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rburgring의 랩타임이 절대적이라는 비유는 아래 글에도 썼듯이
가장 널리 스포츠카 뿐만이 아닌 상당 부분의 자동차 성능의 잣대(광고효과)로 사용되고
있다는 표현의 하나였습니다.

자동차의 자존심 독일이라는 나라에 일본, 미국차를 끌고 보란듯이 독일(유럽등) 슈퍼카들의
반에 반값도 안되는 자동차로 보란듯이 씹고있죠.
자존심이 상한다고요? 제가 생각하기엔 치욕스럽습니다.

지들이 만든 지들에게 유리한 곳에서 말입니다.
GT-R 이 처음 컨셉단계부터 Porsche Turbo를 벤치마케팅 했죠.
Porsche 를 이기기 위해선 nurburgring laptime 뿐이 없습니다. 보여주기 위함에선 말이죠.
GT-R 에겐 nurburgring 이 절대적으로 넘어야할 산이었습니다.


============================================================================
게다가 20km 거리의 서킷을 서로 다른 드라이버가, 다른 기후조건(습도만 높아져도 몇초는 차이납니다)에서 측정한 것을 빠르기를 따지는'절대적인' 기준처럼 보는 것은 무슨 이유인지 궁금하네요.
============================================================================
글쎄요. 그건 기록을 깨야하는 사람의 문제 아닌가요?
날씨가 나쁘고 습도가 높아서 느린 기록을 냈다는걸.... 날씨와 습도 탓을 하란 말인가요?
저로선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네요.
GT-R 처음 nurburgring 기록과 두번째 기록이 차이가 꽤 많이 나죠? 9초? ..
첫번째 달릴때 노면이 좀 젖었다고 했었습니다.
아쉬우면 좋은 기록 낼때 까지 달리겠죠.

그리고 시계 비유한건 단지,
가격대 성능이 좋다는 이유로 Rolex 와 Seiko 로 비유를 한것입니다.
Seiko는 가격이 싸고 질이 좋다는 표현을 한건데
500만원을 주고 세이코에서 나온 이런 시계를 산다라는 표현은 제글이
전달이 잘 안되었던거 같습니다.

제가 GT-R, ZR-1 을 슈퍼카로 말하고 싶었던건, 히스토리 역사 디자인 다집어치우고,
그냥 눈에 보이는 달리는 속도와 가격만 놓고 말한것입니다.

어자피 빨리 달리기만 목적으로 만드차와 명차를 비교하는것 자체가 신뢰를 범하는
것일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Porsche carrera 살까 GT-R 살까? 이런 고민을 할수 있다는 자체가
소비자의 입장에선 행복이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