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내용은 그랜져 HG 를 소개하는 건데 리플들은 오히려 지금까지의 자국민을 기만하는 현기차의 행태를 성토하는 리플들이 주욱 달리고 현대차 관계자는 일일히 답을 달아주네요...
한 번 읽어 보시길...
http://blog.hyundai.com/HgView.aspx?VIndex=q4zKaUz3Oco=&PAGE=1

다 읽어봤습니다. 현재 인터넷에 어두우신 4~50대분들이 현기차를 재구매하는 것을 보고 현기차의 재구매율이 75%라고 안주하고 있네요. 2~30대분들은 절대 현기차 안산다고 이를 갈고 있구요. 뼈를 깎는 혁신적인 변화가 없는 한~~~ 수입차 내수비율이 적어도 30%되는건 시간문제 일 듯...


회장님이 한번 봤으면 좋겠네요.. 저런내용은 보고도 안되겠죠...
알아서 눈과 귀를 가려주는 분들이 몇단계로 계시겠죠..
부장 상무 전무 부사장 사장..........님.

이 시점에 현대는 현대에 대한 불만들의 합당성을 따지기전에 사람들이(특히 젊은이들) 현대에 대해서 왜 저렇게 화를 내는지에 스스로를 진단해볼 필요가 있는건 사실 같아 보입니다. 현대가 차를 못만들어서 욕을 먹는건 일단 아니니까요. 내수시장 점유율에 도취되어 지금과 같은 어장관리(?)가 계속된다면 미래에 현대차가 없는...자랑스런 국산차가 없는....상황이 생기지 않으리라 누가 장담하겠습니까.

차종 동호회, 네이버 지식인, 보배드림이 지구상의 모든 정보와 지식을 망라한다고 착각하는 초딩들이 문제인것 같아요 ㅠ
현대가 지탄받아야 할 일들도 물론 있겠지만, 사실무근의 억측과 추정들로 덮어놓고 까대는 사람들이 꽤 있는걸 보면 '의식있는' 현대시민으로서 '비판적'인 시각으로 이 사회의 문젯거리에 관련된 쑥덕공론에 '참여'하고픈 욕구를 가진 사람들이 참 많은가보다~ 하고 생각합니다 ㅎ
무엇보다 가장 재미있는 리플은..
01년식 14만키로 탄 아반떼 XD에서 고장이 나기 시작한다는 ㅋㅋㅋㅋㅋㅋㅋ

몇개 싸이트의 키보드워리어(?)분들을 한자리에 소환하는데 성공했군요 ㅎㅎ
참 하찮은걸로 씹을거 많아서 좋은세상입니다 (2)

왠지 또다른 노이즈 마케팅이 아닌가 싶네요...
월요일 아침에 네xx 메인 뉴스에 현대자동차 블로그 HG그랜져 돌풍적 관심이라면서
조회수와 댓글이 엄청나다는 기사를 보게될것 같다는 느낌입니다..
황당한 리플들도 있지만 대부분 직접 겪은 일이라 생각되고 공통되는 내용들이 많아보이는데 저게 하찮은 일인가요...?
다른 물건과 달리 자동차는 운전자 본인은 물론 가족들의 생명과도 직결되는데 하찮다라...이해가 안가는군요..
개인적인 생각으로 현기차의 가장 큰 문제점은 자국민의 안전 무시라고 생각하는데요..

