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ad Impression
재규어 XFR은 재규어가 스페셜카의 영역에서 아우디, BMW, 벤츠의 최상위 엔지니어링을 갖춘 모델들과 비교해 손색이 없음을 증명하는 차이다.
2003년부터 사용하던 4.2리터 수퍼차져 엔진을 버리고 2010년부터 5리터 수퍼차져로 변신하며 510마력을 발휘하는 수치를 확보하는 것은 요즘 엔진만들기의 추세에 그리 대단한 것이 아닐 수도 있지만 파워트레인과 전체적인 밸런스와 완성도를 확보하고 누가 몰아도 안전한 수퍼세단을 만드는 과제는 단순히 힘이 강한 엔진을 가진차와는 차원이 다르다.
재규어가 포드산하에 있던 불과 수년전까지 겪었던 고충으로 재규어는 예전의 명성을 보존하는 것에 철저히 실패했고, 브랜드의 가치는 바닥으로 치닫고 있었던 시대에 재규어 본연의 스포츠성을 제대로 표현할 방법이 없었다.
기계는 투자한만큼 좋은 물건이 나오기 마련이고, 따라서 아무리 좋은 기획을 해도 파이넨스가 받쳐주지 않으면 현실이 될 수 없었던 포드시절을 고려했을 때 재규어 브랜드의 입장에서 포드산하였던 시절은 그야말로 잃어버린 치욕의 순간이었을 것이다.
XFR은 등장부터 M5나 E63 AMG와 상대했어야하기 때문에 그 경쟁과 싸움이 장난이 아닌 냉혹한 시장이었기 때문에 더욱 더 철저한 준비가 있어야한다는 공감이 재규어 내부에 있었을 것이다.
500마력이 넘는 엔진을 탑재한다는 것이 컨트롤이 제대로 안될 경우 그야말로 살인무기이자 과부제조기로 전락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 M5와 실전에서 경쟁할 수 있는 차를 만드는 것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까다롭고 어려운 과제였을 것이다.
XFR은 국내에서는 페라리를 시승하는 것보다 어려울만큼 귀한차이기 때문에 XFR의 시승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만사를 제쳐두고 달려갔을 때 나의 심장은 확실히 빨리 뛰고 있었다.
XF 3.0D 240마력과 275마력 사양을 타면서 느꼈던 XF의 샤시세팅도 내 취향과 잘 맞았고, 최고의 변속기로 말해도 아무런 무리가 없는 ZF 토크컨버터 베이스의 자동변속기의 빠른 다운시프트와 정확한 Rev. matching은 스포츠성에서 M5에 전혀 손색이 없었다. 신형 E63 AMG를 제외한 다른 AMG 모델들보다는 훨씬 빠르고 정확한데다가 변속의 재미가 높다는 점은 XF를 이미 어느수준 이상의 위치로 끌어올리기에 충분한 요소들이다.
63.8kgm의 최대토크가 2500~5500rpm까지의 엄청나게 넓은 영역에서 플랫으로 나오고 최고출력 510마력도 6000~6500rpm까지 플랫으로 발휘된다.
0->100km/h는
1단과 2단 풀가속때 뒷좌석에서 몸을 일으키는 것 자체가 거의 무리일만큼 강력한 토크로 시종일관 밀어붙이고 리미터가 작동하는 계기속 260km/h까지 그냥 허무하게 빨리 올라가 버리고 이때의 회전수가 불과 4500rpm이다.
리미터를 자극하지 않고 250km/h로 항속할 때의 상황에서도 가속패달을 1/4정도만 밟아도 충분할 정도로 이 속도로 만나는 오르막이나 평지의 차이를 느끼지 못할 정도로 힘이 넘친다.
액티브 댐핑은 철저히 차가 알아서하는 몫이고 실내에 따로 스위치나 제어를 위한 도구가 없다.
5.0수퍼차져가 나오기 이전 XKR의 경우 소프트와 하드사이를 좌측 두개의 댐퍼, 우측 두개의 댐퍼 혹은 앞뒤 두개의 댐퍼가 함께 쌍으로 동작을 변환하던 것에서 XFR과 XKR 5.0수퍼차져부터는 모든 댐퍼가 독립적으로 무단으로 감쇄력을 변환하고 완전 독립적인 댐퍼압으로 최적의 값을 찾아나가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기본적으로 가스댐퍼를 베이스로 하기 때문에 에어서스펜션을 가진차들과 비교하면 확실히 기계적인 친근함이 강하다.
XFR에는 Active Differential Control이라는 액티브 LSD가 장착되어 있는데, 회전차가 발생할 때 내부의 엑튜에이터가 다판클러치를 단속해 다이나믹한 locking ratio를 발휘하도록 되어 있다.
