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티뷰론 LPG차량을 몰고 있습니다.
덕분에 트렁크안엔 커다란 탱크와 쿠페형이라 그 탱크를 밀폐하는
철제 케이스가 들어 있습니다.
일반적인 차량에 비해 트렁크에 성인 2분을 항상 모시고 다닙니다. ^^;
그동안은 특성 파악을 하느라 H모사의 코일오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감쇄력을 젤 낮게 하고 사용하고 있었죠.
주행 특성은 약언더 성향이 가까운 상태로 다녔습니다.
그동안 태백이고 안산이고 다니면서 그 특징에 맞는 주행을 했던거죠.
그러다 우연한 기회에 FF차량의 서킷을 위한 셋팅-특히나 용인 셋팅이겠네요-을
정보를 알게 되었습니다.
쇽과 관계된 기본적인 특징은 전륜은 낮은 키로수의 스프링,
후륜은 앞에 비해 강한 스프링을 채용하여 코너전 하중이 쉽게
앞으로 넘어가게 하고 뒤는 미끄러트리게 해야 한다는 것이였습니다.
사실 지난주에 참가했던 짐카나에서도 360도 턴에서
이 언더성향의 차량을 콘트롤하는데 여간 곤란한게 아니더라구요
그러던 차에 6월 2일 트랙데이가 있어서 재우님께 연락드렸더니
주행이 가능하게 해주셨습니다.
주행을 위해 서킷으로 출발전 마모가 어느정도 진행된 앞타이어를 뒤쪽과 교체하고
공기압을 지난번과 동일한 앞 35, 뒤 45로 맞췄습니다.
그동안 젤 낮은 단계의 감쇄력을 사용하던 뒷쪽 쇽의 감쇄력을 최대치로 끌어 올렸습니다.
효과는 정말 좋았습니다.
그동안 아무리 코너에서 노력을 해도 안나던 오버가 나더라구요.
하지만 너무나 예민하게 움직이는 겁니다.
위에서 얘기햇지만 무거운 트렁크과 높은 공기압, 쇽의 반응들..
덕분에 너무 빠른 반응으로 인해 스핀, 그동안 못써봤던 카운터...
마지막엔 실수를 하고 맙니다 ^^;;;
나 자신에 대한 실험은 느낌 파악만 하고 말았죠 ㅎㅎ
새로운 셋팅을 너무나 쉽게 본 것과 자만을 한방에 겸손해지라고 알려주더라구요.
그러면서 시합참가하는 동생과 지인들과 참 많은 얘길 나눴습니다.
일단 그런 느낌은 더 격어서 그 순간순간의 반응을 인지하고 움직여야 한다는 것과
새로운 셋팅의 실험의 실수와 핸들링량..
대부분의 대화는 티뷰론의 심장을 이식했던 곳에서 이루어졌고
이런 저런 반성의 시간이 보냈습니다. ㅠ.ㅠ
그런후 집으로 복귀하려고 안산에 갈때 그 셋팅인 공기압을 앞뒤다 35로
맞추기 위해 새로이 맞췄습니다.
헉 그런데 새로운 사실이 있었습니다.
그곳에는 공기압 수치를 맞춰놓고 호수를 꽂으면 맞춰주는 기계가 있습니다.
이번 이전의 안산 주행때는 제가 사는 곳 집 주변에 있는 LPG충전소에도
동일한 기계가 있어서 맞추고 갔었죠.
어째거나 어이없는 결과가 나왔던 겁니다.
뒤에 공기가 많아서 뺀다지만 앞에서 조차 상당량이 빠지더라는거죠.
그후 테스트를 위해 마성톨로 업힐을 해보니 너무나 잘 따라오는 뒤와
일관된 패턴을 보이더라는 거죠 ㅠ.ㅠ
새로운 셋팅도 문제였지만 타이어에 많은 스트레스를 주는 주행을 앞둔 상황에서
많은 공기압은 독이였던 겁니다.
이번에 느끼게 된 거지만 정말 카센타의 특정 공기압으로 셋팅은 의미가 없다는 걸요.
기본 장비인 공기압 게이지 하나 준비 못한 제가 참 한심하다는 생각과
새로운 반응을 보이는 애마를 얼렁 복원해서 다시 한번 달려보려 합니다 ^^
