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사진 설명>
1. 도요타 TRD의 Sportivo 제품들
2. 스포츠 서스 키트 HD 하체...핑크!
3. 주행하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저긴 레코드 라인이
아닙니다. 사진을 찍기위해 약간 오버 액션...^^ (사진 PJS)
************
제가 2002년부터 타오고 있는 MR-S(미주형)에 하고 싶었던 튜닝 중에 하나가 도요타 TRD에서 나오는 Sportivo라는 서스펜션 키트입니다. 미국 어느 튜닝잡지에의 테스트 결과(Skid-Pad 값도 올라가고)도 좋았고 무엇보다도 도요타에서 인정한 TRD(Toyota Racing Development)라는 이름이 믿을 만했습니다.
TRD의 Sportivo는 순정의 형태를 가진 쇼바와 스프링 그리고 강화된 스테빌라이저가 하나의 서스펜션 컴플리트 키트로 나로는 식인데 코일오버 일체형 같은 하드코어한 제품은 아니지만 차고도 내려가고 일상생황에서도 타면서 간단한 서킷주행이나 일반 스포츠주행까지 극대화하는 제품으로 제가 원하는 튜닝의 컨셉트와 잘 맞는 제품이었습니다. (근데 목돈이 들어가야 해서 아직도 못하는..T.T)
도요타 TRD 사이트를 가보면 좀 튜닝 좀 한다는 차종들을 위한 TRD의 Sportivo 키트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
이번달 톱기어에도 '한국의 AMG를 꿈꾸며' 라는 기사에도 있듯이 현대자동차 연구원들 중 몇몇 분들을 모아서 만든 ?**혁신팀(INCUS)이라는 곳이 사내에 있습니다. 아직 팀원은 그리 많지 않지만 그곳에 계신 분들 자동차 상당히 좋아하시고 하시는 일에 열정도 가득합니다.
그곳 INCUS에서 개발했던 아반떼HD 스포츠 서스펜션 키트을 장착한 HD를 스피드웨이에서 타보고 카비전 12월호에 관련 기사도 썼었습니다. 이번 튠진에도 기사가 나왔네요...
HD는 실내품질이나 새로운 감마엔진 그리고 핸들링도 제법 향상되어 동급 차들에 비해 높은 점수를 주었으나 개인적으로는 패밀리 세단 지향이고 출렁이는 서스에 높은 차고로 서킷이나 중미산을 빡시게 달린다는 그런 스포츠주행에는 그다지 어울리지 않는다고 보고 있습니다.
스포츠 서스펜션 키트라는 것에 환영하면서도 HD 1.6 오토라 용인 스피드웨이로 들어가기 전에 그리 많은 기대는 하지 않았죠. 그런데 30분간 주행을 하고 나서 보니 기대 이상이었습니다.
며칠 사이로 제가 똑같이 스피드웨이를 달렸던 쎄라토 원메이크 경기 튜닝의 쎄라토 2.0 5단수동의 랩타임과 서스펜션과 스테빌라이저만 했던 아반떼 HD 1.6 5단오토의 랩타임이 거의 같게 나왔습니다.
참고로 쎄라토 원메이크 튜닝은 순정 베타 엔진에 서스와 스테빌라이저, 세미 롤게이지 등,
또한 HD나 쎄라토 타이어가 같은 종류의 같은 사이즈 215/45/ R17 이었습니다.
더욱 재미있었던 건 스피드웨이 직선로 1번 코너 끝에서 본 쎄라토는 시속140km 가까이 찍었는데 HD로는 겨우 시속130km를 넘겼었습니다. 그럼에도 랩타임이 같게 나온 것은 결국 코너에서는 HD가 쎄라토보다 더 빨랐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현대자동차 개발 기술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현대자동차 연구원들이 개발한 INCUS의 HD 스포츠 서스펜션 킷은 직접 설계하고 직접 주행 하면서 개발했다고 합니다. 일상주행도 할 수 있으면서 가끔씩 서킷이나 와인딩 주행에도 알맞게 세팅된 제품입니다.
클릭/쎄라토 원메이크 레이스 튜닝도 일상주행과 서킷 레이스와 일상 주행을 동시에 할 수 있다는 컨셉트의 튜닝이기 때문에 HD의 스포츠 서스펜션 키트와도 좋은 비교였습니다. 쎄라토 원메이크 튜닝도 사실은 INCUS의 모체?가 된 곳에서 개발을 한 것입니다.
또 하나 말하고 싶었던 것은 자동차가 풀 모델 체인지 되면서 수치로 나타나는 스펙과 눈에 보이는 디자인 이외에도 많은 전체적인 부분들이 함께 진화한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의 경우 최근에 나올 수록 성능이 좋듯이... 그리고 유로 NCAP의 쏘나타 충돌시험 사진을 봐도 쏘2부터 EF를 거쳐 향샹된 NF 충돌사진을 봐도 알 수 있듯이 ...
아반떼 XD에서 HD로 바뀌면서 엔진뿐만 아니라 섀시 강성이나 서스펜션과 이를 이루고 있는 하체 등이 최신 기술로 업그레이드 되었다는 점 입니다. 이 때문에 단순히? 스테빌라이저와 서스펜션만 바꿔도 그 튜닝 키트의 능력을 한껏 이끌어낼 수 있는 골격의 포텐셜이 높아졌다고 할 수 있죠.
여기에 자동차 메이커의 노하우를 가지고 좋은 환경과 여건 그리고 검증된 자료를 바탕으로 나오는 튜닝 용품인지라 비록 HD 오너가 아니지만 HD를 탄다면 꼭 장착하고 싶을 정도로 였습니다.
앞으로 INCUS의 제품들이 홀로그램 스티커를 붙이고 순정제품으로 나올지 아니면 TRD처럼 **튜닝회사가 생기고 그곳을 통해서 튜닝제품이 나올지는 두고봐야 겠습니다.
요즘 말도 많은 현대자동차지만... 자동차를 좋아하고 운전을 즐기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우리나라에서도 (현대/기아의 전차종까지는 아니더라도) 국산차종을 위한 저렴한 값에 검증된 튜닝된 제품들이 많아 졌으면 합니다.
Beyond the Limit....
2007.01.19 16:45:24 (*.46.117.70)

