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 주도로 KEPCO 컨소시엄에서 진행하는 전기차 쉐어링 (http://www.evshare.co.kr/) 체험단에 선정되어 전기차 쉐어링 서비스를 체험하고 레이 전기차를 시승하였습니다. 레이 전기차의 외관 및 내장, 주행 성능, 경제성, 전기차의 주행 특성 등과 더불어 전기차 쉐어링 서비스를 이용하며 느낀 점을 간략히 소개해 볼까 합니다. 개인 블로그에 먼저 작성했던 글을 옮겨온지라 경어체로 서술하지 못하였으며, 중간 중간 글의 재미를 위해 약간의 오버스러운 말투가 있을 수 있으니 미리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


 

1. 외관


크기변환_20120908_123358.jpg

기존 레이 휘발유 모델에 비하여 레이 전기차의 외관은 큰 변화를 찾아보기 어렵다.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에 부착된 EV 0g 데칼과 흰 색으로 도색 된 휠이 눈으로 확인 가능 한 차별점이다. 스펙 상으로는 실내공간 밑으로 삽입된 배터리 때문에 차고가 10mm가량 높아졌다고 하지만 어지간한 눈썰미로는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다.

 

 

 

크기변환_20120908_123407.jpg

조금 더 자세히 보면 그릴에 장착된 완속 충전용 충전구를 찾을 수 있다. 물론 자세히 봐야만 발견할 수 있다.



크기변환_20120908_123441.jpg

B필라가 생략되어 활짝 열리는 우측면은 레이의 특장점이다. 본인은 레이라는 차종 자체를 처음 접해봤는데, 사진으로만 보다가 실제로 열어보니 과연 압권이다.

 

 

 

크기변환_20120908_123541.jpg

 

엔진룸을 열어보면 이것이 전기차임이 명백해진다. 하지만 구동계를 제외하면 일반 차량과 동일한 부품들도 많이 찾을 수 있다.



 

2. 내장 및 편의사양

 

4500만원에 달하는 가격이 무색하지 않게 다양한 편의장비들이 설치되어 있다.

 

 크기변환_20120908_123338.jpg

실내 전경. 7인치 내비, AUX & USB 입력, 풀오토에어컨, 블랙 & 화이트 내장을 확인할 수 있다. 레이 휘발유 차량으로 이런 실내를 만들기 위해서는 최고급 트림을 선택해야 한다. 사진 품질은 양해해주시길.

 

 

 

크기변환_20120908_122950.jpg

 

그에 더하여 전기차 쉐어링 주관사에서 설치한 모니터에도 내비게이션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서 결국 매립된 내비는 2대가 된다. 

 

그 밖에도 전동식 사이드 미러, 블루투스 핸즈프리, 스티어링 휠 오디오 콘트롤, 운전석/조수석 2단 열선 시트, 오토 헤드라이트 등등 경차로써는 호화스러운 편의장비들이 설치되어 있었다. 참, 이건 경차가 아니라 전기차였지.

 


 

3. 주행 성능 및 특성

우선 레이EV의 구동계 성능부터 확인해보자. 레이에 들어간 모터는 출력 50kw 토크167Nm으로, 보다 익숙한 단위계로 환산하면 출력 68ps, 토크 17.0kgfm이다. 레이 휘발유 차량에 사용된 감마 1.0 엔진이 78ps, 9.8kgfm임을 감안하면 토크는 확연히 앞서지만 출력면에서는 다소 떨어진다. 공차중량은 가솔린 일반 차량의 998kg보다 약 180kg 무거운 1185kg으로, 엔진과 변속기와 납축전지 등을 탈거하고 50kW의 모터와 16.4kWh의 리튬이온 배터리 등을 설치한 결과다. 아니 글쎄 배터리만 약 200kg이라 카더라.

 

레이EV를 시승하며 눈에 띈 점은 내연기관 차량과 전기차의 주행 특성 차이를 좁히고 최대한 기존 내연기관차량의 운전 경험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고심한 흔적이 곳곳에서 보인다는 것이다. 이는 차량 시동 과정에서부터 확인할 수 있다.

