결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앞으로의 귀추가 주목됩니다... 공정위가 과연 강하게 밀어붙일 수 있을 지....
2007.01.19 11:13:41 (*.94.1.21)
과징금으로 끝 아닐까요.. 현대는 서민의 피를... 공정위는 이제 현대의 피를.... 현대가 다시 또 서민의 피를 뽑는건 아닐까 모르겠네여... TG의 가격은 저렴해졌다고 하는 부분을 보니 TG의 가격상승이 우려됩니다... TG의 가격상승을 부축이는것은 아닐지 모르겠네여
2007.01.19 12:04:13 (*.192.187.141)

겨우 과징금 230억.... 쩝 몇십배의 돈을 벌고 한번 작은 벌금 낸다면 그래도 한참 남는 장산데...
다시는 딴생각을 못할정도로 큰 벌금을 때려야 정상아닌지...
다시는 딴생각을 못할정도로 큰 벌금을 때려야 정상아닌지...
2007.01.19 12:05:07 (*.192.187.141)

그리고 지금 시점에 이런 현대에게 어려운 사건들이 나오는거 보면 정회장의 형량과 집유를 노린 물밑작업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2007.01.19 14:32:03 (*.180.22.19)

저도 같은 의견입니다. 이동통신사나 제과업체나 이번 현대나 공정거래 위원회에서 매기는 과징금은 또 다른 한 형태의 세금(혹은 생산원가에 포함되는 한 요소)일뿐입니다.
제 생각으로는 공정거래위원회에서 과징금을 물릴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소비자에게 이득이 갈수있는 방법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가령 이동통신사의 경우 2007년도 1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전 이용자들의 요금을 깍아준다든지(현재 10초에 17원 하는것을 15원으로), 현대자동차의 경우 1년간 자동차 판매금액을 5%할인한다던지.. 이런 구체적인 방법으로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이익이 돌아갈수 있게 말입니다.(이것은 또다른 형태의 소비를 촉진하는 한 경제부활책이 될수도 있구요)
도무지 공정거래위원회에서 거둬간 돈은 어디로 가는지 모르겠습니다.
제 생각으로는 공정거래위원회에서 과징금을 물릴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소비자에게 이득이 갈수있는 방법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가령 이동통신사의 경우 2007년도 1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전 이용자들의 요금을 깍아준다든지(현재 10초에 17원 하는것을 15원으로), 현대자동차의 경우 1년간 자동차 판매금액을 5%할인한다던지.. 이런 구체적인 방법으로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이익이 돌아갈수 있게 말입니다.(이것은 또다른 형태의 소비를 촉진하는 한 경제부활책이 될수도 있구요)
도무지 공정거래위원회에서 거둬간 돈은 어디로 가는지 모르겠습니다.
2007.01.19 21:51:27 (*.148.16.144)
그렇지만 몇년사이에 원자재 값이 거의 2배이상 뛰어오른것도 좀 감안해야하지않을까 싶습니다. 제가 다니는 회사에서도 제품생산비용은 70%이상 올랐는데도, 안팔릴까봐 가격인상은 못하고있네요-_-;;;;;
2007.01.20 16:26:36 (*.182.230.93)
뛰어오른 원자재 값을 고스란히 현대가 부담하고 있는 지도 의심스럽거니와
가격은 가격대로 수직 상승했으니 문제가 되는 거겠지요.
노사분규 저렇게 타결되는 걸 보니...
진짜 이것들이 짜고치는 고스톱이 아닌가 싶습니다.
파업 타결과 공정위 과징금 부과로 정부, 기업, 노조... 모두가 돈을 챙겼지만
여전히 우리는 죽어라고 비싼 현대차를 사야 하는 구조가 계속되는군요.
이번 디트로이트 모터쇼에 베라크루즈를 발표하면서 현대 미국 법인 COO가
미국에서 3만달러 이하로 판매하겠다고 발표했다는군요. 대략 2800만원...
이것 참... ㅡ.ㅡ
가격은 가격대로 수직 상승했으니 문제가 되는 거겠지요.
노사분규 저렇게 타결되는 걸 보니...
진짜 이것들이 짜고치는 고스톱이 아닌가 싶습니다.
파업 타결과 공정위 과징금 부과로 정부, 기업, 노조... 모두가 돈을 챙겼지만
여전히 우리는 죽어라고 비싼 현대차를 사야 하는 구조가 계속되는군요.
이번 디트로이트 모터쇼에 베라크루즈를 발표하면서 현대 미국 법인 COO가
미국에서 3만달러 이하로 판매하겠다고 발표했다는군요. 대략 2800만원...
이것 참... 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