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sm7차량 구입 후 열 달만에 4만 2천km를 넘어섰습니다.
대구-포항 간 출퇴근이 많아서 그렇고 앞으로도 2년 정도는 더 다녀야 할 것 같네요.
주행거리가 많아 기본으로 제공되는 엔진오일 교환 등의 서비스를 1만km마다 받는데 자주 가는 느낌입니다.
그래서 2만km 정도에 앞뒤 타이어 위치교환하려던 것도 4만km가 넘어서 했는데, 이번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대부분의 주행이 고속도로라서 공기압을 앞 40~42psi, 뒤 34~36psi 정도 넣고 다녔는데 이번에 앞뒤 위치교환을 하고 달려보니 비포장 도로를 달리는 것처럼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더군요. 서비스코너측에서 주행해보더니 타이어 편마모때문이라고 합니다. 타이어를 자세히 보니 날이 좀 서 있고 트레드와 사이드월 사이 곡면부분이 울룩불룩하게 닳아 있네요. 뒤에서 앞으로 옮긴 타이어만 그렇고 원래 앞에 있었던 타이어는 거의 그런 현상이 없습니다. 고속도로 노면이 시멘트이고 순정타이어의 품질도 어느 정도 예상 했었기에 소음에 대해 별 신경쓰지 않고 다녔습니다.
정비기사는 과다한 공기압 때문에 그럴 거라고 하더군요. 그 전에 공기압이 높았던 다른 차량에서도 같은 증상이 있었다고.
그러나 제가 운행했던 차량 3대가 거의 같은 공기압과 비슷한 길을 다녔음에도 이 차량만 유독 증상이 두드러지는 것은 단순히 공기압 때문만이 아닌 것 같습니다.
타이어 교체 후에 하는 이야기가....밸런스가 40까지 틀어져 있었다고 합니다. 차량 출고시에 밸런스와 얼라인먼트를 정확하게 잡아나왔으리라 믿었고 고속도로 주행이 대부분이어서 밸런스나 얼라인먼트를 점검해 볼 생각을 못했었는데 지금 와서야 후회가 됩니다.
납이 떨어진 흔적은 없었다고 합니다.
제 추측으로는 차량 출고시에 밸런스가 약간 틀어져 있었을 가능성과,
순정 타이어의 불량 등으로 인한 편마모가 아닐까 싶습니다.
현재 운행중에 소음과 진동이 올라오지만 120km 근처에서는 주변소음 때문인지 오히려 줄어드네요.
편마모인 타이어를 계속 타고 다니면 자리를 잡을 수도 있다고 하는데 어떨런지요?
진동이나 다른 이상 증상으로 인한 차량 손상이 있다면 바로 저소음형 타이어로 교체도 생각중입니다만, 주행거리가 많다보니 몇 달만 더 타도 교체시기가 되기에 그 때 바꿀까 싶기도 합니다.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수 있지만, 얼라이먼트체크가 우선이 아닐까요?
날이 선것은 얼라이먼트이외에도 타이어를 한방향으로만 계속 사용해서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그외는 타이어 상태에 따라서 다르겠지요...
안쪽바깥쪽 마모도가 다른것은 얼라이먼트가 괜찮다면 거꾸로 뒤집어서 끼우시고 계속 타세요,
물론 소음이 좀 나겠지만, 좀 지나면 괜찮아질겁니다.
안쪽바깥쪽 마모도가 심하면 타이어코니시티때문에 자리잡기는 좀 어려울듯하네요.
발란스는 4만키로동안 그냥타셨으니 좀 과하기는 하지만 틀어질수있구요.
공기압에 대한 의견은 전 좀 다른데,
제같은경우에는 제작사 추천기준으로 해서 고속도로 주행이 많으시면 앞뒤 똑같이 10%-15% 정도 더 넣고탑니다.
이 정도범위에서 자신만의 값을 찾으시는것도 괜찮습니다.
위치교환자주해주시면 타이어 수명이 많이 연장됩니다. 다만 위치교환비용이 좀 들겠지만, 자주 카센터 방문하시니 서비스로 해주지 않을까요?
참고하세요.

한번 편마모가 진행된 타이어는 ...얼라이먼트 공기압 모든걸 정상으로 돌린다해도 그상태 그대로 닳아 버립니다.
뒷쪽 타이어만 그렇다면 뒷쪽 얼라이먼트가 안맞아서 그렇게 닳았을수도 있습니다. 순정이라고 공장에서 정확히 맞춰서 나오지않습니다. 아반떼xd 차종도 뒷쪽 편마모 심했었습니다..앞타이어보다 뒷쪽이 먼저 닳아버리는 차도 종종 있었습니다..과다한 토우때문에요..
고속에선 공기압을 더 넣으라고 메뉴얼에 나와 있는 차종들도 있는만큼 맞는 것 같고,,
위치교환은 요즘은 권하질 않습니다.. 참고만.. 곱게 마모되지 않은 타이어를 위치교환하면 말씀하신 것 처럼 주행시 위험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얼라이먼트 먼저 하시고, 그 후 한참 주행거리가 늘어나도 뭔가 불안하다면 타이어 신품 교체를 추천합니다..
제 개인적 경험과 생각으로는 방향성 타이어가 아니라면...
휠 밸런스를 잡은후
타이어를 위치 교환 뿐만 아니라...방향도 돌려서 껴서 다시 자리를 잡도록 조취를 해봄이 어떻까도 싶습니다.
당분간 소음은 발생하겠지만 자리를 잡는 경우도 많습니다.
단지...타이어 돌려끼는것도 비용발생이있으므로 타이어 트레드가 60~70 % 이상 남았을때 권장합니다.
그리고 타이어 공기압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차량에 권장하는 타이어 공기압을 추천합니다.
타이어 자체의 최대 공기압이 50PSI라고 해서 권장 공기압이 32인 차량이 40까지 넣는것은 잘못된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