 

크기변환_20120908_123246.jpg

 

열쇠로 시동을 걸도록 되어 있는 레이EV는 내연기관차량의 시동장치와 동일하게 LOCK-ACC-ON-START 의 4단계로 구분 된 시동장치를 갖고 있는데, START 위치에서 시동 모터가 돌아가는 내연기관차량과는 달리 레이EV에서는 START 위치에서도 특별한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 다만 계기판상에 녹색으로 START 램프가 켜질 뿐.

 

한편 레이EV에는 변속기가 없으며, 따라서 변속레버 역시 전진-정지-후진 3개의 단계로 구성할수도 있겠지만 기존 차량과 동일한 PRND형의 변속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D 모드에서는 가속페달을 밟지 않아도 차량이 조금씩 앞으로 전진하는 크리핑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인상적인데, 사실 공회전이라는 개념이 없는 전기차에서는 크리핑 역시 없겠으나, 내연기관차량에 익숙한 운전자가 이질감 없이 운전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연출한 것으로 보인다.

 

D 모드의 세부 모드로 E 모드와 B 모드가 있는데, 변속레버를 우측으로 밀고 나서 위 혹은 아래 방향으로 가볍게 밀어줌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E 모드를 선택하면 계기판의 ECO 램프에 불이 들어오면서 가속페달을 밟았을 때의 반응 속도와 반응 강도를 확연히 떨어뜨려준다. 밟아도 안나가고 반응도 굼떠진다는 말이다. 한편 B 모드를 선택하면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었을 때 (마치 수동변속기 차량에서 엔진 브레이크가 걸리듯이) 약간의 브레이킹이 걸리면서 배터리가 재충전된다. 배터리가 부족할 때나 내리막길 등의 주행 조건에서 적극적으로 회생제동을 하기 위한 주행 모드로 보인다. 실제 주행해보니 생각보다 쓰임새가 있는 주행모드였지만 제법 강하게 브레이킹이 걸려 꽤나 차가 울컥거리니 동승자가 있을 때에는 선택이 꺼려질 듯 하다.

 

한편 브레이킹 시에 개입하는 회생제동장치 때문인지 브레이킹의 감각이 직관적이지 않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약 0.5초 뒤에 제동력이 약간 증대되는 듯 한 느낌을 받았다. 이와 같은 제동력의 변화때문에, 2시간 넘게 운전한 뒤에도 원하는 만큼 자연스럽게 브레이킹을 하기 어려웠다.

 

 

이제 실제로 주행에 나서보자. 위 영상은 시동을 걸고 저속으로 주행하는 상황에서 계기판을 촬영한 영상이다. 한 손으로 핸드폰을 들고 보지 않으면서 대충 촬영한지라 좋은 영상은 못된다. 

 

기존 레이에서 타코미터가 있던 자리에 전력소비계가 있는 점이 인상적이다. 가속페달을 밟으면 인디케이터가 위로 올라가면서 노란색, 더욱 밟으면 흰 색으로 변하고, 가속페달을 떼거나 브레이크를 밟으면 인디케이터가 아래로 내려오면서 파란색으로 변한다. 주행 중 가속페달과 브레이크페달 둘 다 밟지 않은 상태에서도 마치 내연기관차량의 엔진브레이크처럼 약하게 감속이 걸리면서 회생제동을 하는데, D 모드에서는 1칸, B 모드에서는 3칸 만큼 충전 방향으로 움직인다. 

 

영상에서 들리는 소음은 거의 에어콘에서 나는 바람소리다. 모터에서는 거의 아무 소리도 나지 않으며, 정지상태에서 살며시 가속페달을 밟으면 마치 엘리베이터가 출발하듯이 차량이 앞으로 발진하게된다. 때문에 20km/h 이하의 저속 주행 시에는 VESS(virtual engine sound system)이 엔진 소리를 재생하여 보행자에게 차가 오고 있음을 알려주게 된다. 하지만 음량이 그리 크지 않은 것인지, VESS를 활성화하여도 차 내에서는 이 소리가 들리지 않았다. 지하주차장에서 창문을 내리고 일부러 들어보려고 해도 들리지 않았다.