세라토 R 대비 승차감은 어떠신가요?
클릭R을 타다가 조용히 다니려 아방이HD로 왔는데
숨겨진 복병이 있을줄이야 ㅋㅋㅋㅋ
역시 지름신은 전지전능하셔 -_-;;;
클릭R을 타다가 조용히 다니려 아방이HD로 왔는데
숨겨진 복병이 있을줄이야 ㅋㅋㅋㅋ
역시 지름신은 전지전능하셔 -_-;;;
2007.01.19 22:57:25 (*.54.228.32)
시작은 좋아 보입니다만
TRD 처럼 성공한 회사로 성장할려면
무엇보다도 실전에서의 검증 이라고 봅니다.
그럴려면 현대의 투자가 따라줘야겠지요.
좋은 발전을 기원합니다^^
TRD 처럼 성공한 회사로 성장할려면
무엇보다도 실전에서의 검증 이라고 봅니다.
그럴려면 현대의 투자가 따라줘야겠지요.
좋은 발전을 기원합니다^^
2007.01.20 13:40:22 (*.35.74.87)

쎄라토R 이 조금 가볍게 통통 튀는 느낌도 없지 않은데...(뒷쇼바에서도 가끔씩 쉭쉭 소리도 나고) HD의 경우 묵직하게 튄다고 해야하나?(미니쿠퍼S 정도?)
만약 부모님이나 부인께서 함께 운전하신다면 승차감에 대해 불평하실지 모릅니다. 하지만 출렁이는 것을 싫어하시면서 혼자 타시면서 가끔 와인딩이나 서킷 주행까지 염두하신다면 강추입니다. 나오긴 한다던데 가격은 얼마나 될지 궁금합니다...
만약 부모님이나 부인께서 함께 운전하신다면 승차감에 대해 불평하실지 모릅니다. 하지만 출렁이는 것을 싫어하시면서 혼자 타시면서 가끔 와인딩이나 서킷 주행까지 염두하신다면 강추입니다. 나오긴 한다던데 가격은 얼마나 될지 궁금합니다...
2007.01.20 15:03:45 (*.206.244.181)

색상이나 마무리를 보아하니 대원강업에서 만든것 같군요 전 솔직히 별로 신뢰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왕 시작할려면 파워트레인 쪽부터 해야할것인데
이모저모 아쉬움이 많군요....,
않습니다. 그리고 이왕 시작할려면 파워트레인 쪽부터 해야할것인데
이모저모 아쉬움이 많군요....,
2007.01.20 16:42:43 (*.223.79.141)

첫술에 배부르겠습니까. 일단 이런 움직임이 시작된 것만 해도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존의 튜닝 서스펜션 시장은 여러 제품을 조합하거나 조절식 서스펜션을 장착해 이리저리 조절하며 비전문가에 의해 만들어졌었는데 슬슬 제대로 된 물건들이 나온다고 생각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파워 트레인 쪽이야 현대 아니라도 잘 건드리시는 분들이 많기도 하고요. 슬슬 건드려 주겠죠^^
2007.01.20 16:43:41 (*.223.79.141)

