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디젤차에 관심이 많아져서 자꾸 디젤관련 기사를 뒤적거리게 됩니다. 

현대에서 이번 파리모토쇼에서 투싼ix, 스포티지R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을 출품하였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상식으로는 디젤차량 같은 경우 터빈의 수명을 위해서 예열과 후열이 꼭 
필요하다고 들었는 데 start & stop 기술이 적용되면 터빈의 후열과 예열은 완전히 무시되게 되는 데 
어떤 기술이 더 들어간 것인지 원래 예열과 후열은 잘못된 상식인지 궁금하네요 

디젤 하이브리드 정차시의 디젤의 소음과 진동, 뛰어난 연비와 힘을 잡을 수 있는 솔류션인데 
현.기차에서는 뚝딱 (뚝딱이 아닐지도모르겠습니다. ㅎㅎ) 잘도 만드는 것 같아서 대단하기도 하고, 
의심도 좀 되고 그러네요 ㅎㅎ 

-----------------------------------------------------------------------------------------------------------------
출처: RPM9 ( http://www.rpm9.com/news/articleView.html?idxno=7955  ) 

기아자동차는 2010 파리모터쇼에 ‘스포티지R 마일드 하이브리드(SportageR Mild Hybrid)’ 콘셉트 모델을 출품했다. 

스포티지R 마일드 하이브리드는 115마력(ps)의 U2 1.7 디젤엔진과 5kW(7마력) 전기모터가 장착되었으며, 이산화탄소 배출량 117g/km의 친환경 콘셉트 모델이다. 
여기에 탑재된 디젤엔진은 1,250rpm이라는 극히 낮은 회전수에서 260Nm의 토크를 발휘한다. 

스타트/스톱 장치를 달았고 변속기는 6단 수동이다. 아울러 공기저항과 타이어 구름저항 등을 줄이기 위한 약간의 개량을 거쳤다. 

현대자동차 역시 동일한 구동계의 ix35(투싼ix) 디젤 마일드 하이브리드 모델을 전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