현기차가 자국민의 안전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얼마나 무시했습니까?
달리다 바퀴가 훌러덩 빠져버리는일이 여러번 발생해서 사고사진도 올라왔었던 쌍용차나,
아니면 내수형인 라세티프리미어에는 6개의 에어백을, 수출형인 크루즈에는 10개의 에어백을 달아주는 GM대우도 있는마당에요.
(오히려 최근에는 현대/기아차쪽에서 내수용차에 사이드에어백등을 기본사양으로 돌리더군요. 재우님께 되묻고싶네요. 이런 경우엔 어느쪽이 자국민 안전 무시입니까?)
이런 업계전반의 행태에 비해 현대차가 자국민의 안전을 다른메이커에 비해 유별나게 무시한다는 느낌은 안드네요 ㅎㅎ
직업이 궁금하다고 하시는 의도가 뭔지 잘 아는지라 좀 불쾌합니다만,
제 직업은 재우님 기대와 다르게 대기업 '관련자'는 커녕 대기업과는 어떠한관련도 없습니다. ^^
불쾌하게 했다면 죄송합니다...(--)(__)(--)
일단 기억 나는 것은 에어백, 강판, ISO FIX 등등 이네요...
다 아시다시피 국내용은 디파워드죠...뭐 현대블로그에 다 있는 얘기에요..
현대차관계자 말대로 디파워드라도 사고 발생시 스마트에 비해 전혀 손색이 없어서 디파워드를 내수에...
수출용엔 스마트를 적용 시킨다는데 이해가 좀 안갑니다...ㅡㅡㅋ
강판은 4~5년 전에 본건데 카니발2 의 하체 부분이 녹이 슬어서 7~8cm 이상 구멍이 나있더군요...
그래서 주먹이 들어가나 넣어보니 주변도 부식이 되어서 주먹이 들어갈 정도로 부스러지면 주먹이 들어가더군요..
그 상태로 작은 추돌사고라도 난다면....상상하기도 싫습니다.
아기들용은 넣지도 않죠...
우선 이 정도네요...위에도 적었지만 안전에 관한 것 만큼은 양보하고 싶지 않습니다.
똑같은 얘기로 별로 논쟁 하고 싶진 않지만 일본차와 비교해 보면 일본은 오히려 내수용이 수출용보다 조그마한거 하나라도 더 낫죠...그네들은 자기네 족속이 제일이라 생각해서 그런다죠..
우리도 우리 대한국민이 세계 최고라 내수용차가 조금이라도 더 낫길 바라면 너무 많은 걸 바라는거겠죠...? ^^;;;

ISO FIX 는 권영주님도 말씀하셨듯이, 다른 방식인 안전벨트 체결식 베이비 시트를 설명서대로 잘 체결했다면 ISO FIX 에 비해 안전엔 이상없다는 입장이시더군요. 사실 ISO FIX 지원하는 차종도 현실적으로 그다지 많지 않다는 것도 테드 리플중 본 것 같군요.
스마트 에어백은, 해당 국가 안전 규정에 점수에 포함된다거나, 해당 시장 경쟁구도상 안넣을 수 없었다 라던가(근거 없는 비교 리뷰가 많고 그 매체의 신뢰도가 높은 시장?), 그러한 이유로 생산 공장 분배시 들어가는 국가도 생겼다 라던가.. 는 아닐까요?
4~5년전 카니발2가 세계 프리미엄 브랜드보다 훨씬 쌌었으니 그에 합당한 제품을 받았으리라 생각합니다. 물론 적당히 관리 받은 차라면 부식이 거의 없는 동종 내수 기종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훨씬 많았으리라 예상되구요. 이제 현대도 R&D 성과가 왕왕 나오고 있으니 가격도 쎄지고 사용되는 재질도 고급화되어 세계 수준에 걸맞아지고 있지 않을까 합니다.
그리고 일본은, 인구가 어느정도 많아 내수시장의 경쟁이 치열한 편이라고 합니다. 지리적으로 근처에 마땅한 경제대국 시장도 없고 그러니, 요상하게 치열한가 봅니다.
물론 다 확인해 본 바는 없는 추측입니다. ^^

근데 사실 저런 폭풍 까임을 하고도 많은분들이 결국 현대차를 사시는것 같습니다.
현대차를 거부하고 대안으로 살 차종들이 너무 적은관계로...
특이 제네시스급 후륜구동 고급세단은 수입차 말고는 전무하고.. 뭐 아직까지는 답이 없지 않나 싶습니다
일일히 친절한 답변 달아주는 분도 고역이겠어요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