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자동차 주행거리 따라 보험료 차등 부과 검토 [중앙일보]
금감원 `사고확률 높아 합리적` 주장 금융감독원이 주행거리에 따라 자동차 보험료를 차등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실화할 경우 출퇴근 또는 주말에만 차를 쓰는 직장인 등은 보험료가 지금보다 싸진다. 하지만 평소 차를 많이 사용하는 자영업자나 업무용 차량은 보험료가 비싸져 반발이 예상된다. 또 주행거리계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금감원 박병명 보험감독국장은 24일 "주행거리가 길수록 사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자동차 보험료에도 이를 반영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미국 등 외국의 경우 운전자의 주행거리에 따라 보험료에 차등을 두는 보험사가 있다"고 말했다.
박 국장은 "이제 검토를 시작한 단계로 도입 시기를 말하기는 이르지만 주행거리를 보험료에 반영할 경우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자동차 운행을 억제하는 효과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우선 주행거리를 보험료에 반영하는 구체적인 해외 사례를 수집하기로 했다. 이어 운전자가 보험에 가입할 때 향후 1년간 예상 주행거리를 보험사에 제시하고 보험료를 낸 다음 실제 주행거리를 갖고 보험료를 사후 정산할지, 과거 주행거리를 토대로 보험료를 산정할지 등을 검토하기로 했다.
지금까지 자동차 보험료는 운전자의 연령, 성별, 배기량, 가입 및 사고 경력, 무사고 운전 기간 등에 따라 달라진다. 또 4월부터는 차량 모델별로 보험료가 차등화된다.
한편 보험업계의 한 관계자는 "중고차의 주행거리계 조작이 사회문제가 될 정도인 지금의 상황에서 주행거리에 따라 보험료를 차등화하는 것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며 "그보다는 자동차 사고율이 지역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는 만큼 지역별 보험료 차등화가 먼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자동차 고객서비스팀 이광표 차장은 "아날로그 주행거리계는 손쉽게 조작이 가능하며 LCD 계기판에 숫자만 보여주는 디지털 계기판의 경우도 해당 반도체칩을 바꾸면 된다"며 "이런 상황은 고급 외제차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제가 차량을 소유한것이 아니지만 참 대한민국..
너무 객관성이 없는거 같습니다.
택시나 버스 같은 영업용차량들은 어떻게 하라구요..
참 안타까워요..
2007.01.24 22:36:11 (*.188.89.64)

말도 안되는. . 영업용으로 자기차 쓰는데다가 남들보다 더 많이 들어가는 소모품들...거기에 보험료까지? 너무한다는 생각이 드네요..차라리 처음에 나왔던 사고 횟수로 차등을 두는게 더 합리적일듯..
2007.01.24 22:47:43 (*.223.79.141)

어떤 인터넷 신문에서는 '보험료 저렴해져' 란 제목으로 차 조금 타면 보험료 싸질 수도 있다라는 어처구니 없는 낚시용 기사를 내놓기도 했더군요-_-
2007.01.24 22:48:24 (*.20.161.252)
결국은 보험료 올라 가겠군요.
얼마나 할인을 할까요?
할증은 30%이상 할인은 10% 미만이겠죠.
어이없는 탁상행정입니다..\
얼마나 할인을 할까요?
할증은 30%이상 할인은 10% 미만이겠죠.
어이없는 탁상행정입니다..\
2007.01.24 22:54:32 (*.12.196.70)

검사받기 전에 주행거리를 줄여주는 센스를 발휘해야하는 건가요? 주행거리를 일일이 어떻게 확인할 건지도 물어보고 싶군요.
2007.01.24 23:06:46 (*.143.156.66)