덕분에 트렁크안엔 커다란 탱크와 쿠페형이라 그 탱크를 밀폐하는
철제 케이스가 들어 있습니다.
일반적인 차량에 비해 트렁크에 성인 2분을 항상 모시고 다닙니다. ^^;
그동안은 특성 파악을 하느라 H모사의 코일오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감쇄력을 젤 낮게 하고 사용하고 있었죠.
주행 특성은 약언더 성향이 가까운 상태로 다녔습니다.
그동안 태백이고 안산이고 다니면서 그 특징에 맞는 주행을 했던거죠.
그러다 우연한 기회에 FF차량의 서킷을 위한 셋팅-특히나 용인 셋팅이겠네요-을
정보를 알게 되었습니다.
쇽과 관계된 기본적인 특징은 전륜은 낮은 키로수의 스프링,
후륜은 앞에 비해 강한 스프링을 채용하여 코너전 하중이 쉽게
앞으로 넘어가게 하고 뒤는 미끄러트리게 해야 한다는 것이였습니다.
사실 지난주에 참가했던 짐카나에서도 360도 턴에서
이 언더성향의 차량을 콘트롤하는데 여간 곤란한게 아니더라구요
그러던 차에 6월 2일 트랙데이가 있어서 재우님께 연락드렸더니
주행이 가능하게 해주셨습니다.
주행을 위해 서킷으로 출발전 마모가 어느정도 진행된 앞타이어를 뒤쪽과 교체하고
공기압을 지난번과 동일한 앞 35, 뒤 45로 맞췄습니다.
그동안 젤 낮은 단계의 감쇄력을 사용하던 뒷쪽 쇽의 감쇄력을 최대치로 끌어 올렸습니다.
효과는 정말 좋았습니다.
그동안 아무리 코너에서 노력을 해도 안나던 오버가 나더라구요.
하지만 너무나 예민하게 움직이는 겁니다.
위에서 얘기햇지만 무거운 트렁크과 높은 공기압, 쇽의 반응들..
덕분에 너무 빠른 반응으로 인해 스핀, 그동안 못써봤던 카운터...
마지막엔 실수를 하고 맙니다 ^^;;;
나 자신에 대한 실험은 느낌 파악만 하고 말았죠 ㅎㅎ
새로운 셋팅을 너무나 쉽게 본 것과 자만을 한방에 겸손해지라고 알려주더라구요.
그러면서 시합참가하는 동생과 지인들과 참 많은 얘길 나눴습니다.
일단 그런 느낌은 더 격어서 그 순간순간의 반응을 인지하고 움직여야 한다는 것과
새로운 셋팅의 실험의 실수와 핸들링량..
대부분의 대화는 티뷰론의 심장을 이식했던 곳에서 이루어졌고
이런 저런 반성의 시간이 보냈습니다. ㅠ.ㅠ
그런후 집으로 복귀하려고 안산에 갈때 그 셋팅인 공기압을 앞뒤다 35로
맞추기 위해 새로이 맞췄습니다.
헉 그런데 새로운 사실이 있었습니다.
그곳에는 공기압 수치를 맞춰놓고 호수를 꽂으면 맞춰주는 기계가 있습니다.
이번 이전의 안산 주행때는 제가 사는 곳 집 주변에 있는 LPG충전소에도
동일한 기계가 있어서 맞추고 갔었죠.
어째거나 어이없는 결과가 나왔던 겁니다.
뒤에 공기가 많아서 뺀다지만 앞에서 조차 상당량이 빠지더라는거죠.
그후 테스트를 위해 마성톨로 업힐을 해보니 너무나 잘 따라오는 뒤와
일관된 패턴을 보이더라는 거죠 ㅠ.ㅠ
새로운 셋팅도 문제였지만 타이어에 많은 스트레스를 주는 주행을 앞둔 상황에서
많은 공기압은 독이였던 겁니다.
이번에 느끼게 된 거지만 정말 카센타의 특정 공기압으로 셋팅은 의미가 없다는 걸요.
기본 장비인 공기압 게이지 하나 준비 못한 제가 참 한심하다는 생각과
새로운 반응을 보이는 애마를 얼렁 복원해서 다시 한번 달려보려 합니다 ^^
2007.06.05 18:24:02 (*.229.169.253)