대원 강업에서 현대로 납품도 하지 않나요? 클릭R에 쓰인 댐퍼나 스프링, 스태빌 등을 생각하면 전 오히려 내구성에 믿음이 갑니다.
2007.01.20 21:49:41 (*.204.37.136)
대원강업은 우리나라서 사용하는 모든 스프링(스프링이라는 스프링은.... 거의다..)을 공급하는 업체입니다 튜닝은 예전에 투스카니용으로 만든것도 있었죠... ^^ 아마도 별루였나봐요... ^^
2007.01.22 12:12:27 (*.206.244.181)

대원강업은 현대뿐 아니라 자동차 3사는 물론 전동차 기차 탱크(맞나 이하 전차)
거의 국내의 모든 스프링을 생산하는 업체입니다. 직접 라인에 견학도 해봤구요
그곳 엔지니어들에게 강의(?)도 들어봤습니다.
하지만 대원강업의 튜닝용 스프링 개발 배경은 이랬습니다.
서스펜션 유통 전문 업체로부터 몇가지 스프링을 받아서 나름 분석(?) 하고
모방 내지는 참조하여 만든게 대원강업 서스펜션키트였습니다.
스태빌도 그러하구요 그 과정을 너무나 잘 알기 때문에 다소 실망스럽다는
말씀을 올린겁니다. 거기에 얽힌 비하인드 스토리는 접어두겠습니다.
국내 튜닝서스펜션 시장이 동규님이 생각 하시듯 그리 조악한 수준은 아닙니다.
실상 가야바나 삭스 빌스타인 등등의 회사들은 국내차의 실차를 기준으로
제품을 설계하고 시험하여 생산합니다. 전용킷을 써보신 분들은 그 가치를
아실겁니다. 실제로 그 엔지니어들이 국내에 방문하여 수출형 차량과
국내 내수차량과의 차이가 있는지 여부까지 실차에 적용하여 테스트 해보고서
국내제품이 출시됩니다. (제가 통역을 하느라 그 자리에 있었습니다)
국내 생산제품은 모르겠습니다만 수입브랜드 몇몇의 상품은 그리 생산되구요
이리저리 조합하던 방식은 이미 10여년전 얘기입니다.
동일제품의 쇼바 카트리지만으로 이리저리 케이스변환해서 적용하던 시절은
우리나라도 이미 지난듯합니다.
또한 쇼바의 경우 시험팀에서 만도에서 납품받아 테스트용으로 쓰시는
그 쇼바와 실제 내수에 양산되는 제품과의 차이는 실로 하늘과 땅입니다.
실제로 그 테스트를 담당했던 직원 조차도 이럴수가 있나! 라는
탄식을 반복하며 전혀 몰랐다는 장탄식을 내놓을 정도로 테스트용? 과 양산품과의
괴리는 실로 하늘과 땅입니다. 그게 작금의 현실입니다.
아쉬움이 많이 남을 수 밖에는 없는..., 그런 모습들이지요....,
거의 국내의 모든 스프링을 생산하는 업체입니다. 직접 라인에 견학도 해봤구요
그곳 엔지니어들에게 강의(?)도 들어봤습니다.
하지만 대원강업의 튜닝용 스프링 개발 배경은 이랬습니다.
서스펜션 유통 전문 업체로부터 몇가지 스프링을 받아서 나름 분석(?) 하고
모방 내지는 참조하여 만든게 대원강업 서스펜션키트였습니다.
스태빌도 그러하구요 그 과정을 너무나 잘 알기 때문에 다소 실망스럽다는
말씀을 올린겁니다. 거기에 얽힌 비하인드 스토리는 접어두겠습니다.
국내 튜닝서스펜션 시장이 동규님이 생각 하시듯 그리 조악한 수준은 아닙니다.
실상 가야바나 삭스 빌스타인 등등의 회사들은 국내차의 실차를 기준으로
제품을 설계하고 시험하여 생산합니다. 전용킷을 써보신 분들은 그 가치를
아실겁니다. 실제로 그 엔지니어들이 국내에 방문하여 수출형 차량과
국내 내수차량과의 차이가 있는지 여부까지 실차에 적용하여 테스트 해보고서
국내제품이 출시됩니다. (제가 통역을 하느라 그 자리에 있었습니다)
국내 생산제품은 모르겠습니다만 수입브랜드 몇몇의 상품은 그리 생산되구요
이리저리 조합하던 방식은 이미 10여년전 얘기입니다.
동일제품의 쇼바 카트리지만으로 이리저리 케이스변환해서 적용하던 시절은
우리나라도 이미 지난듯합니다.
또한 쇼바의 경우 시험팀에서 만도에서 납품받아 테스트용으로 쓰시는
그 쇼바와 실제 내수에 양산되는 제품과의 차이는 실로 하늘과 땅입니다.
실제로 그 테스트를 담당했던 직원 조차도 이럴수가 있나! 라는
탄식을 반복하며 전혀 몰랐다는 장탄식을 내놓을 정도로 테스트용? 과 양산품과의
괴리는 실로 하늘과 땅입니다. 그게 작금의 현실입니다.
아쉬움이 많이 남을 수 밖에는 없는..., 그런 모습들이지요....,
2007.01.22 16:42:49 (*.223.79.141)

