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얼마전 차량을 교체하였습니다.
Mercedes Benz C200 97년식이지요. 5단 수동이어서 덥석 잡아왔습니다.
지난 주말 녀석의 고속주행실력도 확인해볼겸 아직 못미더운 컨디션이지만 충북 제천으로 가족여행을 다녀왔습니다.
저는 아이들이 아직 어려서(4살,2살) 차량운행시간을 짧게하고자 주로 막히지 않는 시간에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편입니다.
각설하고 중앙고속도로에서 차량이 뜸해져 최고속 어택에 나섰는데 터널하나 지나고 대략 Y00 정도의 속도에 도달했을 무렵 뭔가 돌튀는 소리가 나더니 그때부터 좌측깜빡이가 매우 빨라져버렸습니다. 당연히 전구가 나간 줄 알고 차를 세워보니 왠걸..
좌측 깜빡이가 통채로 바람에 날아가버렸네요.. 헐.. 이런 경우는 또 처음입니다. 아마도 체결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나 봅니다. 고속도로 상이라 찾는 것은 포기하고 벤츠 부품상에 새 부품 오더해 놓았습니다.
그러나 개의치 않고 기록한 최고속은 아래와 같습니다..
나름 준수하지요? 평지에서 어렵지 않게 찍은 숫자입니다.
2000cc 자연흡기 15년전 엔진에서 저런 지구력이 나온다니 솔직히 기대이상이었습니다.
저 속도에서의 안정감도 출중한 편이었고요..
결국 일요일 아침 올라올때는 거의 풀쓰로틀로 제천에서 서울까지 180km정도 거리를 1시간 15분 만에 마크하였고, 총 주행거리 400km인데도 연료게이지는 절반 조금 아래를 가르키고 있었습니다.
이 정도면 차량 구입시 생각했던 '고속크루징' 용도로 충분할 듯 하여 기분이 좋습니다..
다만,, 비싼 수업료를 지불하긴 했군요..

우와~ 정말... 대단하네요.
주황색 표시는... 제 생각으로는, 3~40 사이는 스쿨존, 5~60 사이는 이코노믹존 표시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a

ㅎㅎㅎ 2002년에 제가 타던차(전C220이였습니다)와 같은 차네요 ^^
저도 처음에 차를 타면서 궁금했던점이였는데 전 차주이셨던 저희 형수님이 30은 스쿨존/일반도로 제한속도 가 아닐까 라는 말씀을 하셔서 전 아직까지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ㅎㅎ
맞나 모르겠네요

아 그렇군요. 한군데 정도 표시되어있는 차량은 보았어도 두군데 저리 표시된 차량 계기판은 첨 본듯해서요. 두군데 존이 그런 의미가 있는 거군요 ^^

저도 몇년전 밤에 사브9-5에어로를 몰고 울산에서 대구방향으로 시속 200~250km 으로 줄곳왔는데
끽소리 못하고 반실신상태로 있는 친구를 위하여 잠시 휴게소에 들렸는데.. 밖에 나간 친구가 앞쪽으로 가더니만 무언가
줄달린 큰뭉치를 번쩍들고 있길래 가만히보니 오른쪽 상향등과 방향등이 광풍을 이겨내지 못하고 그만 빠져버렸더군요.
한심한듯 그것을 들고있는 친구보고 내가 한마디...."친구 야! 정말 내가 눈알빠지게 달렸나보다."ㅎㅎ
정말 아까운 마음 보다는 너무 웃겨서 배꼽빠지는줄알았습니다.

6000rpm까지 한도가 좀 남았으니 회전수를 좀 더 사용하면 내리막에서는 230도 충분히 찍을 수 있을 것 같네요.

푸하하....BMW E36을 타보신 분들은 대부분 경험해보는 일입니다. 저도 두어 번 정도 날아간 기억이 있네요....ㅎㅎㅎ

와...2리터 자연흡기 15년전차가..대단한 발군이네요....
2리터만되도 충분한 성능인데.... 쥐어짜며 엔진성능을 다쓰며 달리는것도 상쾌한 기분이 들던데요...
S320이나 이런차들은 또 어떨지...궁금합니다.

고속에서의 연비도 잘나오신걸 보면.. 엔진도 엔진이지만 독일차들이 당시에도 에어로다이나믹에 상당히 신경썼다는걸 알 수 있네요..
일본차들이 엔진에서 독일차 뺨치는 토크 곡선에 비슷한 미션 기어 비율 등등 사용해도 그런 인상적인 초고속 성능이 안나오는걸 보면
고속빨의 정답은 눈에 보이지만 실은 보이지않는 에어로다이나믹 디자인에 있을것 같습니다.
제 경우는 요즘 그런 생각을 하게되면서, 그냥 모양만 내놓은 범퍼와 대충 배열해놓은 차체 하부를 가진 차들은.. 2% 부족해보이더군요. ㅜㅠ
아무리 화려하고 성능이 걸출해도 말이죠^^;;;(쓸데없이 높아져버린 눈...)
깜빡이 가출..조심해야겠군요..ㅋㅋ

규원님 2번째 사진은 쫌 위험해보여여..제가 위험하다고 하는게 아니라...
저렇게 버젓이 속도까지 나온 사진 증거로 벌금 받은 제 지인이 있어서요...
물론 테드에 스파이? 같은 사람이 있지 않겠지만서도요..;;

전에 수원 근처 국도를 달리고 있는데 뭔가 펄럭이는 소리가 나서 차를 세워 나가 보니 운전석 문에 붙어있는 얇은 금속 몰딩이 휘어서 마구 펄럭이고 있더군요. -- 잘못하다가는 뒷차 타이어에 구멍 낼 것 같아 바로 떼어버렸습니다.

명년전 잡지에서 보니....포르쉐 Ruf(정확한 모델은...??)가....어디 서킷에서 주행중 깜박이 등이 날라가 버렸다고 기사가 올라왔더군요..당시기사로는 최고속을 못이기고 깜박이 등이 날라가 버렸다고 기사가 났던데 비슷한 상황 아닐까요?
우야튼 c200 부럽네요...저도 고속 장거리 주행이 아주 많은데 한대 장만하고픈 욕심이 드네요...

빈티지 벤츠가 즐비한 제 주변에선 너무도 흔한 일인지라..ㅎㅎ
더 놀라운건.. 최고속에서의 연비입니다.
w124 e200탈때 새벽에 목포에서 서울까지 2시간동안 200 크루징으로 쏘는데 연비가 10.9km 나왔었답니다..ㅡㅡ;;
그런데 왠지 수온이 약간 낮은것같네요?
예전에 m6 수퍼차져의 최고속영상에서 엄청난풍압에 본네타가 열렸다는 경고등뜨는 영상과 911터보의 최고속도전중 tpms경고등 뜨는게 생각나네요 ㅎㅎ
국산차에서 이런 일.. (특히나 현대) 생겼으면 완전 욕먹었을텐데 벤츠라 웃어넘겨지는 상황이 되는군요..
딴지는 아닙니다.. 단지 규원님이 부러워서.. ㅋㅋ ;;
2000cc 15년차 차량이 그정도면 정말 대단하네요
속도계 상 30-40 사이 50-60 사이의 주황색 표시는 뭘 의미하는 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