 

시내주행 이후에 분당내곡간 고속화도로를 왕복해보았다. 대략 80km/h 이하의 속도 영역대에서는 경차는 물론 일반적인 준중형 혹은 중형차량에 비해 가속력 면에서 전혀 부족함이 없다. 그 이상의 속도에서는 약간 힘이 달리는 듯 한 느낌을 받기도 하였으나 교통량이 꽤 많아서 80km/h 이상으로 속도를 낼 수 없었던지라 아직 뭐라 결론을 내기는 어렵겠다.

 

간단한 주행만 해 보고 코너링을 평가하기는 어렵겠으나 코너링 및 핸들링은 그냥 딱 기대한 수준이다. 차고가 높고 출신성분이 경차이니만큼 애초에 쫀득한 핸들링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확실히 꽤나 롤링이 심하고 때때로 다소 불안한 거동을 보였으며, 다른 현대/기아 MDPS와 마찬가지로 직진 시에 조금씩 좌우로 핸들을 조작할 때 약간의 이질감이 없지는 않지만, 일상 주행에 있어 이런 것들이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으며 본인의 경우에도 어느정도 시간이 흘러 적응이 된 후에는 그다지 불만스럽지 않았다. 서스펜션은 꽤나 단단하고 스트로크도 짧은지라 (나쁜 의미에서) 노면의 느낌을 솔직하게 느낄 수 있다. 하지만 경차 베이스라는 이유 앞에서 이 모든 불만은 눈 녹듯이 사라진다. 경차 치고 이 정도면 기대를 뛰어 넘는 수준이다.

 

주행가능거리가 비교적 짧다는 단점, 그리고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인 주행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전기차이니만큼, 레이EV에는 주행가능거리 및 현재 에너지 이용 상황, 그리고 지금까지의 연비운전 달성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능이 준비되어 있다.

 

크기변환_20120908_151341[(000269)21-48-56].JPG

 

크기변환_20120908_151341[(000156)21-48-06].JPG

 

배터리 정보에서는 구동계, 공조기, 조명 및 편의시설이 사용하고 있는 전력 소비량을 실시간으로 보여준다. 구동계의 전력 소비량 디스플레이는 계기판의 그것과 동일하게 움직인다. 가속페달을 끝까지 밟았을 때 구동계의 전력 소비량은 스펙상 최대 출력인 50kW를 나타내었다.

 

주목할 만한 점은 공조기다. 촬영 시점에서는 에어컨을 오랜 시간 가동하여 실내온도가 안정이 된 후였으며, 실외온 24도 정도의 초가을 날씨에서 실내온도를 20도로 설정하여 자동 냉방 되도록 하였다. 더위를 느끼지 못할 정도로 에어컨을 가동하였음에도 인디케이터의 바늘이 저만큼 밖에 올라가지 않았다는 점은, 에어컨의 전력 소비량보다 겨울철의 히터 가동 시에 전력 소모량이 훨씬 클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크기변환_20120908_123018.jpg

 

경제운전 모드에서는 시각적으로 지금의 주행 패턴을 보여준다. 아마도 노루가 서있는 땅을 넓혀주려면 가속 페달을 사뿐히 밟아야 할 것이다.

 

한편, 레이EV의 스펙 상 최대 주행 거리는 139km나 본인이 완충된 차량을 수령하였을 때 디스플레이에 88km가 표기되었고, 차량을 정차해두고 에어컨을 풀 가동하며 실내 이곳 저곳을 촬영하는 동안 60km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약 40km를 주행한 뒤에도 계기판 상 배터리가 80%정도 남아있던 점을 고려하면, 실제 주행에서는 100km정도는 연속 주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다음 기회에 보다 상세히 확인해 보겠다.


 

4. 전기차의 경제성 및 실용성


전기차 쉐어링의 차량 출납은 무인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반납 시에는 사용자가 반드시 충전기를 꽂아줘야 한다.