이 E-LSD가 주는 효과는 특히 고속코너에서 발군의 능력을 발휘했다. 고속코너에서 가속패달을 지긋이 밟으면 머리가 안쪽으로 점진적으로 파고드는 느낌이 확실히 다가오기 때문에 스티어링휠을 박자를 맞춰 조심스럽게 풀어주는 컨트롤의 묘가 일품이었다.
LSD에 힘입어 스탠딩 스타트시에 풀액셀을 해도 휠스핀의 양이 적고 DSC가 켜져있는 상황에서 가속을 해도 제어에 의한 답답함 즉 LSD가 없는 차들이 한쪽바퀴가 순식간에 심하게 헛돌게 되면 헛도는 바퀴에 독립제동을 걸어 LSD의 기능을 흉내내는 방식과 비교해 훨씬 기계식에 가까운 느낌을 연출하기 때문에 급가속시 독립제동에 의한 제어로 차가 순간적으로 답답해지는 상황이 일어나지 않았다.
여기에 Anti hopping기능을 수행하는 후륜 댐퍼는 후륜이 헛돌 때 차가 탕탕튀는 상황에 대비해 급출발이나 급가속시 후륜의 댐퍼를 최대로 단단한 영역으로 순식간에 고정시키는 기능이 추가되어 있다.
초고속상황에서의 댐퍼는 확실히 180km/h대의 영역에 비해 리바운스가 빨라지고 댐핑스피드에 대응하는 능력이 나아지는 느낌이 들었다.
고속코너를 대응하는 능력도 훌륭한 편에 속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E60 M5와 비교하면 고속에서 바운스를 지날 때 순간적으로 차가 너무 가벼워지는 느낌이 조금 더 심했다.
E60 M5와 AMG, 혹은 RS모델들이 고속에서 극강의 안정성을 확보한 것과 비교하면 2%정도 부족한 초고속 로드홀딩을 보여주긴 했지만 전체적인 밸런스와 제동밸런스 그리고 고속코너에서의 안정성 모두의 영역에서 평균이상의 능력을 발휘했고, 다운시프트 때마다 머플러를 때리며 버버벅 거리는 효과음은 AMG나 RS모델들과 비교해 훨씬 다이나믹 했다.
E60 M5가 시가지 연비 3km대 혹은 그 이하, 고속에서도 5km를 찍기 어려운 것과 비교하면 XFR은 실컷 달리고 주유를 통해서 확인한 연비가 6.4km였기 때문에 고속주행위주로 리미터까지 자주 밀어붙이고 제법 거칠게 몰아도 6km대의 연비는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것 같다.
희소성이나 XF라는 새로운 모델에 대한 인지도가 한국에서 워낙 낮기 때문에 여기에 R버전이 있다는 것이 별로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XFR은 그 실력과 존재감을 고려했을 때 여전히 Unknown이라는 점이 단점이자 어쩌면 장점이다.
눈에 띄기 싫어하고 남들의 시선에 게의치 않는 취향이라면 XFR이 제격이겠고, 반대로 차에 붙은 뱃지를 보고 알아서 기어주었으면 하는 바램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XFR은 어쩌면 좀 유령 같은 차일 수도 있다.
XFR은 결론적으로 독일 머신급 수퍼세단들과 견주어 손색이 없는 실력을 갖추었고, 독일차가 아니라는 점을 오히려 장점으로 살릴 수 있을만큼 과거의 영국차의 영광을 재현하는 모델이다.
그리고 너무나 운전이 편해서 차에 무지하신 나이드신 어머니께 권해드려도 크게 욕먹지 않을 만큼 스타일이 멋지다.
XFR은 재규어보다 훨씬 더 규모가 큰 일본차 브랜드들도 만들지 않았던 특수영역의 차를 만들고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모델이다.
-testkwon-

- IMG_9889.jpg (97.5KB)(3)
- IMG_9831.jpg (105.9KB)(2)
- IMG_9834.jpg (92.1KB)(3)
- IMG_9836.jpg (108.1KB)(2)
- IMG_9839.jpg (100.5KB)(2)
- IMG_9840.jpg (107.2KB)(3)
- IMG_9842.jpg (112.5KB)(2)
- IMG_9848.jpg (92.1KB)(2)
- IMG_9849.jpg (108.0KB)(2)
- IMG_9855.jpg (121.5KB)(2)
- IMG_9860.jpg (86.5KB)(2)
- IMG_9861.jpg (113.8KB)(2)
- IMG_9865.jpg (122.6KB)(2)
- IMG_9868.jpg (96.0KB)(2)
- IMG_9871.jpg (110.4KB)(2)
- IMG_9872.jpg (136.2KB)(2)
- IMG_9875.jpg (131.4KB)(2)
- IMG_9876.jpg (126.1KB)(2)
- IMG_9878.jpg (153.3KB)(3)
- IMG_9880.jpg (103.7KB)(2)
- IMG_9885.jpg (141.9KB)(3)
- IMG_9888.jpg (115.6KB)(2)
잘 읽었습니다 :)
예전에 XFR을 시승할 수 있다는 얘기를 듣고,
언제 이런 차를 타보겠냐며 달려가서 시승해본 적이 있네요.