많은 분들이 공기압을 너무 높게 맞추시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쓰시는 타이어가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보통 스포츠드라이빙용으로 쓰는 래디얼타이어는 열간시(주행타임을 마치고 피트인 즉시 측정) 앞 뒤 공히 2.3~2.5바 정도가 적당하다고 합니다.
국산 래디얼타이어들은 사이드 강성이 약해 사이드월이 누워 버리는 성향 때문에 트랙션 확보를 위해 공기압을 더 높게 맞추기도 합니다만...
국산 래디얼타이어들은 사이드 강성이 약해 사이드월이 누워 버리는 성향 때문에 트랙션 확보를 위해 공기압을 더 높게 맞추기도 합니다만...
2007.06.05 23:24:31 (*.236.129.174)

제차 같은 경우 뒤가 너무 무거워서 일부러 뒷 공기압을 더 넣은 편입니다.
그렇지만 그래도 뒤가 안돌더군요;;
성환군 담엔 나도 그렇게 해봐야 겠어 ^^
그렇지만 그래도 뒤가 안돌더군요;;
성환군 담엔 나도 그렇게 해봐야 겠어 ^^
2007.06.06 00:00:47 (*.229.109.2)

안산트랙은 연석을 안타기땜에 사이드월 부담이 적은 편일 듯 합니다.
동문님 주행중 사고가 있었나보군요. 애마가 마이 안다쳤길 바래요.
아울러.. 자신감이 붙고, 주변에서 칭찬 마이들 해주는 시점에 주의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당시 드라이빙 스킬 수준에서 피치점에 이르러있을때, 한계를 넘어가기 쉽거든요.
동문님 주행중 사고가 있었나보군요. 애마가 마이 안다쳤길 바래요.
아울러.. 자신감이 붙고, 주변에서 칭찬 마이들 해주는 시점에 주의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당시 드라이빙 스킬 수준에서 피치점에 이르러있을때, 한계를 넘어가기 쉽거든요.
2007.06.06 01:32:34 (*.251.1.117)

동문님 화이팅입니다! 항상 열정적인 모습 너무 보기 좋으세요. ^^
얼른 애마 치유해주시길.. 더 멋진 달리기 기대하겠습니다. ^^
얼른 애마 치유해주시길.. 더 멋진 달리기 기대하겠습니다. ^^
2007.06.06 07:34:00 (*.206.244.9)

