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얼마 전 아주 짧은 여정으로 동경에 출장을 다녀왔습니다.
한동안 동경에 갈 일이 없었기에 많은 것을 보고 사진도 좀 찍고 싶었지만 도저히 짬이 나질 않더군요.
그래도 이제는 익숙해진 이름은 '수도고'를 달릴 기회가 있었습니다. 물론, 제가 운전을 하진 못했지만 말이지요.
대낮이라 그런지 많은 차들이 적당한 속도로 적당하게 흐름을 지켜가며 움직이는걸 보면서 평소에 이리저리 차선
옮겨가며 운전했던 것을 반성하기도 하고, 만약 올림픽대로나 분당-수서간 도로 같은 곳이었다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에 잠겨 밖을 내다보고 있었습니다.
그때.. 아마도 도로 관리를 위한 것으로 추정되는 차량이 저 앞에 보이더군요. 물론, 차량의 흐름이 많이 느려지긴
했습니다만 극단적으로 차가 막히거나 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또 하나 눈길을 끄는 것은 그 차량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던지는 '불꽃 조명'이었습니다.
일본의 차량에는 이 '불꽃 조명'을 의무적으로 비치해야 한다는 사실은 이곳을 통해 알고 있었지만, 도로 관리(내지는
보수)차량에서 이를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상당히 인상적이었습니다. 또 하나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이 차량의
조수석에 탑승한 사람이 쉴새없이 방송을 하더군요. 일어는 전혀 하질 못해 무슨 말인지는 못알아들었습니다만,
아마 운전자에 대한 주의당부 혹은 미안하다는 말이었을 것으로 짐작해봅니다.
우리나라에서 도로관리하는 차량이 점멸하는 등화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더 낫다고 생각할 순 없겠지만, 적어도
불꽃조명이 눈길을 끄는 것은 어쩔 수 없더군요.
물론, 가장 인상적인 것은 이 관리차량을 비켜가는 차량들이 차선을 옮길 때 한차량씩 적당한 속도로 비켜가는 것
이었다는 점은 부정하기 어렵네요. 사실 이게 제일 부러운 부분이기도 하구요.
일본, 동경에서 2년장도 자가 운전하면서 느낀점.
1. 초보자도 안심하고 운전할 수 있다.
2. 클락션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오사카쪽은 아닙니다. 한국이랑 비슷)
비상등으로 왠만한 상황은 거의 커버해버리네요.
3. 비보호 좌회전 혹은 어떤 상황에서도 헤드라이트로 먼저 가라고 서로 해줌.
즉, 상향등을 늦게키면 지나가야됨.ㅋㅋ
4. 칼치기, 추월 이런것도 잘 보기 힘드네요.
간혹, 1차선 혹은 추월선으로 페라리나 포르쉐가 오면 비켜줘야 합니다.
안비켜주면 뒤에 계속 같이 달리기에 쪽팔림.
버스한번 타보시면 감동입니다.
예로, 버스비 350엔 잔돈이 없어서 만엔을 내밀자
담에 내라고 그럽니다. 할머니혹은 휠체어 타신분들을 위해
몇 분씩 정차하기도 하네요.
택시는 두말 할 것도 없네요.
무거운 짐 있으면 다녀서 집앞에 내려 주기도 해요.
암튼, 교통문화는 선진국입니다.
공도에서 드리프트 하고 난폭하게 운전하는 사람들 있습니다.
하지만 극히 일부이구요.
요즘 느끼는거지만,
한국에서 1년정도 운전하면서 너무 난폭해진 건 아닌지 생각하네요.
옆에서 달리니 나도 같이 달리고

한국의 교통문화는 확실하게 많은 발전이 있어야 합니다.
일본은 아닙니다만 제가 있는 이곳도 한국에 비하면 운전하기 너무 편합니다.
끼어더는데 신경을 곤두세울필요없고 깜빡이 키면 웬만한 차량들은
다 양보해줍니다.
2차선일경우 추월선 주행선도 거의 잘 지켜지고 뒤에 빠른차가 오면 다들 알아서 비켜주는 분위기입니다.
물론 경적은 울리지 않고요.

말도 제대로 안통하는 외국인데도...일본다녀오면.... 오히려 모국인 한국이..불편하단... ^ ^ 운전,대중교통뿐만 아니더라고요... ^ ^; 기본적인 메너...상호배려의식의 관점과 수준인 듯 합니다.

큐슈지방에서 몇 번 운전할 기회가 있었는데, 정말 편하다는 느낌이었습니다.
지방이라 한적하기도 했지만 서로 양보하고, 웃으면서 인사하고..
한 번은 행인에게 길을 물어보고 뒤돌아보니 뒤에 차들이 쫘~악 (민폐..;;)
제가 의식 못하게 거리도 넉넉하게 하고 있더군요.
그 여유를 좀 배워왔으면~합니다
저는 일본에서 클락션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한국에서는 빵하고 울릴 사안을 다 기다려줬다 출발한다는것이죠.
좋은 점은 배워야죠. 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