저로서는 500마력 넘는 차를 처음 타본 거라 너무나 가슴이 떨렸답니다.

음.... 제 생각은 독일차에 손색이 없는게 아니라....
거의 모든 부분에서 M5를 능가하는 차였습니다.
물론 저는 40분 밖에 시승을 못해봤었고, 고속 주행도 안해봤지만 그때 느낀점만 말씀드리면......
출력, 연비, 럭셔리함, 편안함, 급가속시 노면을 잡는 능력 등등이 M5보다 좋았으며
안해봐서 고속안정성은 모르겠지고, 핸들링을 포함한 운전감각, 외관 비례정도가 M5가 더 스포티 했습니다.
(XFR은 멋진 내, 외관이긴 하지만... 노즈가 좀 뭔가 어색해 보여서....)
특히나 XFR은... 체커 버튼을 눌렀을때의 변화가 정말 극적이었던 기억이 나네요.
그걸 누르니까 계기판이 시뻘겋게 변하면서 핸들링도 두배는 민첩해지는듯 하고 자동변속기 변속 타이밍도
M5의 변속보다 더 빠르게 느껴 졌습니다. (음...실제는 m5가 더 빠르겠지요)
실제 도로에서의 변속능력은 재규어의 zf미션(이라고 들었음)이 훨씬 '실용적으로' 빠르게 느껴졌습니다.
정말 아름답고 무시무시한 걸물이었다는...... 시승해보고 한 일주일 어떻게 살 수 있을지 되도 않을 궁리를 한참 했었던 기억이 나네요.
저는 재작년 가을에 론칭한 직후에 시승했었는데... 정말 엄청나게 많이 팔릴줄 알았습니다... ^^; 근데 별로 안팔리는 모양이더군요.
저라면 63같은거 살바에는 XFR로......

요즘 재규어는 예전의 클래식한 멋은 없어지는것 같아 아쉬운 부분도 있지만
그와중에도 자신만의 아이덴티티를 만들어 가고 있는거 같아 괜시리 호감이 가네요~~ ^^

이리도 귀한 차를 양재동 SAG에서만 두대를 봤네요... 근데 일반 공도에 돌아다니는 기존 XF모델들과는 달리 정말 포스가 넘치고 멋지던데~
시승기 잘 읽었습니다. 정말 멋진 차네요..
한가지 궁금한점이 있는데 뒷바퀴에 장착되어 있는 동그란 검은 원의 정체는 뭔가요? 한국 갔을때 종종 봤는데.. 무슨 용도인지도
모르겠고 이름도 모르겠고.. 무슨 물건인지 모르니 아에 검색하기조차 힘들더군요.. ^^;
재규어에 관심 많은 사람으로서 이번 시승기 잘 읽었습니다. 마스터님이 전에 시승하셨던 xkr4.2와 xfr 5.0의 주행성능 차이가 궁금합니다.차종은 다르지만, xj5.0 자연흡기보다는 저의 xkr4.2 수퍼차저의 가속감이 훨씬 좋았는데, 5.0수퍼차저는 어떤지요. xkr4.2도 계기판 끝까지 쉽게 속도계가 올라가버리는데, 최고속을 더 올려잡아도 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다만 독일차에 비해 핸들링이 좀 가벼운 감은 있네요.

4.2수퍼차져와 5.0수퍼차져는 확실히 차이가 날 정도의 파워차이를 체감할 수 있습니다. 4.2수퍼차져도 출중한 출력이지만 5.0으로 바뀌면서 누가봐도 확실히 업그레이드된 엔진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최고속 250리미트는 이해가 되지만 사실 계기판에 260밖에 안그려넣는 것은 이해가 좀 안됩니다.
다른 모델들은 몰라도 R버젼들은 최소 320km/h스케일의 계기판으로 차별되어야 마땅하며, 사실 매니어들이 차에 매력을 느끼는 포인트가 제각각이더라도 좀 더 디테일에 신경썼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문제는 저 가격에...감가상각,브랜드밸류,AS문제...참 어려운 문제입니다.저도 한때 고려했던 차량이지만 이런저런 생각하면 망설여지는 문제입니다. 누군가 그러더군요.재규어...참 좋아졌고 익스테리어도 좋다....그러나 실제로 주변에 구입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라구요.^^
xfr 과 xkr이 미국에 수입되는 대배기량 8기통 중에 유일하게 gas guzzler tax를 면제 받은 차라고 합니다.
xkr 4.2와 5.0의 연비 차이가 거의 없다는데, 시내에서 6~7km/l 고속도로 주행하면 10km/l이상은 나옵니다.
