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두달 전쯤 젠쿱의 순정브렘보 패드를 AS로 바꿔 주었는데요..
상대적인 느낌인지는 정확히 모르겠으나, 성능이 좀 달라진거 같습니다.
트랙 자주 타시는 분들은, 레이싱용을 쓰셔서 잘 모르겠지만 제 경우는 처음부터 순정만 써서, 애초에 장착되었던 패드 성능과 좀 차이가 난다는걸 느끼고 있습니다. 젠쿱이 처음 나왔을때 브렘보 성능에 대한 논란이 많았지요. 고속에서의 큐브레이크때 확~ 하고 밀린다는 보고가 있었고 저도 그걸 몇번 느꼈었는데요.. 제 느낌은, 반 정도 마모된채 인수했던 첫번째 느낌과, 패드와 로터를 동시 교환했던 두번째 AS 교환 후 느낌.. 지금 패드만 교환한 세번째 느낌까지의 변화입니다.
요즘 운전하면서 여러번 그런 상황에 놓여졌을때 필링을 보면, 밀림 현상이 현저히 줄어든걸 느낍니다.
제 생각엔, 브렘보 패드의 성능에 변경이 있는거 같습니다. 어쩜..그런 경험 때문에 고속 브레이킹때 미리 준비를 해서 그렇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왠지.. 패드 성능이 개선되었다고 믿고 싶네요. ^^ 요즘은, 달리는 중.. 젠쿱 브렘보의 성능을 99% 믿고 달리게 되어 늘 뿌듯합니다.
사실 하고 싶은 말씀은 젠쿱 브렘보의 성능 보다는..
겨울철 브레이킹의 테크닉(마인드)에 관해서입니다.
레이스를 접하며 가장 처음 종용받았던(선배나 스승으로 부터) 내용은 모든 조작의 부드러움 입니다.
일반이 레이스 장면을 밖에서 볼땐 매우 거친 조작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그들이 운전하는 차를 타보면 매순간 매우 부드럽게 조작하는걸 보고 느낄 수 있습니다. 저 스스로도 그런 얘길 들었지만.. 우승권에 있는 다른 친구들의 차를 타보면, "평소에도 이렇게 운전해?" 하고 절로 질문할 정도로 매우 부드럽게 운전합니다.
워낙 빠르게 달리기때문에 밖에서 보면 모션이 거칠게 보이지만, 안에서는 매순간.. 각 관절에 고무패킹이 장착된것처럼 부드럽게 운전합니다. 스티어링 한 칸, 한 클릭 움직일때 일반운전자가 1만큼 디지털 모션을 취한다면, 숙련된 드라이버는 1.1 이나 1.2 만큼 정성스런 움직임을 보입니다. 그러나 이런 움직임이 알고 보지 않으면 별 차이 없게 느껴지는 것이죠.
액셀링을 할때나 브레이킹을 할때도, 한가지 모션을 위해 조작하는 움직임은 딱 10%~20% 만큼 정성을 들입니다.
이러한 부드러운 모션은 가감없이 진행되어, 행동에서 느낄 수 있는 부분은 아닙니다.
예전에 빨간앙마(클릭R) 로 강변북로를 달리는 동안 빨간 티뷰론에 탄 외국인과 배틀한적이 있습니다.
매너좋은 이 외국인은, 날 추월해 앞으로 들어갈때 매우 부드러운 차선변경으로 자신이 앞으로 들어가고자 함을 알리며 움직였는데, 이러한 모션은 배틀 하는동안 상대를 미워할 수 없게 만듭니다. "네 앞으로 들어갈께.." 라는 의지를 차선 변경 직전 잠시 멈짓함으로써 양보를 받아내는 형식인거죠. 이러한 움직임을 보이면, " 그래 일단 먼저 들어가 다음은 내차례지?" 하는 마음을 갖게 됩니다.
이러한 모습은 '행동양식으로 볼 수 있는 부드러움의 예' 이지만, 운전중 핸들과 액셀류를 이런식으로 조절한다면, 어떤 도로 상황에서도 한결 안전하게 달릴 수 있을거 같습니다. 액셀링때도 급작하게 밟는것 보다는 마음보다 10% 씩 늦춰 가속하고, 감속때도 10% 만 먼저 준비하고 쓰다듬듯 밟는다면, 치명적인 문제로 부터 자유로울 수 있어 보입니다. 물론 자신만의 이벤트드라이빙을 위해 널럴한 곳에서 거친 조작을 하는 것은 제외한 상황에서의 얘기지요.
요즘 같이 미끄러운 도로를 달릴땐 이러한 운전자의 마인드가 큰 역량을 발휘하는거 같습니다.
매순간 출발과 감속.. 코너링을 하면서, 차체의 움직임을 스무스하고 점진적으로 조절할때의 느낌은 마치..오케스트라를 지휘하는 듯한 나만의 착각속에 전율을 느끼게도 됩니다. 인(人) . 마(馬) . 로(路) 일체의 뿌듯함은 어떤 터프함보다 짜릿한 만족감을 주는것 같습니다..
테드 여러분..저를 포함해 안전한 겨울나기 운전을.. ㅋ
깜장독수리..

