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유럽 자동차 업체들이 한국과 유럽연합(EU)이 추진 중인 자유무역협정(FTA)과 관련, 한국이 수입 자동차에 대한 비관세 장벽을 철폐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20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유럽자동차공업협회(ACEA)는 지난달 EU 회원국 통상 장관들에게 보낸 서한을 통해 “한국은 유럽 자동차 산업에 있어 결코 우선 순위(priority)가 아니다”면서 “(한·EU FTA) 협상은 유럽 자동차 산업의 이익과 배치된다”고 밝혔다.
ACEA는 “한국은 (수입 자동차에) 수많은 비관세 장벽을 부과해 자국 자동차 산업을 보호하고 있다”며 “한·EU FTA가 체결되면 유럽 자동차 시장만 일방적으로 시장을 여는 꼴이 돼 유럽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이 위기에 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EU 고위관리도 “EU는 한국과의 FTA 협상에서 관세는 물론 비관세 장벽의 과감한 철폐를 요구할 것”이라며 “이는 EU의 최대 관심사”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국 통상교섭본부 관계자는 “이 시점에서 ACEA의 서한이 공개된 이유는 협상장에서 우리를 압박하기 위한 사전 포석일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했다. 우리 정부와 EU는 다음달부터 한·EU FTA를 위한 협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ACEA가 지적한 비관세 장벽이란 국제 자동차 형식 기준을 통과한 차량에 대해서도 한국 기준(규격)에 맞춰 재평가를 받도록 하는 까다로운 자동차 수입 절차를 겨냥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 관계자는 “해외에서는 아무 문제가 없는 차를 한국 기준에 맞추기 위해 따로 생산하거나 개조해야 하는 비용 부담이 크고, 수입이 지연되는 경우도 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ACEA는 한·미 FTA에서 미국이 문제 삼았던 배기량 기준 세금제도와 고급차에 대한 특별소비세 등은 언급하지 않았다. 한·미 FTA의결과로 국내 자동차 세법이 개정되면 미국 자동차뿐만 아니라 EU 자동차도 같은 혜택을 보기 때문이다.
이거 국내 자동차 시장에 영향이 엄청 크겠네요..
비관세장벽(관세를 제외한, 환경,등록절차 등등)까지 없애라니..
비관세 없으면 실질적으로 유럽차를 차값+운송료+딜러마진만 딱 주고 사는것이니
왠만한 중저가형차는 현재 국산차값하고 큰 차이 없을텐데..
그렇게 되면 당장 저라도 르노 스포트클리오를 사겠습니다..
ACEA는 “한국은 (수입 자동차에) 수많은 비관세 장벽을 부과해 자국 자동차 산업을 보호하고 있다”며 “한·EU FTA가 체결되면 유럽 자동차 시장만 일방적으로 시장을 여는 꼴이 돼 유럽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이 위기에 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EU 고위관리도 “EU는 한국과의 FTA 협상에서 관세는 물론 비관세 장벽의 과감한 철폐를 요구할 것”이라며 “이는 EU의 최대 관심사”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국 통상교섭본부 관계자는 “이 시점에서 ACEA의 서한이 공개된 이유는 협상장에서 우리를 압박하기 위한 사전 포석일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했다. 우리 정부와 EU는 다음달부터 한·EU FTA를 위한 협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ACEA가 지적한 비관세 장벽이란 국제 자동차 형식 기준을 통과한 차량에 대해서도 한국 기준(규격)에 맞춰 재평가를 받도록 하는 까다로운 자동차 수입 절차를 겨냥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 관계자는 “해외에서는 아무 문제가 없는 차를 한국 기준에 맞추기 위해 따로 생산하거나 개조해야 하는 비용 부담이 크고, 수입이 지연되는 경우도 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ACEA는 한·미 FTA에서 미국이 문제 삼았던 배기량 기준 세금제도와 고급차에 대한 특별소비세 등은 언급하지 않았다. 한·미 FTA의결과로 국내 자동차 세법이 개정되면 미국 자동차뿐만 아니라 EU 자동차도 같은 혜택을 보기 때문이다.
이거 국내 자동차 시장에 영향이 엄청 크겠네요..
비관세장벽(관세를 제외한, 환경,등록절차 등등)까지 없애라니..
비관세 없으면 실질적으로 유럽차를 차값+운송료+딜러마진만 딱 주고 사는것이니
왠만한 중저가형차는 현재 국산차값하고 큰 차이 없을텐데..
그렇게 되면 당장 저라도 르노 스포트클리오를 사겠습니다..
2007.05.09 11:27:00 (*.211.109.189)