아무리 고가의 스포츠카라도 주유소를 자주 들락 거리는 건 부담스럽지요.
M5나 E63의 시내주행 연비가 3km 이하라는 말에 구매욕구가 싹 달아났으니까요.
백정민 님께서 지적하신 부분은 같은 급의 M5, E63도 예외가 아닌 듯합니다.
저도 똑같은 얘기를 BMW딜러에게서 들었습니다^^
하지만 대배기량에 8기통 이상 수입차들은 감가상각이나 부품값 부담이 어느 브랜드든지 아주 크지요.
재규어도 xf나 xj3.0 디젤은 신차, 중고차 모두 잘 팔린다고 하니까요.
공도에서 재규어가 눈에 잘 띄지 않는 이유는 현지 생산량이나 수입 물량 자체가 작은 것도 한가지 이유가 아닌가 합니다.
어쨋든 재규어의 브랜드 가치가 아직 독일차에 못미치는 건 맞는 것 같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일전에 폭스바겐 명예회장인가 하는 분의 강연 동영상에서,
"영국 엔지니어의 도움 없이 f1에서 우승하기는 어렵다."라고 하던데,
영국차 회사들이 외국에 모두 팔렸지만, 모터스포츠의 기술과 전통은 무시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저 역시 심각하게 고민했던 차종입니다. 시승을 세번 정도 했고, 지인의 차로 장시간 운전도 해봤습니다. 결국은 다른 차종으로 선회하였습니다. 운영자님께서 잘 설명하셨듯이 앙칼진 미션 반응과, 즉답적인 엔진 반응은 정말 놀라웠습니다. 그러나 500마력을 상회하는 고출력 후륜구동 차량은 운전자로 하여금 심리적 안정감을 주어야 한다는 점을 중요하게 여기는 한 사람으로서, 결국 그 점에서 만족하지 못하여 포기하였습니다. 200km 이하의 속도에서는 날카로운 핸들링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오히려 그 이상의 속도에서는 운전자로 하여금 불안함을 느끼게 하는 독이 되더군요. 굳이 200km를 상회하는 속도가 아니라 하더라도, 저에게는 xfr의 거동 특성이 결코 리니어하지(일관적이지) 못햇습니다. 어느 경우에는 뉴트럴한 반응을 보여주다가, 갑자기 의도한 것 이상의 조향을 보여주는 장면에서 자주 당황하였습니다. 비교적 안전이 보장되어 있는 서킷에서라면 마음놓고 조작할 수 있겠지만 일반 공로에서는 여전히 신뢰를 주지 못한다고 느껴졌습니다. 독일산 고출력 세단들을 몰던 오너라면 아마도 고속 영역에서 "불안함"을 느낄 것이라고 생각되는 차종 입니다. (물론, 그 "불안함" 이라는 것이 객관적이고도 실체적인 불안함이 아니라 그저 "그렇다고 느껴지는 것" 이라 할지라도 이는 오너의 입장에서 굉장히 중요한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마스터님
한가지 궁금한 사항이 생겨 댓글을 남깁니다. 위에 시승기에서 anti-hopping을 위해 순간적으로 댐퍼의 압을 최대로 만든다고 하셨는데, 댐퍼의 압의 over-damped상황인 상태에서 급가속을 한다면, 접지가 약해져 바퀴가 헛도는 상황이 나오는 것은 아닌지요? 보통 드레그 레이스의 경우 뒤쪽 댐퍼의 압을 낮춰 접지력을 높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 부분에 대한 조금 더 자세한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보통 뒷바퀴가 통통튕길 때는 바퀴가 지면을 누르는 무게와 상관없이 바닥쪽에서 상부쪽으로 발생하는 댐핑압력이 부족해서 즉 바퀴가 아래위로 통통튈 때 그 튀는 상하 움직임을 강하게 잡아주지 못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문에 재규어 XFR의 경우 급가속시 후륜이 눌리는 것도 막고 바퀴가 튀는 것도 줄이는 차원에서 댐퍼압이 순간적으로 높아지는 것이지요.
드래그 머신의 경우 후륜의 댐퍼압을 낮추는 경우는 아마 드래그 전용 슬릭을 사용하는 경우이고 급출발시 후륜이 지나치게 눌려버려 앞이 상대적으로 들리는 상황에 대한 기본적인 대책이 있는 머신들이라 공도용 일반차량과 세팅이 다를 수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잘 봤습니다.^^
디자인, 성능등 멋진차량인건 잘 알지만..
현금을 쥐고 막상 구입에 나서면 선택하기 쉽지 않을듯 합니다.
E63의 가격이 너무 좋게 나왔고, F10 M5도 너무나 기대되기 때문에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