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백열전구가 곧 사라지게 될 것 같아 말이죠.
이미 호주와 브라질에서는 백열전구의 신규판매가 중단되었다고 하고요. 2011년 말까지는 영국에서는 판매가, 일본에서는 생산이 중단될 겁니다. 영국을 제외한 유럽과 미국에서는 점진적으로 백열전구의 생산과 판매를 줄여나간다는군요.
자동차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기사나 리포트를 아직 보지는 못했지만, 몇 년내에 백열전구를 쓰는 등화류가 새로 발매되는 차량에서 사라지게 될 것은 어렵지않게 짐작이 가능합니다. 그렇게 되면 고급차의 상징처럼 여겨지던 HID나 LED를 도로에서 어렵잖게 볼 수 있게될 것 같네요. (사실, "고급차에나" 라는 표현은 어폐가 있습니다. HID나 LED가 상업용 트럭 등에서 더 많이 쓰이는 나라도 있는 것 같습니다만..)
아무튼, 자동차에 사용될 백열전구를 대체하는 광원은 일반적으로 볼 때 형광등(HID)이나 LED 정도 밖에 없는 것 같은데요. 가격이 비싼 것이 좀 문제이지만 널리 보급되면 가격도 괜찮은 수준으로 내려오길 기대해 봅니다. 물론, 백열전구가 장점이 있고 단점이 있듯, HID나 LED도 단점도 있겠지요. 특히 요즘은 LED의 발열문제가 등화류 설계에 새로운 걸림돌로 작용하는 것 같습니다. (LED 광원 자체는 발열을 안하지만 백엔드에서의 발열이 생각보다 심하다고 하네요)
LED하니까 생각나는데, 이놈이 참 자동차 기술을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어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신형 아우디 A8에 장착된 LED 헤드라이트는 GPS와 연동이 된다고 합니다. 이게 무슨 얘기인고 하니, 차가 운행하고 있는 길을 GPS가 확인하면서 능동적으로 헤드라이트의 조사방향을 바꿔주는 기능을 하는거죠. (이에 반해 AFS는 수동적이라 할 수 있네요) 거기에 더해서 영국에서 유럽대륙으로, 또는 유럽대륙에서 영국으로 넘어갈 경우, A8은 알아서 헤드라이트 조사패턴을 LHD또는 RHD 도로에 맞게 바꿔준다고 합니다. 이런 기능들은 다른 곳은 모르겠지만 영국과 유럽대륙에서 판매되는 A8에 기본사양이라고 하는군요.
앞으로 자동차가 어떻게 변화할지 기대가 됩니다.

헉!! 주영님.. 어떤 전구를 쓰시길레... Pxxx?
저는 그냥 부품점가서 사서 갈았는데, 생각보다 비싸더군요...
현대 부품점에서도 H7은 개당 만원선? ㅡ.ㅡ;;
솔직히 사제 제품 이것저것 써봤는데, 수명이 관건인 듯 합니다...
어차피 HID 아닌이상 말이죠...
궁극적으로는 LED로 가지 않을까 싶은데, 좀 먼 이야기일 수도 있겠네요...
당분간은 HID가 좀 더 보편화 되지 않을까 합니다...
국산 중형차량들도 점차 장착률이 높아지고 있으니 금새 늘어나겠죵...

2009년부터 이미 독일에서는 에너지 절약 차원으로 백열 전구의 생산이 사실상 금지시 되었습니다. 더 이상 백열 전구를 이용한 신제품은 나오지 않겠지만, 기존에 쓰던 제품 때문에 꾸준히 만들기는 해야겠죠(때문에 약간의 어폐가 ㅎㅎ). 내년부터 EU에서 판매되는 신차에는 주간 주행등이 의무적으로 부착되어야 하는데, 미리 준비해왔던 유럽 업체는 괜찮지만 한국차와 일본차 같은 경우는 판매업자가 개별적으로 장착해주는 경우가 많더군요. 장착 범위는 정해져있지만 워낙 장착 지점과 밝기가 제각각이라 도리어 맞은 편 차량에 방해가 되는 부작용도 좀 있구요.. 필립스 관계자는 OLED가 대중적이 될 것이라고 하던데, 이것 또한 차량에 여러 방면으로 응용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물론 헤드램프에 OLED를 쓸 것 같진 않습니다). LED나 OLED나 더 대중화되어 가격이 내려가야만 하겠죠 ^^
얼마전에 전조등 전구 갈려고 인터넷에 찾아보니
ㄴㅇ전구 H1,H7 이 천몇백원,이천몇백원씩이라 무료배송 금액 채우느라 왕창 사뒀는데 다행일려나요??
무엇보다도 백열전구가 아닌 다른 형태의 전구는 12V 전류를 그대로 이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걸 변환하는 과정에서 버려지는 에너지가 상당하지 않나요?
자동차에서는 백열 전구 금지한다고 에너지 효율에서 얻어지는 게 얼마나 될까 의문입니다.