 

크기변환_20120908_155230.jpg

 

완속 충전 6시간, 급속 충전 25분의 스펙이 확인되는데, 예를 들어 퇴근 후 심야전기로 충전하는 상황에서는 완속으로, 당장 충전을 하고 다시 나가야 하는 상황에서는 급속으로 충전하도록 두 가지 모드를 같이 준비하였으리라. 이는 급속 충전이 배터리 수명에는 그다지 유리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암시하며, 아울러 25분의 어찌보면 긴 시간마저도 상당한 혁신을 통해 어렵게 도달한 고지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SM3 ZE의 경우에는 기존 주유소와 같은 인프라에서 이미 충전이 된 배터리로 교체할 수 있도록 3분 내에 탈착이 가능한 배터리를 채용하였다.

 

크기변환_20120908_155236.jpg

 

충전을 시작하자 눈에 띄는 부분은 77.9원/kWh의 충전 단가. 숫자를 보면 계산을 하고 싶은 덕후의 본능을 누를 수가 없다.

 

배터리 용량은 16.4kWh이므로 한 번 완충에 소비되는 비용은 1277.56원이고, 이것으로 스펙 상 139km를 주행할 수 있으므로 km 당 주행 비용은 9.2원/km이다.


실주행환경에서는 완충-완방해도 배터리 용량의 90% 이하로만 쓰게될 것이므로 배터리 용량을 15kWh로 보정하고, 실주행거리가 상온에서 125km, 저온에서 69km라는 자료[1] 및 공인연비 산출에 사용되는 신 규정 복합연비 기준으로 91km 주행 가능하다는 자료[2]에 근거하여 내 마음대로 최대 주행 거리를 88km로 추산하면 km 당 주행 비용은 13.3원/km이다.

 

레이 휘발유 차량의 신 규정 복합연비는 13.5km/l이다. 2012년 9월 1주 국내 휘발유 소매가 평균은 리터 당 2025.09원. 따라서 km 당 주행 비용은 150.0원/km이다. 휘발유 세전 가격인 892.84원으로 계산해도 66.1원/km이다.

 

이렇게 얻은 경제성으로도 약 4500만원의 차량 가격을 정당화 할 수는 없다. 하지만 기술적 장벽들이 해소되고, 대량 생산으로 주요 부품 단가가 낮아지고, 또한 충전 인프라가 보급된다면 city commuter의 역할에 가장 걸맞는 교통 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물론 전기차의 미래가 마냥 장미빛인 것만은 아니다. 가장 큰 난관은 역시 배터리 충전 효율. 차량에 운동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을 정도의 리튬 이온 배터리는 무게, 가격만 압도적인 것이 아니라 폐배터리의 회수 및 재생에 사용되는 에너지 역시 막대하다. 또한 우리가 화력 발전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자동차의 배기 파이프에서 배출 되던 CO2, SO2, NOX 등이 여전히 어딘가에 위치한 발전소에서 배출되고 있을 것이며, 차량용 엔진보다는 발전소 터빈이 열효율이 높을테니 비록 오염물 배출 총량은 내연기관차 시대에 비해 줄어들겠지만, 오염물질이 발전소 주변에 집중되기 때문에 해당 지역의 환경 오염은 전기차 도입 이전보다 더욱 심각해질 것이다. 현재의 기술 수준에서는 전기자동차를 생산하여 이용하고 폐차하기까지 전과정에 걸친 환경오염이 내연기관차의 그것과 큰 차이가 없거나 심지어 더 높다는 연구결과가 이어지고 있다. 

 

교통사고 역시 고려해야 할 요소다. 사고를 통해 배터리의 하우징이 손상되어 리튬이 공기 중에 혹은 고열에 노출 될 경우, 혹은 고압전기로 움직이는 차가 물에 빠지거나 하는 경우 기존에 없던 새로운 형태의 재앙을 목도하게 될 수도 있다.


