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저두 외국에 오래 살다보니...이해 안가는게 몇개가 있는데영..
자동차 관련중에 하나가 왜 외제차중 유독 실버색깔만 차가 많은지 이해가 않갑니다..;;
유달리 실버색만 많은 이유가 먼가요??실버색이라 더 D/C가 있는것두 아닐테구영..;;
저 비머는 검정색이 더 이뿔텐데...저 멀세데스도 흰색이면 더 이뿔텐데..;;그런차량이 많은데..
중고 매매장가서 봐도 실버색이 더 가격이 더 쌘편이궁..;;
울 나라가 백의 민족이고 또한 대표팀도 대부분 빨강색이구 태극기도 빨강,파랑,검정,흰색뿐인데..이넘의 실버는 어디서 나온것입니까??아리소오오오오옹~~송 @@;;
PS 글구 렉스톤 스페어 타이어로 바꿀려다가 죽을뻔 했네용..조만간에 사진첨부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그넘의 리프트 잭이 왜그리 작은것인지..;;;넘 심한거 아닙니까??
자동차 관련중에 하나가 왜 외제차중 유독 실버색깔만 차가 많은지 이해가 않갑니다..;;
유달리 실버색만 많은 이유가 먼가요??실버색이라 더 D/C가 있는것두 아닐테구영..;;
저 비머는 검정색이 더 이뿔텐데...저 멀세데스도 흰색이면 더 이뿔텐데..;;그런차량이 많은데..
중고 매매장가서 봐도 실버색이 더 가격이 더 쌘편이궁..;;
울 나라가 백의 민족이고 또한 대표팀도 대부분 빨강색이구 태극기도 빨강,파랑,검정,흰색뿐인데..이넘의 실버는 어디서 나온것입니까??아리소오오오오옹~~송 @@;;
PS 글구 렉스톤 스페어 타이어로 바꿀려다가 죽을뻔 했네용..조만간에 사진첨부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그넘의 리프트 잭이 왜그리 작은것인지..;;;넘 심한거 아닙니까??
2007.05.14 12:42:36 (*.140.81.5)

국산차는 흰색과 검정색이 가장 많습니다. 수입차는 잘 모르겠지만 꼭 우리나라 뿐 아니라 외국에서도 실버가 많은것은 마찬가지인듯 한데요?
2007.05.14 12:51:57 (*.253.60.49)

저도 파란색에서 이번에 뉴오피러스 실버로 도색했습니다.
하고난뒤 가장 큰 편안함이 역시나 관리...세차의 편안함
요 몇일 비가 왔었는데 솔직히 파란색에 비해 엄청나게 티가 안나네요...^^;
하고난뒤 가장 큰 편안함이 역시나 관리...세차의 편안함
요 몇일 비가 왔었는데 솔직히 파란색에 비해 엄청나게 티가 안나네요...^^;
2007.05.14 13:21:11 (*.131.202.236)

예전에는 너무 검은색위주였죠 그나마 외제 수입차들이 은색으로 많이 다니면서 검은색이 많이 줄은겁니다. 그랜져시리즈도 검은 색외에 색이 이렇게 많이 팔린건 아마 tg가 처음일겁니다
2007.05.14 13:36:33 (*.134.53.147)
1. 관리 용이-- 잔기스가 비교적 덜 생기고 때가 덜 탄다.
2. 야간 운전의 안전성-- 식별이 용이한 색상
3. 무난한 중고시세
2. 야간 운전의 안전성-- 식별이 용이한 색상
3. 무난한 중고시세
2007.05.14 13:45:05 (*.146.47.182)

아마도 관리가 편하다는게 가장 큰 이유 아닐까요. 사실 4-5년 전만해도 은색은 정말 회색이라고 불러도 무방할 정도로 매력적이지 못했으나, 최근엔 톤도 밝아지고 괜찮은것 같습니다.
저는 검정 -> 진청 -> 검정을 타고 있지만, 솔직히 세차해도 먼지쌓이고 하면... 어휴
저는 검정 -> 진청 -> 검정을 타고 있지만, 솔직히 세차해도 먼지쌓이고 하면... 어휴
2007.05.14 13:58:27 (*.107.44.68)

은색은 도색을 맞추기가 힘들지만...메탈릭계열이라...세차의 용이함이 있지요....광택을 내도 티가 안나고....요즘은 은색도 진해지더군요...
2007.05.14 14:46:29 (*.17.11.58)
관리 편한게 가장 큰 이유인듯 합니다.
제 어코드도 은색인데,
현재 오너의 귀차니즘을 이유로 2주째 먼지 쌓인 채로 운행중입니다. ㅜ.ㅜ
항상 '세차해야겠다' 입에 달고 사는 편인데 주위에선 깨끗하구만 왜 또 씻냐는 식입니다..
제 눈엔은 정말 더러운데...
결론은 자주 안씻어줘도 깨끗해보이는 장점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친구들은 모두 검정색 차량을 타는데 세차하고 하루 뒤면 먼지 뒤집혀 있는거 보니
은색 잘 산거 같다는 생각입니다 ^^;
제 어코드도 은색인데,
현재 오너의 귀차니즘을 이유로 2주째 먼지 쌓인 채로 운행중입니다. ㅜ.ㅜ
항상 '세차해야겠다' 입에 달고 사는 편인데 주위에선 깨끗하구만 왜 또 씻냐는 식입니다..
제 눈엔은 정말 더러운데...
결론은 자주 안씻어줘도 깨끗해보이는 장점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친구들은 모두 검정색 차량을 타는데 세차하고 하루 뒤면 먼지 뒤집혀 있는거 보니
은색 잘 산거 같다는 생각입니다 ^^;
2007.05.14 15:28:39 (*.138.67.171)