장기간에 걸친 사고율도 객관적인 데이터가 되겠지만, 주행거리나 시간이란것도 사고발생의 확률이란 측면에서 납득이 가기도 하는데요?
하루 2시간 운행하는 사람과 4시간 운행하는 사람의 사고발생율은 단순계산으로 2배니까요. 다만, 이런것이 대략 보험사의 이익창출을 위한 눈가리고 아웅식이란것이겠지요. 할증은 크게, 할인은 조금. 난감하네요.
여튼 보험의 옵션이 다양해진다는 측면에서는 환영입니다. 그게 보험사의 그것에 못지않게 소비자의 실익으로도 반영이 되어야 하겠지만요.
하루 2시간 운행하는 사람과 4시간 운행하는 사람의 사고발생율은 단순계산으로 2배니까요. 다만, 이런것이 대략 보험사의 이익창출을 위한 눈가리고 아웅식이란것이겠지요. 할증은 크게, 할인은 조금. 난감하네요.
여튼 보험의 옵션이 다양해진다는 측면에서는 환영입니다. 그게 보험사의 그것에 못지않게 소비자의 실익으로도 반영이 되어야 하겠지만요.
2007.01.24 23:19:47 (*.60.119.2)

저는 직업이 기술영업이라 업체 미팅이 많은데...
(그래서 LPG인 제 카렝이가 너무 좋았는데...)
저같은 사람은 점점 일하기 힘들어지는 나라가 되겠군요...
참내...
저도 오후에 이 뉴스 보고 어이 없었습니다...
앞으로 업체 기술 협의 건이 생기면 서로 자기네 사무실로 와달라고 아우성이겠네요... 후후후
씁쓸해지려고 하네요...
(그래서 LPG인 제 카렝이가 너무 좋았는데...)
저같은 사람은 점점 일하기 힘들어지는 나라가 되겠군요...
참내...
저도 오후에 이 뉴스 보고 어이 없었습니다...
앞으로 업체 기술 협의 건이 생기면 서로 자기네 사무실로 와달라고 아우성이겠네요... 후후후
씁쓸해지려고 하네요...
2007.01.24 23:58:53 (*.143.156.66)

위에서도 말했지만, 원칙적으로는 동의합니다. 다만, 제도가 바뀌어도 보험사의 수익을 위함이 아니라, 많이 뛰는 분은 많이, 적게뛰는 분은 적게 내서 보험사 입장에서 결국 플러스 마이너스 제로가 된다면, 꽤나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만약 그 자체를 반대한다면, 그 또한 부당한 일이 되지 않을까요? 쉬운예를 들어, 집에서 약 5킬로 떨어진 학교까지 출퇴근만 하는 선생님과 전국을 누비며 영업을 하는 분이 보험사 입장에서 같은 고객일 수는 없을겁니다.
자신에게 불이익이 온다고 해서 백안시 하는것보단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변경이라면, 당연히 환영해야할 아닐까 싶습니다. 다만, 보험사가 가만히 있는 것을 뜯어고치는 데야 흑막이 있으리란건 삼척동자도 알 수 있는 일이지만, 반드시 본인에게 득이된다 해가 된다로만 판단해선 안될일이라고 보여지네요.
자신에게 불이익이 온다고 해서 백안시 하는것보단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변경이라면, 당연히 환영해야할 아닐까 싶습니다. 다만, 보험사가 가만히 있는 것을 뜯어고치는 데야 흑막이 있으리란건 삼척동자도 알 수 있는 일이지만, 반드시 본인에게 득이된다 해가 된다로만 판단해선 안될일이라고 보여지네요.
2007.01.25 00:02:09 (*.143.156.66)

저도 넓은 범주에서 보면 서비스&기술지원이 제 업입니다만, 앞으론 가급적 회사차를 이용해야겠네요(제차는 장거리가면 힘들어요.. .서스에 소음에), 괜히 사고라도 나면 골치만 아프고... 회사일로는 회사차를 쓰는게 원칙이니까요. 그게 아니라 회사에서 유류비나 그런 지원을 받고 입사때부터 합의가 이루어진 직종이라면 이와 같은 사항이 불가항력일 때, 이런 문제에 대한 조치는 회사와 상의해야할 일 아닐까 싶습니다.
2007.01.25 00:17:45 (*.143.156.66)

