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오늘 드디어 스노우타이어를 장착했습니다.
미쉐린 x-ice인데, 한 2년간 묵혀둔 타이어인데 변형은 없었나봅니다. ^^
그런데 한국에선 타이어 마운트/밸런스에 얼마 정도 하는가요?
여기 캐나다에서 4짝 가는데 세금까지 다해서 한국돈 13만원쯤 나왔습니다.
Bridgestone 직영점이나 BMW 딜러에서 바꾼 것도 아니고, OK tire 라는 그냥 흔한 동네 샵인데도 비용이 만만찮습니다.
게다가 정장 코트 차림에 가서 그런지 동양인이라서 그런지.. 계산할려고 보니까
돈을 올려서 얘기하더군요.. 그것도 센트 단위까지 지어낸 가격으로.... (126.xx + 기타 비용 8불 + 14% 세금.. 한 16만원 되게 부르더군요..)
예약할 때, 또 아침에 차 맡길 때 경리 한테서 정확한 가격 얘기 다 들은 후였는데..
매니저 같은 사람이 나타나서는 완전 등쳐먹을려는 게 보였습니다.
나중에 "음..사실은 너가 특별 가격에 하는 거다!" 하고 둘러대는게 더 듣기싫을 정도...ㅡ.ㅡ
뻔히 보이는데 그러니까 더 웃기고 어이없었습니다.. 이런게 싫어서 한국인 샵을 찾는건가 싶더군요..
저번에 타이어 전문점에서 실망한 경험이 있어서 이번엔 좀 골라서 '찍은' 가게인데.. 역시나랄까요..
그래도 저번처럼 밸런싱 못맞춰서 고생한 것 보단 낫지만.. 기분이 안좋군요..쩝..
한국같은 경우는 작년에 가보니 훨씬 소비자 우선적인 환경이어서 놀랐습니다.
타이어 관련 작업비용은 모르겠지만 거래면에서 더 '투명'해보였고요..^^ Tx테이션 등등 무지 깔끔한 샵도 많고...
올 초에 7시리즈 휠타이어 문제로 성ㅂ 타이어에 전화 통화를 했었는데 정말 친절하게 대해주시고..
인터넷 기사를 보니 보관료 만원에 겨울 동안 보관도 해주고..
...남의 떡이 커보이는 제 편견인가요?
어디든 장단점이 있게 마련이지만..
차 관리나 공임이 많이 드는 튜닝을 하기엔 한국은 정말 너무 부러운 환경입니다...

한국이 튜닝규제가 좀 심해서 그렇치...
다른건 즉 수리나 튜닝은 좀 타국에 비해 좀 저렴하지 않을까 싶네요.
타이어 4개 갈고 그 가격은 정말 너무 하네요.

한국은 타이어 장착비는 보통 짝당 5000원~1만원, 밸런스는 짝당 5000원 받으니 캐나다보다 싸겠지만 타이어는 훨씬 비싸죠. 타이어까지 같이 사는 비용을 따지면 한국이 더 싸지는 않은 듯 합니다. 특히 UHP 타이어...

한국이 공임이 싼건 확실합니다.
캐나다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전체적인 물가를 따져보면 비슷하지 않나 싶습니다.
호주도 확실히 한국보다 공임도 비싸고 전체적인 수리비가 비쌉니다.
하지만 물가대비 따져보면 한국보다 좀 비싸고 어떻게 따져보면 미캐닉에 대한 대우가
좋다라고 평가할수도 있을것 같네요.
대신 호주는 정찰제를 하는곳이 많아서 돈을 더 받거나 그러지는 않더라고요.

확실히 그렇지만.....
솔직히 타이어 마진 붙여서 저렴한 공임을 커버 하는 경우가 많아서 비슷한듯 합니다. =.=
보통 중형차(대략 205에 15~16인치)에 들어가는 OE 타이어를
7~8만원에 해주는 곳도, 16만원 부르는 곳도 공존하니까요....
여기 계시는 분들 아니면 앉아서 눈탱이 많이 맞으시더라구요....ㅡ.ㅡ+

몇년전까지만 해도 타이어 교환 한짝당 5000원인 샵이 많았는데 그때도 너무 싸다고 생각은 했는데 요즘은 보통 만원 정도 받는 것 같더라구요.

조금 부럽네요....13만원돈에 4짝 타이어 교환에 밸런스까지 맞출수 있으니....
여기선 행여나 못쓰게 된 타이어 교환하면...폐타이어 처리비용도 내야 합니다.....
전 2짝 교환에 9천엔을 지불해야 합니다.....
4륜 얼라이먼트 기계도 헌터 같은 장비는 고사하고 구식 장비라도 있으면 다행입니다...
제가 가는 딜러는 나름 규모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4륜 얼라이먼트를 측정하려면 차를 맡기고 협력업체에
하청을 주는 상황입니다.....그것도 3만엔이 넘는 금액에...
어떤 업체에서는 측정만 1만엔에 수정각곳 980엔이라며 저렴하다고 광고 하고 있습니다.,.. (적어도 토인 전측에 2군데
캠버 2군데 캐스터 2군데 후측 캠버 2군데 토인2군데.... 도합 10군데 인가요.....)
적어도 제가 살고 있는 일본의 촌구석에서는 말입니다....더 싼곳도 있겠지만 말입니다....