세차등 차량 외부 관리문제가 가장 크게 작용하는것이 아닐까요?
저부터도 실버를 선호하니까요 ^^;
여담 입니다만,
미국의 모터쇼에 출품되는 미국의 실버색상의 차량은, 아우디 도장용 실버 페인트로
도장을 해서 행사에 출품한다는 소릴 들었습니다.
그만큼 아우디의 실버칼라가 가장 예쁘다는 것을 입증해 준다고, 미국의 유명 자동차 사진작가가 그러더군요.
노을 배경으로 실버칼라의 차를 찍을때 차체에 묻어나오는 실버와 붉은노을의 조화는,
그저 바라만 봐도 배가부른 포만감을 주더군요 ^^;
저부터도 실버를 선호하니까요 ^^;
여담 입니다만,
미국의 모터쇼에 출품되는 미국의 실버색상의 차량은, 아우디 도장용 실버 페인트로
도장을 해서 행사에 출품한다는 소릴 들었습니다.
그만큼 아우디의 실버칼라가 가장 예쁘다는 것을 입증해 준다고, 미국의 유명 자동차 사진작가가 그러더군요.
노을 배경으로 실버칼라의 차를 찍을때 차체에 묻어나오는 실버와 붉은노을의 조화는,
그저 바라만 봐도 배가부른 포만감을 주더군요 ^^;
2007.05.14 16:07:28 (*.192.187.141)

장점: 세차를 안해도 별로 티가 안난다.
단점: 열심히 세차하고 광내도 마찬가지로 티가 안난다.. -_-;;;
주말에 광내기를 취미삼아 하시는 분들에겐 절대 비추색상..;;;
단점: 열심히 세차하고 광내도 마찬가지로 티가 안난다.. -_-;;;
주말에 광내기를 취미삼아 하시는 분들에겐 절대 비추색상..;;;
2007.05.14 16:52:55 (*.25.141.250)

국내 취향의 3색을 모두 타봤습니다. 흰색 검정색 은색순으로. 모두 장단이 있겠지만 은색이 가장 편합니다. 원색을 타보고 싶지만 원색이 나오는 차를 아직 소유 못해봤구요. 다음에는 쥐색을^^
2007.05.14 18:58:22 (*.238.242.101)

국내 고급 차종의 실버계열 컬러가 많아진 현상은
BMW,벤츠의 영향이 크지 않았나 추정해봅니다^^
그러나 은색도 은색 나름...
SM7 은색은 정말.....-.-;;
BMW,벤츠의 영향이 크지 않았나 추정해봅니다^^
그러나 은색도 은색 나름...
SM7 은색은 정말.....-.-;;
2007.05.14 19:39:20 (*.28.165.208)

진청색(JT), 검정(EB)를 거쳐 비둘기색에서 크리스탈실버(Z9)로 바꿨습니다.
카리스마는 역시 어두운 계열만큼 좋고 받쳐주는 것도 없지만 한여름날
그 무더위는 정말로 피하고 싶을 따름입니다.
블루계열의 색상은 한번 느껴보고 싶지만 잘 못 선택하면 그 언밸런스에서
갇혀버리기 쉽상입니다.
카리스마는 역시 어두운 계열만큼 좋고 받쳐주는 것도 없지만 한여름날
그 무더위는 정말로 피하고 싶을 따름입니다.
블루계열의 색상은 한번 느껴보고 싶지만 잘 못 선택하면 그 언밸런스에서
갇혀버리기 쉽상입니다.
2007.05.14 23:07:25 (*.237.221.253)

흰색->진파랑으로 왔습니다만... 관리의 압박입니다. 스월마크부터 세차까지... ㅋㅋ 다음번엔 다시 흰색이나 은색계열로 갈거 같네요... 쿠쿠쿠 ~ ^_^;;;
2007.05.14 23:13:13 (*.229.109.2)

검정이나 곤색은, 권위적인 느낌이 들어 관용차나 보수적인 느낌..
외산차를 타는 오너는, 누구 눈치 보지않고 어느정도 자유로운 캐릭터를 추구하는데, 흰색..원색 계통 차들은 시각적으로 지나치게 튀어.. 밝은 중간색 레벨인 실버색상을 선호하는거 같습니다. 얼마전 칼라별 사고율 표를 보니, 은색 차의 사고율이 가장 낮더군요.
블루 계열색은 스포티한 느낌이여서 젊은 감각에 어울리지만, 후퇴색이라 실제보다 멀리있는것으로 착시되어 사고율이 가장 높습니다. 빨강..노랑등의 진출색이 사고율이 적고요. 은색은 빛반사에 의한 시각효과로 사고율이 낮은 듯 합니다.
외산차를 타는 오너는, 누구 눈치 보지않고 어느정도 자유로운 캐릭터를 추구하는데, 흰색..원색 계통 차들은 시각적으로 지나치게 튀어.. 밝은 중간색 레벨인 실버색상을 선호하는거 같습니다. 얼마전 칼라별 사고율 표를 보니, 은색 차의 사고율이 가장 낮더군요.
블루 계열색은 스포티한 느낌이여서 젊은 감각에 어울리지만, 후퇴색이라 실제보다 멀리있는것으로 착시되어 사고율이 가장 높습니다. 빨강..노랑등의 진출색이 사고율이 적고요. 은색은 빛반사에 의한 시각효과로 사고율이 낮은 듯 합니다.
2007.05.14 23:35:11 (*.52.107.35)
차에따라 어울리는 색이 있는듯 하지만 다 주관적이라 판단됩니다. 은색의 장점은 잔기스가 나도 티가 잘 나지 않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