다만 제가 적은 의견에 대해서 부연을 하자면, 저는 보험이나 이런 일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고 해외 여타국의 실정에도 어두울 뿐 아니라, 아직까지는 보험을 들기만 했지 혜택이나 보험처리 같은건 듣도보도 못했습니다. 다만, 경제원칙적이고 원론적인 차원에서 드리는 말씀이구요. 공기밥 2개 먹어야 배가 부른 사람이 있고, 반공기만 먹어도 배부른 사람이 있듯이 서비스가 다변화 되면, 그로인해 현행보다 많이 내는 분들도 계시지만, 분명 비용절감되는 분들도 있으리란 생각입니다. 1만 8천이런 기준에 대해서는 일단 논외로 하겠지만, 전 자동차 세금도 크기 및 배기량 배출개스, 연료소모효율 등으로 세분화해야한다고 생각하며 보험사의 장난질이야 당연 짜증나지만, 이러한 접근이 반드시 지탄받을 일은 아니다(일각에선 환영하는 분들도 있을거다) 라는 의견인 것입니다.
이 제도가 시행되면, 아마 저도 조금은 불이익이 있지 않을까 싶긴하네요. (상대적으로 제 아버지는 혜택일테고... 한달에 4-5일 밖에 차를 안쓰시니까요) 여튼 할증만 크고 할인은 작은게 아니라, 이왕 시행할거라면 공평하고 합리적으로 개선되었음하는 바램입니다.
이 제도가 시행되면, 아마 저도 조금은 불이익이 있지 않을까 싶긴하네요. (상대적으로 제 아버지는 혜택일테고... 한달에 4-5일 밖에 차를 안쓰시니까요) 여튼 할증만 크고 할인은 작은게 아니라, 이왕 시행할거라면 공평하고 합리적으로 개선되었음하는 바램입니다.
2007.01.25 00:39:25 (*.182.232.143)

ㅡ"ㅡ 또 정부에서 피곤한 안건을 내놨군요. 자가 운전으로 출퇴근을 하시는분도 많은줄로 아는데 ( 저도 딱 출퇴근 거리만 70Km 입니다만..) 그럼 이런분들은 어쩌라는 말인지..
정치하시는분들 다들 똑똑한 분들이시겠지만 이해 할려고 해도 도저히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네요. 차라리 김기원님 말대로 사고이력에 따른 할증을 부과하는쪽이 합리적일듯 합니다 라는것이 제 생각이네요
정치하시는분들 다들 똑똑한 분들이시겠지만 이해 할려고 해도 도저히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네요. 차라리 김기원님 말대로 사고이력에 따른 할증을 부과하는쪽이 합리적일듯 합니다 라는것이 제 생각이네요
2007.01.25 01:21:16 (*.25.142.173)

좀 다른 얘기입니다만...저는 장거리 고속주행이 많아 1년에 3만킬로 정도 타고 있고 그리 많이 타는게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중고차 매매할때 보니 1년 적정 킬로수는 2만이라고 주행거리로 딴지가 걸리더군요.ㅋㅋ. 세컨카라면 모를까 1년에 2만킬로가 적정이라는게 은근 화나더군요.
2007.01.25 02:57:11 (*.243.246.23)