일본은 정말 비싸군요.. 차량 자체를 소유하고 유지하는 것에 정말 큰 노력이 들겠네요..
일본에서 GTR 이나 RX7 같은 차들 타는 오너들은 어떻게 유지하는지 정말 신기할 정도입니다.^^;
같은 캐나다라도 예전에 짝당 18불+기타 비용 해서 100불 안쪽이었던 것이,.. 서비스에 실망해서 찾은 샵에서는
당연하다는듯 100불 플러스 세금을 달라고 하고 찾을 때 더 붙일려고 하니 마음이 안좋아서 써봤습니다.
한 편 costco 타이어 서비스에선 당사에서 구입한 타이어에 대해서는 교체 장착/밸런싱을 제가 한 것의 반값에 해줍니다.
제가 더 영리한 소비자가 되어야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 (이번엔 어쩔 수 없었지만요..)

캐나다가 한국보다 싼건 고기종류정도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파트라던지 차 가격도 환율생각 해보면 한국과 큰차이도 없는듯 하네요.

미국 살았던 사람인데, 캐나다 공임은 기가막히더라구요.
엔진오일 한번 갈았을 뿐인데, 미국의 2배더라구요. (환율하면, 1.6배정도?)
뭐 그래서 다들 비싼차 타는건가? 싶기도 하구요.

비싼만큼 소비자의 평균 급여수준도 높고, 우리나라는 싼만큼 적게 벌고...(정확히 말하자면 평균 급여수준이 싸니까 정비공임도 싼거겠죠)
그래도 전체적인 체감물가나 자동차 소유하기엔 그쪽이 훨씬 더 좋은 환경 아닐런지.. 다양한 가격대의 차종에 상대적으로 싼 유류비.. 주차의 환경등...

밴쿠버에서 사시는 분이죠? 8thcivic에서 긁어온 정보입니다.
볼코 타이어가 서비스가 좋다고 그래서 다음에 그쪽에서 새타이어 살까 생각중이네요.
Tire Search:
Big O Tire, West Vancouver: $23/tire (estimate he says) for a 17" with profile 45
KAL Tire, North Vancovuer: $120/set
KAL Tire, Richmond Center: $116/set
Walmart, North Vancouver: $18.75/tire for a 17"
Candian Tire, No.3 Rd, Richmond: $135/set for a 17" with profile 45
Volco, Richmond: $23/tire
PTU Auto Services, No.5 Road, Richmond: $10/tire
**Note: set = 4 tires

...-_- 저 가게에서 일할땐 ..3공임 현금 60에 밸런스까지 봐줬는데 .. 저는 참 싸게 받았지요 ㅎㅎㅎ...
사이드월 약한 타이어면 저렴하게..
사이드월 네오바 RE01R RE050.. 17인치 이상급은..
더 받아야합니다 확.실.히.. 낄때 너무 힘들어요 뺼때도 ㅠㅠ.....
정비해서 먹고 사는 사람으로써 조금은 부럽네요..
제대로 된 서비스에 제대로 된 공임.. 한국이 이렇게 될려면 카센타 아마도 반은 없어져야 할 겁니다..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정비해서 먹고 살려면 하루종일 죽어라고 부품 갈아대야 합니다.
부품 안갈고 순수하게 기술로 정비하면 돈 잘 안줍니다..ㅎㅎㅎ
손님 입장에서는 교환한게 없는데 뭐가 이렇게 비싸냐 이런식이죠..
이게 현제 우리나라 정비문화의 현실입니다.. 그러니 관련 부품 무조건 교환하고 시작합니다.
거기다가 때되면 한번씩 tv에서 기자들이 함정 파놓고 카센타 바가지 정비 이런거 올려주고 말이죠..ㅎㅎㅎ
안그런 정비사들도 있는데 참 슬픈 현실입니다..
한국이 인건비가 싸지요.
(물론 제 인건비도 싸게 책정 당해서(?) 아쉽습니다...ㅎㅎ)
저도 가족들이 흩어져 있어서...
모두 남(?)의 환경을 부러워 하는 주장을 가끔씩 합니다만...
유리한 면도 불리한 면도 모두 있다고 인정하는 편입니다.^^
말씀하신 것과 같은 서비스 편의성은 한국이 조금 앞서는 부분인 것 같구요...
일반 공산품 소비재의 구매 비용 등은 북미쪽이 유리한 부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