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방청용도로 코팅 좀 하려고 합니다.
신차이구요...
테드내에서도 공구를 몇차례 진행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만,
테드에 알려진 업체들도 한두업체가 아니라..선택이 어렵네요.
1.업체를 추천해 주시면 가장 좋구요.^^
(쪽지로 주셔도 좋구요..)
2. 수성인지..아닌지,
뭐 좀 특별한 재료들도 있는 것 같던데요...
재료도 조언 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머플러 코팅 도 하는게 좋은지..도 궁금합니다.
좋은 밤 되세요~~
www.tuffkote.co.kr 입니다. 조선쪽으로도 납품하고, 선급승인까지 있으니 방청성은 입증되었다 할 수 있겠구요,
그런데 아마 방음까지 겸용으로되는 약제를 추천할 겁니다. 그냥 방청기능만 되는 것도 있긴 한데, 아무튼
그건 알아서 선택 잘 하시구요,
수성/유성 구분은 일단 터프코트것은 전 제품이 휘발성유기화합물 함량 0인 제품들이라서 수성이라고 보는게
맞겠구요..
머플러는.. 본인 차량의 머플러 재질이 뭔지를 먼저 파악하시는 것이 순서일 것 같습니다만..
(요즘 원가절감땜에 문제가 되는 SUS304 -> SUS409 가 아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409는 스텐레스란 말이 무색하게 약간의 화학성분에도 부식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아서요..
그냥 물에는 잘 견디는데, 특히 싸구려 409는 염화칼슘 한방 맞으면 싹 녹슬어버립니다..
K7이 그래서 욕먹었었죠.. 아무튼 참고하시구요..)
해도 나쁠것 없으니 서비스로 해준다면야 받으시는것도 좋을듯 합니다.

언더코팅은 10여년전 제로존?인가 처음 해봤고 그 이후 지바트에서 다 맡겨보기도 DIY로 해보기도 뷔르트 것을 해보기도 했습니만 가격대 성능비로는 3M이 제일 낫더군요. 유성 수성하는데 3M이나 뷔르트도 뿌리고 나서 30분만 지나면 냄새 하나도 안납니다. 괜히 비싼 수성 쓸 필요가 없더군요. 뷔르트도 빨리 건조되지만 일단 가격이 비싸고 3M의 경우 4리터짤 3~4만원이면 구입할 수 있으니 시공만 업체에 맡겨도 저렴하게 구석구석 할 수 있습니다. 일반샵에서 제품 구입까지 다 하면서 하체 빵빵하게 하려면 30만원 이상 드니까요.
1. 비용에 크게 연연하지 않으신다면 터프코트 추천드립니다. 용제가 좋은 편이에요. 위치가 양재동인가 그럴겁니다.
아니면 3M이나 뷔르트것을 쓰는 대다수의 업체(워낙 많아서.. 왠만한데는 다 비슷합니다)
간혹 국산도 나오는데 솔직히 아직까지는 좀 품질이 떨어집니다. 3M이나 뷔르트로 해도 크게 비싸거나 하지
않으니 그냥 그정도로 하심이..
2. 수성/유성은 베이스의 차이로, 도료 자체의 성능보다는 인체유해성 유무로 보심 됩니다. 오히려 방청성 자체는
유성이 더 좋은 경우가 있어요.. 근데 어차피 상관 없는게, 언더코팅제를 실내에 뿌리지 않는 이상, 유성이어도
별 해될게 없습니다. 그렇게 따지면 자동차라는것 자체가 환경공해인데요 뭐... -_-
간혹 언더코팅제를 방음 용도로 해서 실내 내장제 걷어내고 실내 바닥에 뿌리는 분들이 있는데, 그런거만
안하시면 됩니다. (그래놓고 실내에 앉으면 머리가 띵하고 아프다 냄새난다... 그러죠)
기능 자체가 그게 아니거든요. 방음제는 따로 있습니다.
3. 머플러 코팅.. 당연히 하면 좋은데요, 뭐랄까...
순정이 SUS재질로 나오는 머플러라면 하나마나이구요(어차피 녹이 나는 재질이 아니므로)
순정이 스틸계열이라면 당연 하는게 좋은데, 문제는 그럴경우 녹이 외부뿐만 아니라 배기통 내부에
서 응결되는 수분에 의해서도 생기기 때문에 몸통 외부에 코팅해봤자 별 의미가 없다고 보시면 되겠
습니다. 머플러랑 배기라인 전체를 용융아연도금 로에 푹 담갔다 빼는 수준의 아연도금을 하지 않는
이상.. (SUS가 아닌 스틸재질일 경우를 말씀드리는 겁니다. 근데 요즘은 스틸이어도 순정 정품은
도금처리가 잘 되어있어서 몇년동안은 끄떡없이 타고 다니니까, 굳이 돈들여서 추가로 하시기 않는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