한마디로 지금 나라가 미쳐돌아가고 있다는 말밖에 할말이없습니다..
뭐 이러다간 뛰어가는 사람은 산소소비 많이 하고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증가시킨다고
환경개선부담금 내라고 할것 같네요..충분히 그런 정신나간 만행을 저지를수 있는 정부이고..
요즘 곳곳에서 세금걷어들이는데 눈이 시뻘개서 원성이 자자한데 이건 뭐 테러수준이군요.
과연 이 정책이 중산층이하 일반적인 대다수 국민들이 피해가 많이 갈까요?
상류층 분들이 피해가 많이 갈까요.. 정치하시는 나랏님들이야 물론 면제겠죠.
주먹구구 탁상행정의 한심한 작태는 한계가 보이질 않는군요.
주행 거리계 조작의 드넓은 대중화에 앞장서는 꼴이 되겠군요. 쯧쯧...
이정책이 시행되면 차종별 거리계 조작 DIY 법이 널리 유행할듯..ㅎㅎ
뭐 이러다간 뛰어가는 사람은 산소소비 많이 하고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증가시킨다고
환경개선부담금 내라고 할것 같네요..충분히 그런 정신나간 만행을 저지를수 있는 정부이고..
요즘 곳곳에서 세금걷어들이는데 눈이 시뻘개서 원성이 자자한데 이건 뭐 테러수준이군요.
과연 이 정책이 중산층이하 일반적인 대다수 국민들이 피해가 많이 갈까요?
상류층 분들이 피해가 많이 갈까요.. 정치하시는 나랏님들이야 물론 면제겠죠.
주먹구구 탁상행정의 한심한 작태는 한계가 보이질 않는군요.
주행 거리계 조작의 드넓은 대중화에 앞장서는 꼴이 되겠군요. 쯧쯧...
이정책이 시행되면 차종별 거리계 조작 DIY 법이 널리 유행할듯..ㅎㅎ
2007.01.25 06:08:02 (*.113.117.206)
합리적인 생각이긴하나... 할인은 거의 없고(평소내던만큼 내고...) 할증만 왕창 높일것이 뻔하고 더블레이어 디지털방식도 원하는 만큼 얼마든지 자유롭게 변경가능하기 때문에 실적용면에서 보면 매우 불합리한 제도죠... 이런걸 탁상행정이라고 부릅니다
보험회사는 위의 두가지를 모두 다 계산해서 내놓은 안건이 분명합니다 (아주 얄팍한 상술이죠) 많이 운행하는 차량의 소유주들은 분명히 메터기 돌릴것이고... 차를 적게 운행하는 분들은 %가 적다는것 이미 다 조사했을것입니다 제일 큰 손해를 보실분들은 일반 적인 운행(1년 2만키로정도...)을 하는 소유주들이고 이들로부터 더많은 돈을 뜯어내려는 즉 겉과 속이 다른 이미 계산기 다 두드려보고 내놓은 상술에 불과합니다
보험회사는 위의 두가지를 모두 다 계산해서 내놓은 안건이 분명합니다 (아주 얄팍한 상술이죠) 많이 운행하는 차량의 소유주들은 분명히 메터기 돌릴것이고... 차를 적게 운행하는 분들은 %가 적다는것 이미 다 조사했을것입니다 제일 큰 손해를 보실분들은 일반 적인 운행(1년 2만키로정도...)을 하는 소유주들이고 이들로부터 더많은 돈을 뜯어내려는 즉 겉과 속이 다른 이미 계산기 다 두드려보고 내놓은 상술에 불과합니다
2007.01.25 06:14:57 (*.113.117.206)
최적화기법이 발달하다보니... 수익을 최대화 하기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나오는군요... RSM 제대로 돌리고 한것인지... ㅉㅉㅉ 제가보기엔 까딱 잘못하면 수입악화될듯합니다... 모 펜대만 굴리시는분들은 터지기 전까지 모르시겠지만...
2007.01.25 09:12:05 (*.146.46.247)

제대로 계측을 하기 힘들다는거에 공감을 하면서 드는 우려가, 설마 규격 GPS장착을 의무화해서 강제로 위치추적+주행거리합산을 하진..... 않겠지요. 사생활 침해 우려도 있고(뭐 이건 현재도 고속도로에 설치된 정보카메라로 상당부분 이미 침해당하고 있습니다만).
오늘 출근길에 보니 전광판 뉴스에도 많이 나오던데 실제 실행하기에는 검토되어야할 부분과 소비자의견청취도 많이 필요할듯 보이네요...
오늘 출근길에 보니 전광판 뉴스에도 많이 나오던데 실제 실행하기에는 검토되어야할 부분과 소비자의견청취도 많이 필요할듯 보이네요...
2007.01.25 10:31:50 (*.147.110.239)

계기판 하나 더 사면 되겠네요.. 미터가 살짝 안넘어가게 해놔도 되겠고.. 이런 방법들도 난무할 것이고, 생업을 위해 주행거리가 많은 분들 생각을 하면 그닥 좋은 방침은 아닌 것 같습니다.
2007.01.25 10:41:58 (*.86.151.172)

적게타는사람은 똑.같.은 비율로 보험료를 적게 내도록 해준다면 저는 찬성하겠습니다. 자차도 안들어주는 보험회사가 그렇게 해줄리 없겠죠??ㅋ
2007.01.25 10:54:43 (*.68.16.174)