수입차의 규제 항목 기준만 보더라도 세계 탑클래스 수준의 규제사항이죠..ㅎㅎ
그게 국산차 보호장벽의 일종이라는건 알고있었지만...
아뭏든 단순하게 생각하면 좋은 수입차량들이 많이 저렴하게 들어와 품질로
승부할수있는 그날이 빨리 왔으면 합니다. 울며겨자먹기식의 차량구입이 아닌...
그게 국산차 보호장벽의 일종이라는건 알고있었지만...
아뭏든 단순하게 생각하면 좋은 수입차량들이 많이 저렴하게 들어와 품질로
승부할수있는 그날이 빨리 왔으면 합니다. 울며겨자먹기식의 차량구입이 아닌...
2007.05.09 11:30:41 (*.152.36.168)

뭔가 한참 잘못알고 있군요.
유럽차가 관세 때문에 진출못한다니...
엄청 눈탱이치는 가격이 더 문제인것을
그리고 차에 문제 있으면 판매책은 본사에게, 본사는 판매책에게 책임을 미루는 에이에스정신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유럽차가 관세 때문에 진출못한다니...
엄청 눈탱이치는 가격이 더 문제인것을
그리고 차에 문제 있으면 판매책은 본사에게, 본사는 판매책에게 책임을 미루는 에이에스정신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2007.05.09 13:24:06 (*.5.209.36)
개인적으로는 배기가스 규제가 조금이라도 완화되기를 바랄 뿐입니다ㅡ.ㅜ 정말 멋진 차들이 많은데 배기가스 규정때문에 들이지 못하는게 많은걸로 아는데.. 훔..
2007.05.09 13:39:57 (*.238.242.101)

여선암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한국에서의 수입산 자동차 고가의 주원인은 관세라기 보다 이해할 수 없는
유통관행 입니다. 수입차 로컬법인들과 딜러들은 매번 이러한 이슈에 대해
A/S네트워크 등의 기반 시설 투자와 마케팅 비용이라는 문제를 들고 나오는데
전자의 경우는 신생(진출)브랜드가 아니라면 더이상 그 설득력이 없으며
후자의 경우는 과연 수입차업계에서 얼마마큼 대대적인 프로모션을 상시
운용하는가를 다져보면 답은 쉽게 나옵니다. 저는 수입차 가격구조가
탄력성을 가져가지 않는 것이 오히려 국산브랜드의 손쉬운 가격인상
핑계거리를 제공하는 점 또한 무시할 수 없다고 봅니다.
아래에 올린 기사와 마찬가지로 결국 소비주체 스스로 가격인하를 위한
강력한 행동이 필요하다 하겠습니다.
한국에서의 수입산 자동차 고가의 주원인은 관세라기 보다 이해할 수 없는
유통관행 입니다. 수입차 로컬법인들과 딜러들은 매번 이러한 이슈에 대해
A/S네트워크 등의 기반 시설 투자와 마케팅 비용이라는 문제를 들고 나오는데
전자의 경우는 신생(진출)브랜드가 아니라면 더이상 그 설득력이 없으며
후자의 경우는 과연 수입차업계에서 얼마마큼 대대적인 프로모션을 상시
운용하는가를 다져보면 답은 쉽게 나옵니다. 저는 수입차 가격구조가
탄력성을 가져가지 않는 것이 오히려 국산브랜드의 손쉬운 가격인상
핑계거리를 제공하는 점 또한 무시할 수 없다고 봅니다.
아래에 올린 기사와 마찬가지로 결국 소비주체 스스로 가격인하를 위한
강력한 행동이 필요하다 하겠습니다.
2007.05.09 17:01:03 (*.115.100.196)
자연스런 시대의 대세입니다 그동안 많은 규제,정책이 많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글로벌시대에 맞는 합리적인 정책이 필요할때 입니다 국내 제조사들의 정부로비나
자국산 무의미한 보호도 이젠 더이상 써 먹을순 없겠죠
그리고 윗글에 공감하는,배기가스 규제로 인한 참신한 차량의 부제는 참 안타까운게
사실입니다 (특히 골프 GT 같은경우)
국민들 고급수입차에 대한 마인드도 합리적으로 바뀌어야 겠죠 외국보다 두배나 주고도
잘 팔린다는게 결국 우리 정서에 문제가 아닐런지요
암튼 자동차 매니어에겐 EU와의 좋은 결과가 있기만 기대할뿐입니다
글로벌시대에 맞는 합리적인 정책이 필요할때 입니다 국내 제조사들의 정부로비나
자국산 무의미한 보호도 이젠 더이상 써 먹을순 없겠죠
그리고 윗글에 공감하는,배기가스 규제로 인한 참신한 차량의 부제는 참 안타까운게
사실입니다 (특히 골프 GT 같은경우)
국민들 고급수입차에 대한 마인드도 합리적으로 바뀌어야 겠죠 외국보다 두배나 주고도
잘 팔린다는게 결국 우리 정서에 문제가 아닐런지요
암튼 자동차 매니어에겐 EU와의 좋은 결과가 있기만 기대할뿐입니다
2007.05.10 13:27:06 (*.149.162.28)

