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벼르고 벼르던 작업을 드디어 오늘 끝냈습니다.
지금껏 포커스, 인테그라, 어코드에서 S2000 까지..
저 나름대로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에 대해 점화 플러그, 와이어 교체를 해보았지만
어쩌다가 저한테로 넘어온 이 IS300 은 해당 부분의 구조도를 봐도, 작업 과정을 인터넷에서 알아봐도 보면 볼 수록 더 갑갑하기만 하더군요-^^
회사 근처 정비소에 알아봤더니 점화 플러그 한 개당 2만원 가까이 부르면서
플러그 6개, 하이텐션 와이어 3개에 공임까지 해서 거의 45만원 가까이를 부르길래
그냥 제가 해버렸습니다. ㅡ.ㅡ;
결국 이래저래 4시간 가까이를 고생했지만
플러그 들어가는 구멍을 진공 청소기로 빨아주고 스로틀바디 안쪽도 청소해주고
하면서 제대로 신경써서 했더니 마음은 개운하네요~
(결국 다른 정비소에 맡기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이 사람들이 정말 제대로 해줄까?' 하는 불신 때문이지요^^;;;;)
사용한 플러그는 덴소 IK16 이리듐 파워 입니다. (기존에 들어있던 플러그는 이리듐 중심전극에 백금 접지전극이 팁에 붙어있는 모델 같더군요)
원래 NGK를 쓰기로 했었는데 주문 취소된 덴소 플러그가 배송되어 와버려서 그냥 썼습니다. +_+

-1번 실린더에서 빼낸 기존 플러그와 새로 들어간 플러그 입니다.
간극 조정은 이리듐 플러그의 경우 중심전극이 상할 우려가 크고, 조정해주지 않아도 제 성능을 충분히 내기 때문에 조정 안하는 쪽으로, 렉서스 쪽에서나 판매자 쪽에서는 권하더군요.
플러그 상태는 차의 주행거리를 생각했을 때 저 정도면 그래도 양호한 편인것 같습니다.

-배선과 코일팩의 저항값도 테스트 해봤습니다. 기존에 있던 배선의 저항값도 허용수치 안쪽으로, 나쁘지 않더군요^^ 코일팩은 교체하지 않고 그대로 썼습니다.

-작업을 마치고 엔진 덮개를 덮어놓은 상태입니다. ^^ 드디어 끝냈다~ 하는 성취감~
작업 후 주행에선 예전과 다른 점을 그다지 느끼지 못했습니다. 시동성이 약간~ 향상된것 같기도 하고요-
예전에 인테그라 탈 때 몇 번 마주쳤던 EK9 씨빅 타입R과 잠깐 달릴 기회가 있었는데
달려보니깐 실린더 6개 모두 잘 터지는 것 같더군요- ㅋㅋ 그럼 됐지요뭐;;
작업의 주된 목적은 연비 향상과 차의 컨디션 회복에 있었기 때문에, 앞으로 이*즈마까지 장착한 후의 연비가 기대됩니다 ^^*
2007.03.12 23:19:53 (*.51.243.80)
테스터기가 삼미 360 YTR 같은데요. ^^
하이텐션코드는 어짜피 저항값이 k옴 단위니까 노후되나 안되나 값은 차이가 없습니다.
다만 오래되면 외부로 고전압이 세니까 문제되는것이지요
하이텐션코드는 어짜피 저항값이 k옴 단위니까 노후되나 안되나 값은 차이가 없습니다.
다만 오래되면 외부로 고전압이 세니까 문제되는것이지요
2007.03.13 03:06:23 (*.238.85.16)

이리듐 플러그라서 끝부분이 저렇게 뾰족 한건가요? 제차 플러그를 빼봤는데 저렇게 생겨서
야 플러그 팁도 닳는구나 해서 교환한 기억이 납니다. ㅎㅎ
고생하셨습니다.
야 플러그 팁도 닳는구나 해서 교환한 기억이 납니다. ㅎㅎ
고생하셨습니다.
2007.03.13 09:48:05 (*.146.27.237)

윤진호님, IS 오너이신가요? ^^(사진에 3시리즈와 나란히..+_+) 제 차는 01년식 오토입니다. 이전에 타던 차와는 달리, 이번엔 부드럽고 순하게 키우고싶어서 처음부터 오토를 찾았지요^^ 앞으로 잘부탁드립니다! / 민경찬님, 테스터기는 수십년 전부터 아버지가 쓰시던 것이죠^^ 알아보시는 분이 있군요..^^* 저항값 관련 정보도 감사합니다!/ 문보현님의 용감한 DIY정신은 제가 감히 못따라가죠;; 쿨럭.. ^^ / JR님~ 여기서 자주 뵈니 좋아요~ 6단 수동의 포스~/ //
앞으로도 디퍼런셜 오일 교체, 브레이크 오일 교체 등등~ 하나씩 해보면서 배워갈 것이 많군요~
앞으로도 디퍼런셜 오일 교체, 브레이크 오일 교체 등등~ 하나씩 해보면서 배워갈 것이 많군요~
전 얼마전까지 헤드포팅과 포트폴리싱작업때문에 골치좀 아팠습니다.
앞으로 열정이 대단하신 양우람님하고 많은 정보 공유 기대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