고가의 전용킷들이야 물론 좋겠지만 수가 많지도 않고 쉽게 다가갈 수 없죠. 제가 언급한 조합이란 것은 그런 고가의 전용킷들 말고 많은 매니아들이 대중적으로 장착하는 놈들에 대한 제 생각이었습니다. '댐퍼는 어디꺼 뭐끼고 스프링은 어디꺼 뭐 껴보니 승차감 어떻고 덜 쏠리더라'..이런 류의 믿음직스럽지 않은 평가들에 의해 일반적인 튜닝 서스펜션킷들이 튜닝카에 장착되는게 현실입니다.(저도 예전에 그 중 하나였구요.) 모든 사람들이 각각의 차에 맞체 튠된 고가의 일체형 서스펜션 킷을 장착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전 예전에 그래보고 싶었지만 엄두가 안나더군요ㅠㅠ) 종발식의 댐퍼나 스프링이 실차에 적용되어 개발되었다고 하시면 그건 의미가 없습니다. 그 테스트에 사용된 댐퍼, 스프링을 모두 사용하지 않는 이상 테스트는 의미 없어지지요.
대원 강업에서 개발, 생산했던 예전 제품이야 물론 구리겠지만(저도 구리다고 들었습니다) 다른 곳에서 개발하여 대원 강업에서 주문받아 스펙대로 생산만 한건 다르지 않나요? 대원 강업차원에서 다른 제품을 배껴 스펙까지 정한 것은 아니므로 말씀하신 개발 과정이 아예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브랜드 이미지다 라고 하시면 할말은 없습니다^^
그리고 쇼바 역시 INCUS에서 개발한게 정식으로 팔리게 된다면 소량일테므로 일반 내수차량용으로 현차, 기아차등에 납품되는 대량 생산용 라인에서 말들어질리는 없겠죠.
대원강업에서 설계, 개발, 생산한 것을 INCUS의 이름만 빌린 것이 아니라면 아무 상관 없다고 생각합니다. 정해진 스펙으로 시키는 대로 만들어낼 뿐이니까요.
무엇보다 HD에 적용된 이 서스펜션이 '현대'가 들어간 개발처의 이름과 조현우님의 시승에서의 좋은 평가때문에 얘기가 많이 되는 듯 합니다. 아직 이렇다 저렇다 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태백에서 이대현님의 테스트등 앞으로 많은 테스트들이 진행되면 어떤 놈인지 제대로 알 수 있겠죠.
대원 강업에서 개발, 생산했던 예전 제품이야 물론 구리겠지만(저도 구리다고 들었습니다) 다른 곳에서 개발하여 대원 강업에서 주문받아 스펙대로 생산만 한건 다르지 않나요? 대원 강업차원에서 다른 제품을 배껴 스펙까지 정한 것은 아니므로 말씀하신 개발 과정이 아예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브랜드 이미지다 라고 하시면 할말은 없습니다^^
그리고 쇼바 역시 INCUS에서 개발한게 정식으로 팔리게 된다면 소량일테므로 일반 내수차량용으로 현차, 기아차등에 납품되는 대량 생산용 라인에서 말들어질리는 없겠죠.
대원강업에서 설계, 개발, 생산한 것을 INCUS의 이름만 빌린 것이 아니라면 아무 상관 없다고 생각합니다. 정해진 스펙으로 시키는 대로 만들어낼 뿐이니까요.
무엇보다 HD에 적용된 이 서스펜션이 '현대'가 들어간 개발처의 이름과 조현우님의 시승에서의 좋은 평가때문에 얘기가 많이 되는 듯 합니다. 아직 이렇다 저렇다 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태백에서 이대현님의 테스트등 앞으로 많은 테스트들이 진행되면 어떤 놈인지 제대로 알 수 있겠죠.
제가 태백경기장에서 테스트 하기로 준비하였는데...경기장이 영업을 중단하는 바람에...올 봄에 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태백에서 쎄라토가 1분 14초대가 평균랩(종감속전 내구레이스때)이였는데...
얼마나 나올지 기대됩니다 ^^
물론 레이스用은 아니지만 스포츠 주행을 위한 좋은 상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일전에 INCUS에서 셋팅한 씨드 차량을 잠시 시승한적이 있습니다만
역시 유럽 딜러 옵션으로 나가는 스포츠쇽+다운스프링+스테빌라이져+18인치 휠 225/40-18 타이어(미쉐린 ps2) 느낌 좋았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