적게 타는 사람이 사고 노출 빈도가 적으니 적게 내는 것은 원칙적으로 맞는 것 아닌가요? 사실 제 경우에는 1년에 3000 km도 안타는 차도 같은 보험료를 내고 있습니다. 물론 다른 차를 많이 타니 다른 차는 상대적으로 올라가겠지요.
2007.01.25 10:58:56 (*.228.55.169)
무사고율의 지속과 차량이용의 많고적음을 적절히 안배하여 보험을 적용시키는 나라가 캐나다입니다. 일단 무보험 차량은 다닐 수 없구요(강제적 가입입니다..개인적으론 대찬성입니다) 보험가입시 레저용인지 출퇴근 용인지 등교용인지 거리는 얼마나 되는지에 따라 보험료 적용이 따르고 매 년 무사고 일 때 5%의 할인율을 적용해 줍니다 저는 현재 40%의 할인혜택을 받고 있는데 반대로 사고가 생기면 본인과실여부에 따라 급격한 할증이 붙습니다. 참 합리적이고 이상적이라 생각됩니다. 많이타고 적게타고의 문제도 어느정도 적용시키되 본질적으로 무사고자에 대한 혜택과 사고시의 압박수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만 무조건 주행거리만으로 일괄적으로 계산하는 단순무지한 한국식 행정을 접하다 보니 답답하기도 하네요
2007.01.25 11:31:41 (*.223.213.37)

실제로 시행된다면 주행거리가 많은 차량들에 대해 보험료가 올라가는 만큼 같은 비율로 적게 타는 차량들에 대해서는 보험료가 저렴해 지길 빌어야 겠네요. 물론 그럴 가능성은 적다고 봅니다ㅠㅠ
2007.01.25 13:19:01 (*.115.56.83)
무사고 오너들은 안받아주려는 곳에서... 이게 합리적이라고 내놓은 방식이 과연 합리적인 것인지 뒤가 구린것인지 아시면 되죠... ^^
2007.01.25 14:53:18 (*.85.217.3)
주행거리가 많다는 것이 정말 팔자가 좋아서 놀러다니느라 많은건지 먹고 살려고 일하느라 많은건지 구분하지 않고 일괄적용을 한다는건 말이 좀 않되네요...서민들만 힘들어질 듯...
2007.01.25 16:04:22 (*.148.159.138)

좀 더 세세한 사항을 나누어서 검토하겠지만...
단순히 거리를 기준으로 한다는 것 자체가 이해하기 어렵다는 겁니다...
물론 많이 다니는 차량이 사고에 더 많이 노출 된다고 할 수 있겠지만요...
이걸 조금만 방향을 틀어서 생각해보면, 운행이 적은 차량은 자주 운전하지도 않고 간간히 다닌다는 건데 오히려 운전감각이 떨어져서(어르신들이나 초보 운전자들이나 기타 포함) 사고 위험이 더 높은거 아닌가요?
저는 오히려 그쪽이 더 사고 위험성이 높다고 생각하는데...(직접 or 간접적 사고 유발자들이 도로에 참 많죠... 급정거 및 막무가내 유턴 등)
과연 이런 부분도 참고는 하긴 하는 걸까요? ㅋㅋㅋ
해봤자 어차피 보험료 인상 요인만 늘어날테니 오히려 하지 않는게 좋은 거 일 수도 있겠네요...
후진국 수준으로 점점 더 가까워져가는게 씁쓸할 뿐입니다...
단순히 거리를 기준으로 한다는 것 자체가 이해하기 어렵다는 겁니다...
물론 많이 다니는 차량이 사고에 더 많이 노출 된다고 할 수 있겠지만요...
이걸 조금만 방향을 틀어서 생각해보면, 운행이 적은 차량은 자주 운전하지도 않고 간간히 다닌다는 건데 오히려 운전감각이 떨어져서(어르신들이나 초보 운전자들이나 기타 포함) 사고 위험이 더 높은거 아닌가요?
저는 오히려 그쪽이 더 사고 위험성이 높다고 생각하는데...(직접 or 간접적 사고 유발자들이 도로에 참 많죠... 급정거 및 막무가내 유턴 등)
과연 이런 부분도 참고는 하긴 하는 걸까요? ㅋㅋㅋ
해봤자 어차피 보험료 인상 요인만 늘어날테니 오히려 하지 않는게 좋은 거 일 수도 있겠네요...
후진국 수준으로 점점 더 가까워져가는게 씁쓸할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