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눈팅회원 윤창병이라고 합니다.
처남이 면허를 따자마자, 아반떼 MD를 구매하려고 하더라구요..
마스터님의 글도 보았던지라..
주로 '서울-당진'을 왕복할 일이 많을텐데..고속에 대한 불안감을 떨칠수가 없더라구요..
지난 일요일에 가계약을 했다가..일단 유보시켜 놓은 상태입니다.
출고후 튜닝...써스펜션 교환 또는 휠/타이어 교체, 스포일러 장착 등..으로 커버가 가능하다면
계약을 하라고 할텐데..거기에 대한 정보는 찾기가 쉽지 않더군요..
최근 할부조건이 좋은 소나타, 포르테 등을 대안으로 생각하는데
포르테도 검색을 해보니 아반떼 MD보다 심하지는 않지만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는 걸로 보이네요
집에서는 차에 대해 좀(?) 아는 걸로 알려져 있는데,
막상 유난떨면서 계약을 유보시킨 것 같기도 하고..안전/생명과 직결된 문제이기도 해서
정말 고민됩니다.
디자인은 참 예쁜데..ㅎㅎ
PS. 막 밑에 글을 읽으니 유보한 것이 잘했다는 생각은 드네요
2010.10.05 13:40:28 (*.254.112.153)

출고 후 사제(?) 튜닝으로 증상이 없어진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그런데, 여기저기 올라온 시승기를 종합해보면, 조금 과하게 부각되고 있는 면이 없지 않나 싶은데.. 현대에서 이어모델 내면서 뭔가 개선 버젼을 내놓을 것 같긴 합니다. 굳이 미리 사서 고생할 필요는 없겠죠.
2010.10.05 13:46:27 (*.139.70.130)

제가 현재 차를 구입 또는 동급에서 추천을 한다면 포르테 해치백을 추천하고 싶네요. 개선버전이 나오기전까지는 추천유보입니다.
2010.10.05 14:35:07 (*.146.233.204)

제가 동일한 조건에서 테스트해본 바로는 포르테는 동일한 상황에서 MD보다 훨씬 좋은 움직임을 보입니다.
크게 이슈화시킬 필요가 없을 정도로 같은 하체에서 천지차이의 움직임을 보이더군요.
MD도 빠른 시간내에 개선이 될 것으로 봅니다. 연식이 바뀌는 시점의 차에서는 개선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2010.10.05 20:31:57 (*.248.67.13)

http://serviceapi.nmv.naver.com/flash/NFPlayer.swf?vid=FA270403517736443F9754C48067EBA7AEA7&outKey=V129fb21ef7a04fedf307d0d35e98ea296cc10d16f700ca5c32b9d0d35e98ea296cc1
아래 아반떼MD의 사고사진을 보면 정면충돌한것 같은 결과물이 나오는데 고속에서 뒤가 털리면 옵셋으로 박는게 아니라 그냥 직각으로 들이받을 수도 있겠습니다.
사고영상은 비슷한 사례인데 고속에서 차선변경시 뒤가털리면서 난것 같기도 하고 불꽃이 먼저 튀긴걸로 봐선 타이어가 먼저 터진것 같기도 합니다.
아래 아반떼MD의 사고사진을 보면 정면충돌한것 같은 결과물이 나오는데 고속에서 뒤가 털리면 옵셋으로 박는게 아니라 그냥 직각으로 들이받을 수도 있겠습니다.
사고영상은 비슷한 사례인데 고속에서 차선변경시 뒤가털리면서 난것 같기도 하고 불꽃이 먼저 튀긴걸로 봐선 타이어가 먼저 터진것 같기도 합니다.
2010.10.05 21:30:33 (*.143.139.182)
포르테 2009, 스포티지 2009, i30 2008 셋을 많이 타봤는데(회사 법인차량 관리자라 직원퇴사시 테러방지 및 고착방지를 위해 번갈아 가며 끌고 다녔습니다) 젤 재밌고 운전이 편한 차는 i30더라구요.
(((물론 그보다 재밌는 차는 제 아카디아이지만요..재밌기로 치면 한 만배 ^^)))
2010.10.07 09:44:33 (*.31.143.7)

MD 수동오너로써 제가 느끼는 것은 하체가 소프트해서그렇다고 판단됩니다.
일부러 그런것인지 유럽차의 약간 하드한 느낌을 내기위해 앞쪽은 조금 딱딱한듯 한데
또 승차감을 고려해서 그런지 뒤는 생각보다 상당히 무릅니다. 평소 노면 읽는 하체느낌하고
과속 방지턱 넘는느낌하고는 완전 다른차니까요. 한 2~3달 정도 참아보세요. 이어모델식으로 나오면서
개선이 될뜻 합니다. 저는...이미 샀으니 그냥 탈려구요. 현재 튜닝서스펜션은 거의 다 시제품 수준이고
튜닝키트들이 나오면 상당히 해소될수 있는 부분이라 생각됩니다. 앞뒤 불균형에서 오는 증상이라고 생각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