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오늘 EU와의 FTA에 정식서명을 한다고 합니다.
다른 것보다 자동차 관세 8%가 2014년까지 철폐되어 실제로 7.4% 정도 가격이 낮아질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제 생각엔 7.4%에 그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일단 가격 하락이 되면 수입 물량이 늘어 날것이고 규모의 경제에 의해 가격하락 폭을 더 늘이는 것도 가능하다고 보면 몇 년 후엔 10%대까지도 가격이 내려갈 여지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예를 들면 528을 523 가격으로 살수 있고, 523은 제네시스 가격으로 살수 있는 셈인데 이 정도면 국산차 가격에도 압박이 될듯합니다.
2010.10.06 21:14:14 (*.134.16.251)
2,000cc 이상 항구까지 운임과 보험료를 포함한 물품가 10,000원짜리 승용차를 기준으로 하자면..
1. 처음에 과세가격 10,000원에 대한 관세 8% 800원이 붙어서 10,800원이 됩니다.
2. 관세를 포함한 10,800원에 다시 특소세 10% 1,080원이 붙고, 이와 함께 특소세 1,080원에 대한 교육세 30% 324원이 따라 붙으면서 12,204원이 됩니다.
3. 마지막으로 12,204원에 대한 부가세 10% 1,220원이 붙으면 가격은 13,424원이 됩니다. (세율 34.24%)
관세가 0%로 변경 되면 한국산 2,000cc 이상 차량과 똑같은 24.30%만 붙게됩니다.
즉 관세 철폐시 2,000cc 이상이라면 9.94% 인하 여지가 있고, 2,000cc 미만이라면 9.35% 정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국내 수입차 시장은 수년 전부터 마진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깡통에 근접한 모델을
수입하는 일이 흔해져서 수요가 어느정도 늘더라도 추가적인 가격 인하 여력이 별로 없는 모델이 대부분입니다.
관세가 없어져서 가격이 더 내려가고 이에 따라 수입차 보급이 더 활성화 된다면,
추가적인 가격 인하는 기대하기 조금 힘들지만 옵션의 자유도는 조금이나마 올라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지금처럼 공식 가격을 괜히 높게 잡고 대신에 실구매시엔 많이 할인을 해주는 관행을 없애버리고
국산차와 비슷한 방식으로 가격을 표시한다면 추가적으로 공식가격이 체감할만큼 내려갈만한 여지는 있습니다.
2010.10.06 21:22:22 (*.115.141.2)
예상과는 달리 많이 내려가지 않을겁니다. 수입원가 100원에 들여온 차를 100원이 아니라 130~150원 정도에 판매하니까요. 수입원가기준으로는 7.4%지만 그게 소비자 가격 기준으로는 5%정도 될까말까 할겁니다. 생각보다 체감효과는 크지 않을 듯합니다.
2010.10.06 23:57:13 (*.128.124.39)

궁금한것이...그렇다면 유럽에서 차량 부품을 수입할 때 일정금액 이상일 때 붙는 관세도 붙지 않는 것인가요? 그렇담 요즘 달러도 저렴한데 중고 수입차 구입 절호의 찬스가 될 수도 있겠네요...볼보 운행중인데 부품이 많이 비싸요...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