동문님 안녕하세요?
고군분투 하시네요 ^^;; 쎄팅이란게 참 오묘합니다.
동일서킷에서 동일서스펜션으로도 많은 변수가 있지요
솔직히 말해서 엔진보다 더 오묘하고 어려운 부분이라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헌데 공기압으로도 그러한 변화가 있는것은 맞구요
하체의 여러부품들중 특히나 서스펜션 계통의 변화도 무시못하죠
쉬운 예로 슬릭을 끼고 시합하는 경주차들의 경우는 차고조절 한바퀴
정도로도 랩이 바뀌는 현상들이 나옵니다. 그래봐야 차고변화가
얼마나 있겠습니까만..., 실상 한계까지 주행하는데 있어서는 그러한
미세한 변화만으로도 많은 차이가 나는게 쎄팅값이므로 실상 그 쎄팅을
찾는다는게 굉장히 어렵습니다. 또한 얼라이먼트 수치도 아주 중요해서
모든것들이 조화된 상태에서 베스트랩이 나오지요
용인처럼 테크니컬 코스에서는 가장 민감한 그리고 랩을 당기기 좋은
부분이 서스펜션이라도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에 반해서 엔진출력 부분은 적어도 용인에서는 크게 부각되는 부분은
아닙니다. 안산의 경우는 출력도 많은 부분을 차지하지만요...,
랩을 당기기 더 좋은건 사실 기어비입니다. 가장 적은 노력으로
가장 많은 랩단축은 머니머니해도 기어비가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
고군분투 하시네요 ^^;; 쎄팅이란게 참 오묘합니다.
동일서킷에서 동일서스펜션으로도 많은 변수가 있지요
솔직히 말해서 엔진보다 더 오묘하고 어려운 부분이라고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헌데 공기압으로도 그러한 변화가 있는것은 맞구요
하체의 여러부품들중 특히나 서스펜션 계통의 변화도 무시못하죠
쉬운 예로 슬릭을 끼고 시합하는 경주차들의 경우는 차고조절 한바퀴
정도로도 랩이 바뀌는 현상들이 나옵니다. 그래봐야 차고변화가
얼마나 있겠습니까만..., 실상 한계까지 주행하는데 있어서는 그러한
미세한 변화만으로도 많은 차이가 나는게 쎄팅값이므로 실상 그 쎄팅을
찾는다는게 굉장히 어렵습니다. 또한 얼라이먼트 수치도 아주 중요해서
모든것들이 조화된 상태에서 베스트랩이 나오지요
용인처럼 테크니컬 코스에서는 가장 민감한 그리고 랩을 당기기 좋은
부분이 서스펜션이라도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에 반해서 엔진출력 부분은 적어도 용인에서는 크게 부각되는 부분은
아닙니다. 안산의 경우는 출력도 많은 부분을 차지하지만요...,
랩을 당기기 더 좋은건 사실 기어비입니다. 가장 적은 노력으로
가장 많은 랩단축은 머니머니해도 기어비가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
2007.06.06 09:15:56 (*.236.129.174)

GT카 타는 동생에게 얘길하니 첫마디 '언더가 쉽죠'하는게 부정하기 힘들더라구요 ^^
새로운 환경을 공도에서 충분히 느끼고 필요하면 짐카나 코스를 몇번 돌아보면 좋은 공부가 될텐데 공간확보가 문제겠어요
새로운 환경을 공도에서 충분히 느끼고 필요하면 짐카나 코스를 몇번 돌아보면 좋은 공부가 될텐데 공간확보가 문제겠어요
2007.06.06 14:16:20 (*.245.132.22)

운전중에 실수의 마지막은 보통은 핸들의 조작은 잠시 잊고 브레이킹입니다.... 본인이 가장 익숙한 라인에서 알수없는 힘(?)으로 벗어나거나 더 꺽인다는건 충격이지요.... 그것도 타이어랑 써스페션 셋팅으로 초반에는 예상에로 맘에 들다가 어느시점이 흐르면 등에서식은땀을 흐릅니다.... 하지만 계속 부정을 하지요..... 오버스티어에 익숙한 후륜구동타입 차량을 운전하다가 전륜구동인데 오버스티어 셋팅된 차량을 운전해보니.... 따로 노는 느낌이 강해서.... 평지에서는 괜찮은것 같은데.... 다운힐에서는 감잡기가 힘들더군요.... 감속이나 턴인시 제동시 후륜의 반응을 따로 신경써야하는 점은 의외로 다른 느낌입니다... 일반적인 차량의 핸들링 특성은 언더스티어가 라인잡기가 수월한게 초보 드라이버나 중수이상인 드라이버에게도 여유가 있는 코너링이 있지만 오버스티어링은 익숙해 지기전 까지는 보다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것 같습니다.... 암튼 동문님 좋은경험으로 생각하시고 힘내시고.... 좋은 정보에 감사!!!
애마 상처 잘 치료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