그러하다. 재미로 쓰기 시작한 시승기가 이 지경에 이르렀다. 다시 조금 캐쥬얼하게 가보겠다. 이렇게 많은 불만을 쏟아내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실사용자에게는 더욱 와닿을 장애물이 남아있다. '추위'다. 온도가 떨어지면 리튬 이온 배터리의 효율도 떨어진다. 환경부에서 실시한 시험주행에서 레이EV는 저온 조건에서 69km밖에 주행하지 못하였다.[1] 상온 대비 절반 정도로 효율이 떨어진 것이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엔진에서 나오는 폐열로 원하든 원치않든 난방이 되는 내연기관차량과는 달리 전기차는 실내 온도를 높이려면 일부러 열을 발생시켜야하는데, 이 때 필요한 에너지는 냉방 시에 필요한 에너지보다도 훨씬 많다. 소형 에어컨과 다리미가 소비하는 전력량은 비슷한데, 여름에 에어컨 켜면 방 안이 다 시원해지지만 겨울에 다리미 켠다고 난방이 되지는 않지 않던가. 결국 전기차의 겨울철 주행거리는 평시 대비 절반 혹은 1/3 수준으로 떨어지게 된다.

 


5. 전기차 쉐어링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기차의 가능성은 포기하기에는 아까운 것이며, 전기차 기술의 발전을 독려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꾸준히 하이브리드, 전기차, 수소연료전지차 등의 친환경 차량 개발을 다방면으로 지원하고 있다. 전기차 쉐어링 또한 크게 보면 그와 맥락을 같이 할 것이다. 회원제로 운영되는 단시간 렌트카 서비스의 일종인 카 쉐어링에 전기차를 도입하여 전기차 생산을 촉진하고 마일리지를 쌓으며, 시민들의 자가용 운전 수요를 일부 흡수할 수 있는 좋은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시스템의 구성 및 이용 방법은 전기차 쉐어링 홈페이지(http://www.evshare.co.kr/)에서 더욱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요컨대 1만원의 가입비를 내고 회원가입 한 뒤, 미리 예약 된 시간 동안 시간 당 8천원의 요금을 내고 전기차를 사용하는 것이다. 차량의 열쇠는 차내에 고정되어 있고, 차량 도어의 개폐는 지급된 RFID 회원카드를 차량 전면 유리에 부착된 단말기에 인식시키거나, 또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한다. (아래 사진)

 

크기변환_20120908_143317[(000284)23-59-14].JPG

 

그니까 이렇게 버스카드 찍듯 회원카드를 찍고 도어를 열고 들어가서... (차량의 전면 유리다.)

 

크기변환_20120908_123246.jpg

 

이렇게 시동을 건다는 얘기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칭찬하고 싶다. 특히 스마트폰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것은 사용자의 편의를 많이 고려한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스마트폰으로 개폐를 해보려다가 단말기가 오류를 일으켜 회원카드마저 인식하지 못하면서 차 문 개폐가 되지 않아 상당히 곤란을 겪었다. 이 문제는 정식 서비스 시작 전에 고쳐질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교통 소비자의 입장에서 생각해볼 때 전기차 쉐어링과 경쟁할 교통 수단은 자가용 및 택시가 될 것이다. 이들 수단에 비해 전기차 쉐어링의 장점은 연료비가 안들고, 주차비, 톨게이트비가 적게 든다는 점과 전기차를 체험할 수 있다는 점 등이 있겠으나, 자가용 혹은 택시와 비교할 때 단점 또한 상당히 많다. 출발지점(자택 등)에서 충전스테이션까지, 또한 반납 후 충전스테이션에서 출발지점까지의 이동은 도보나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한다는 점이 가장 큰 불편이며, 특히 택시와 비교하자면 목적지(사무실 등)에 주차하고 있는 동안에도 이용 요금이 부과된다는 점과 기사가 운전을 해주는 것이 아니라 직접 운전을 해야한다는 점 등의 불편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편도 이용, 즉 수령지와 반납지를 다르게 하여 이용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지거나, 또는 (어차피 차량 가격대비 소소한 금액인) 이용요금이 택시나 자가용 이용에 비해 저렴해야 할 것이다.


 

[1] http://www.electimes.com/home/news/main/viewmain.jsp?news_uid=94356

[2] http://blog.seoul.go.kr/2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