부드러운 조작.. 예전에도 언급하신적이 있어 지금껏 따라하려고 노력 중입니다..^^ 그리고 분명 차이도 느끼구 있구요..
요즘차들 너무 빨라져서 뒤따라가다보면 너무 무서워요.. (경험이 부족한 고출력AT차들..)

빨라질수록 부드러워야 하는건 매우 중요하죠. 진리라고 생각합니다.
프로드라이버인 친구도 프로레벨에서 상위레벨로 갈수록 더욱 중요하게 생각 하는 부분이라고 말하는데 공감합니다.
제가 (눈길 등의)겨울의 미끄러운 길에서 (속도만 낼 수 있다면) 재미있게 미끄러뜨리면서 탈 수 있는 비결이라면 비결이겠죠.
단,사이드브레크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입니다.

저도 얼마전 김범X 레이서에게 드라이빙 강습 받은 적이 있는데,
똑같은 말을 언급하더군요. 출력이 높아질수록, 속도가 높아질수록
조작은 반대로 부드럽게 해야한다고요.
한두 모션이 아니라 열모션 앞을 내다보는 '감각'과 정확한 '동체신경'에서 오는
여유와 경험에서 만들어지는 자세일듯 합니다.
ps:
"각 관절에 고무패킹이 장착된것처럼 부드럽게 운전합니다"
->손목, 발목에 보호대라도 차고 하면 나아지려나요.ㅋㅋ

부드러워야 빠르다는걸 깨닫게 되었던 경험이 있습니다..
예전에 문막 발보린 모터파크가 있었던 시절...
동호회 형님의 베르나 스포티수동을 동승했던적이 있었는데 너무나도 부드럽고 힘들지 않게 운전을 하셨는데
상대적으로 더 빨리 달릴수 있는 성능을 가지고 있었던 제차보다 훨씬 빠르더군요..
그리고..
황진우 선수께서 직접 SLK350을 운전해서 달리는걸 보여주신적이 있는데..
정말 여유롭게 달리시더군요..
근데 밖에서 볼땐 무지막지하게 빠른 차의 움직임이..ㄷㄷㄷ
핸들을 잡고 있는 황진우 선수는 여유만만의 모습으로...
부드러워야 빠르다는 말씀에 백배 공감하고 갑니다~^^
부드러운 운전- 예전부터 '진짜 고수는 '너무' 부드럽게 운전을 해서, 동승했을 때 운전을 잘 한다는 느낌을 받기가 매우 힘들다'고 들었는데 요즘 차를 몇 번 만져보면서 정말 그게 너무나도 힘들다는 걸 직접 몸으로 느꼈습니다.
외가에 4일정도 있으면서 외할아버지의 포터로 운전연습을 잠시 했는데, 워낙 페달 유격이 커서 클러치도 세게 밟고 스티어링 유격도 커서 핸들도 대충 돌리면서 '아 진짜 이래서 포터가 운전하기 쉽다는 거구나- 다른 차도 좀만 연습하면 되겠는데?' 하면서 연습했습니다. 이틀째 되는 날에는 4단 60km/h까지 울렁거리지 않고 변속할 수 있는 정도까지 되더군요..
그래서 나름대로 자신감을 갖고 지난주 금요일에 기능시험을 보러 갔는데, 포터2로 시험을 보는데 차가 많이 승용차다워지면서 모든 페달의 유격이 줄어들고 시야도 좁아져서 운전하기 힘들더군요;; 시험보는 동안 시동을 세 번이나 꺼먹었는데 '부드러운 운전이라는 게 정말 쉽지 않은 거구나'라는 걸 느꼈습니다.
운전면허를 따면 아버지 차로 차 별로 없는 도로라도 가서 더 부드럽게 운전하는 걸 연습해야겠어요-^^
저만 느끼는게 아니였군요..
저도 작년 늦가을에 디스크와 패드를 신품으로 교체 받았는데요
내페이드성이 달라짐을 느낄수 있었습니다.. 교체전엔 전속력으로 고속주행시 페이드가 두려울정도로 빨리 왔었는데
교체후 그런 증상이 현저히 줄어들었습니다. 사제 패드로 교체 하려 했었는데 돈 굳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