사실 전 우리나라 배기규제가 세계적인 최신의 규제기준을 따르고 있는 것이 듬직합니다. 유럽이나 미국처럼 타국에 없는 새로운 기준을 만드는 것도 아니고 가솔린은 북미시장 기준, 디젤은 유럽시장 기준을 따르고 있을뿐인데, 한국시장을 위해 따로 생산하거나 개조해야한다는 '한국수입자동차협회 관계자'의 말씀은 사실 과장이라고 봅니다. 기술력있는 유럽의 각 메이커들이 이미 개발해 수출하고 있는 북미 시장용이나 유럽 시장용의 제어부품과 배기계통 부품을 한국시장 제품에 공유하면 될 것을 말입니다. 국내 자동차 업계에서도 각 차종의 판매 시장에서 법규나 기준이 바뀔 때마다 동일하게 대응하고 있는데 그들이라고 우리보다 못하다고 보긴 어렵지요. 다만, 차 한대당 원가가 일정부분 상승하는 것때문에 원가 상승 요인이 되거나, 제조업체에서 사양 변경, 부품 공급체계 변경, 인증 등의 엔지니어링 업무에 대한 부담으로 저항이 있을 것으로 보긴 합니다.
2007.05.10 13:54:10 (*.46.122.32)

주헌님 근데 한국시장을 위해 따로 생산하거나 개조해야한다는 '한국수입자동차협회 관계자'의 말은 맞습니다.. 국내에서는 가솔린차량은 미국형 OBD를 의무 장착해야 하는데, 문제는 유럽차들의 경우 북미에 수출하는 차종하고 한국에 주로 수출하는 차종이 거의 다르다는 겁니다.. 예를 들어 S클래스의 경우 국내에는 주로 S350이 팔리고, S500이 조금 팔리지만, 북미에는 S550이 주력모델이죠.. 따라서 한국에 파는 소량 때문에 S350과 S500에 OBD를 따로 만들어 달아야 합니다.. 위에 이시훈님께서 말씀하신 골프 1.4 GT가 국내 수입되지 못하는 것도 OBD 때문으로 알고 있습니다.. 뭐, 판매 마진에 비하면 별거 아닌 장착 비용이겠지만, 그래도 메이커 측에서는 골치 아픈 요소입니다.. 제가 환경쪽은 잘 모르겠습니다만, 미국의 가솔린차 OBD는 대배기량차에는 필요하다 치더라도, 소형차에까지 왜 달아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저가형 수입차 시장을 억제하여 국내 메이커를 보호하려는 의도는 아닌지 의심도 갑니다..
2007.05.10 14:01:03 (*.46.122.32)

그러면서도 저번 한미 FTA때는 NMOG(비메탄계 유기가스)의 배출허용기준을 잘 안팔리는 미국산 수입차를 위해 연 4500대 미만 판매 수입차에 대해서는 기준을 완화해 주었고, OBD도 소량 판매 메이커는 08년까지 부착 안해도 되게끔 해주었습니다.. 자동차 환경 기준이란게 대체 환경을 위해 존재하는 것인지 아니면 "국내메이커 보호 + 협상을 위한 카드"에 불과한것인지 의문이 듭니다.. EU 입장에서 환경 관련 비관세장벽 해제를 요구하는것도 따지고 보면 큰 무리는 아닌것도 같습니다..
이런 부분만 해결되어도 엄청난 수입차가격 하락과 그레이업체의 활성화로 다양한 차종이 선보일수있게 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