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안전성·정숙성·편의성 보강···가격은 VG 240 최대 55만원 인상 기아자동차는 안전성·정숙성·편의성을 강화해 고객 만족도를 높인 2011년형 K7을 시판한다고 3일 밝혔다. 2011년형 K7은 안전성 보강을 위해 후석 센터 좌석에 3점식 시트 벨트를 적용해 운전석·조수석을 포함 전 좌석에 3점식 시트 벨트를 기본 적용했다. 또한 필라 및 크래시 패드, 플로어 등 차체 주요 부위에 흡음재를 추가 장착·보강함으로써 실내로 투입되는 소음을 대폭 저감했다. 뒷좌석 열선 시트 사양은 VG 270 디럭스 스페셜 트림까지 확대 적용했다. 아울러 기아차는 K7 VG 240 디럭스 스페셜 모델과 VG 270 디럭스·디럭스 스페셜 모델에서 선택할 수 있는 6.5인치 액츄얼 내비게이션과 8인치 프리미엄 내비게이션의 가격을 각각 100만원, 170만원에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2011년형 K7은 안전성과 정숙성 및 편의성을 강화했으며, 편의사양 확대 적용과 내비게이션 가격이 인하됐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하지만 가격은 소폭 인상됐다. VG 240은 옵션별 45만원~55만원, VG 270은 옵션별 최대 45만원까지 각각 인상됐다. 고급사양인 VG 350은 5만원 인상에 그쳤다. 이에 따라 가격은 VG 240 2895만~3115만원, VG 270 3105만~3805만원, VG 350 3875만~4135만원이다. 한경닷컴 김정훈 기자 lennon@hankyung.com 출처 - 한국경제
2010.10.04 14:40:31 (*.222.114.177)
헉...저도 기사 보자마자 마스터님이 생각나서 링크 복사하고 글 올리려고 딱 테드들어와 보니 장문석님이 한발 빠르셨군요...ㅋㅋ 좋은 방향으로 바뀌어 가니 다행입니다. 이제는 유아용카시트 latch 고리도 많이 보편화되길 희망해 봅니다.
2010.10.04 14:51:35 (*.189.163.250)

다행스럽단 생각도 들지만, 개인적으론 준대형 차급에 3 점식 시트 밸트 적용한 게 저리 홍보할 정도로 대단한 거였나 싶은 아쉬움이 더 크네요. 안전 장비는 차급에 관계없이 최우선으로 고려, 적용되어야 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가격 인상이 없었다면 좀더 긍정적으로 봐줄 수 있었을 거 같은데 ;; K7 잘 팔린다고 또 은근 슬쩍 가격 인상이...)
2010.10.04 16:00:45 (*.40.208.26)

아반떼 신형이 나오면서 1.6GDI를 적용했던 거 처럼 HG가 3.0 GDI를 신차에 적용하고 추후에 K7에 적용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우연의 일치인지 모르겠지만 마스터님 컬럼에서 해당사항을 언급을 한 이후로 알페온, K7 순으로 3점식을 채택하기 시작하네요. 신기합니다.^^
2010.10.04 17:30:44 (*.134.207.82)
반가운 소식이지만 조금 씁쓸한 느낌이 드네요.
제가 미국에서 사온 현대차는 2004년에 샀는데도 모두 3점식에 ISOFIX 가 기본장착이었는데.
그 비용이 얼마나 차이가 날까요?
물론 우리나라의 법규를 개정해서 강제사항으로 만들면 되겠지만 회사에서 미리 그런 부분은 알아서 신경써준다면 양심적인 회사라는 생각이 들텐데요.
저는 뒷좌석 열선, 이런것보다 뒷좌석 3점식 안전벨트가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010.10.04 18:01:44 (*.203.87.112)

하드웨어는 갖춰져 가고있는거 같습니다만..
정작 사용자들이 뒷자리에 탑승했을때 안전띠를 잘안매서..
고속도로 뿐만아니라 일반도로에서도 뒷자리 탑승시 안전띠매는 캠페인이라도 했으면 합니다..
2010.10.04 22:49:15 (*.54.164.58)

ㅎㅎ 아침에 신문기사를 읽고 마스터님이 생각나 게시글에 올리려다 ㅠ.ㅠ... 너무 바빠서 선빵(?)을 놓쳤네요 ^^; 개선된다는 점에서는 그나마 후한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 마스터님의 지적이 이런 개선점이 도출되는데 어느정도 공헌을 했을까 궁금합니다.
2010.10.05 00:18:55 (*.141.147.228)

저도 2열 중앙에 3점식 벨트 적용 뉴스를 보니, 마스터님의 글이 생각나더군요^^;
핵심 실무진께서 테드를 모니터링하시다가, 적용했다는 느낌마저도 들었구요...
하지만, 차에 벨트가 있어도 그걸 사용하지 않으면, 정말 무용지물이지요!
벨트가 있는 좌석에 앉으면, 무조건 착용하는 습관이 중요하겠습니다~
p.s) 주차공간의 부족으로 차를 놓고 시내버스를 이용해 출퇴근하고 있는데요,
'가끔' 타게되는 난폭버스에 앉아있자니, 시내버스에 2점식 벨트라도 있어야 되는거 아닌가라는
생각이 드네요~.~
2010.10.05 01:36:31 (*.229.115.24)

권영주님 공이 큽니다.
테드는.. (국내외)각사에서 모니터링(철저히) 하고 있는걸로 압니다. 연구원으로 계신 수많은 회원님들이, 흔쾌히 신기술을 오픈하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아이 셋을 낳아본, 날카로운 전문가만이 지적할 수 있는 부분이였죠.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