Luminous efficiency를 따지면 백열등은 LED, HID의 반정도 되는거 같습니다. 12V에서 비교한 자료는 찾기 힘든데, 우선 http://en.wikipedia.org/wiki/Luminous_efficacy 를 한 번 보시면 좋을듯 싶네요.
백열등은 가시광선 외에도 적외선 영역에 꽤 많은 에너지를 뿜어내기 때문에(가까이 가면 복사열로 따뜻하잖아요^^) 조명으로서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편입니다.
http://www1.eere.energy.gov/buildings/ssl/efficacy.html 에서는 드라이버 회로로 인한 효율 손실을 고려한 비교를 하고 있네요.
그나저나 사실 에너지는 전구의 라이프사이클 전체에 걸친 평가를 해야 하는 것 아닌가 생각됩니다. 즉, 전구의 생산에 들어가는 에너지와 한 개의 전구가 얼마나 오랫동안 사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전구를 폐기하는데에 들어가는 에너지가 얼마인지까지 고려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게 따지면 사실 드라이버 회로(혹은 발라스트)가 들어가는 복잡한 시스템인 LED, HID 조명의 생산/폐기 에너지가 훨씬 높을 것이라고 생각이 되긴 합니다 - 긴 수명을 고려하더라도요.

백열전구가 생산중지 되면 기존 차량들에게 사제 HID 장착을 종용하는 웃기는 상황이 될 수도 있겠네요.^^ 몆년 뒤면 HID 안 단 차를 단속하는 상황이 벌어지지 않을까요?

개인적으론 HID나 LED 등이 차에 달린걸 엄청 싫어하는 입장에서 안좋은 뉴스네요..시야각에 도움은 살짝되지만 밤에 앞뒤차에 방해를 주는..순정 HID나 LED도 일반 백열전구보단 상대방에게 방해는 되는것같습니다.
효율은 보통 할로겐 전구가 와트 당 25루멘 정도로 보고, 형광등이나 HID, LED 등은 최고 효율이 와트 당 100루멘 정도 나옵니다. 근데 최근에 나온 LED는 와트 당 130루멘 정도인 것도 있고 계속 기술발전이 있으므로 수명이나 공간 활용성, 색상 등 여러면에서 LED가 지배하는 세상이 올 거라고 생각합니다.
LED의 발열은 LED자체의 문제입니다. 암페어 단위를 넘나드는 고전류로 인해 열이 많이 나는 편인데 손에 들고 다니는 랜턴도 발열을 쉽게 해결하는 수준이니 차량같은 큰 덩치에서는 발열은 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제대로만 만든다면요.
십년 정도 후의 세상이 궁금해지네요.
미리 전구 종류별로 사 놓고 잘 보관해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나중에 보물이 되는 건 아닐지............
일반 헤드램프를 구입할 일이 생겨서 알아보니 한 쪽당 10만원 정도 하더군요.
시간이 흘러, 투스카니를 출고하고(순정 HID) 헤드램프 가격을 알아보니 HID모듈과 함께 한 쪽당 약 60만원 했습니다. (한동안 클럽 투스카니 분들이 소보원 고발 등 노력하셔서 부품 별로 단품 공급하게 되었지요)
거기다가 요즘 나오는 에쿠스 리무진의 LED헤드램프 가격은 상당히 비싸다고 들었는데...
기술이 발달하면서 주머니 사정은 점점 악화되는 것 같습니다. =_=
워런티 기간이 지나면 왠지 무서울 것 같습니다. LED는 이제 서서히 내려오기 시작했고, HID는 고급 옵션으로 조금씩 보편화되고 있습니다만 아직 확 늘어나진 않네요. 하긴 전선과 단자만 있으면 되는 시스템에서 HID 컨트롤 모듈이 들어가야하니 말입니다.
LED로 갈까 HID로 갈까 궁금합니다. 이원화 될까요? LED로 귀결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