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autoblog.com/2011/03/02/iihs-underride-guards-on-semi-trucks-can-fail-even-at-low-speed/


마침 IIHS에서 35마일 (약 55킬로)로 트레일러 뒤를 정면 추돌 하는 실험을 한 결과를 발표 했습니다.


사진에 나온 2대의 차량은 엉뚱하게 보일지도 모르겠지만, 트레일러에 달린 보조대의 장착 여부에 따른 뒷 차량의 피해 정도 차이를 보여 줍니다.


엉뚱한 이야기 같지만, 이 각기 다른 사진들을 보시다가 마지막에 있는 사진을 보시면 승객석이 멀쩡한게 보이실겁니다. 이게 트레일러에 달려 있는 후방추돌시 '높이를 맞춰 줘서 충돌량을 분산함으로서 뒷 추돌 차량을 살려주는 역할을 하는' 보호대가 제대로 달려 있는 트레일러에 후방 추돌 되었을때의 이야기를 하는 겁니다. (아래 순익님도 덧글로 이야기 하셨지만, 우리 '현대 정공'에서 납품한 트레일러도 이 보호대가 가장 허약하게 되어 있어서 현대 트레일러에 차를 박으면 내가 죽을 확률이 가장 높다는 이야기 였습니다. 중간에 이 문단이 날아 갔었네요..)




1:25 경부터 나오는 차량들을 보시면 1은 40마일(64킬로)에서 일반 차량과 충돌한 차량, 두번째 차량은 35마일로 정지된 트레일러중 보호대가 장착되지 않은 트레일러와 충돌한 차량. 그리고 세번째 차량은 보호대가 제대로 장착된 트레일러에 정면 충돌, 그리고 마지막 차량은 차량의 보호대를 옵셋으로 충돌한 차량입니다. 즉, 이러한 '트레일러' 사고에서도 트레일러에 제대로 된 보호대가 장착 되어 있다면 어지간한 차량들은 운전자가 살 수 있다는 거죠. 이걸 이번 '종잇장 차' 사고 사진에서 앞과 뒤를 바꿔서 생각해 보시죠, 그리고 그 사진을 다시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이런것과 같은 취지에서 EU에서는 몇년 전부터 보행자 추돌 안전 규정과 같은 '사회적 책임'에 대한 문제 제기와 준비/대응이 되고 있습니다. 웃긴 이야기지만, 만약 우리나라의 버스와 트럭들이 이러한 충돌 사고시에 충돌 질량(?)을 골고루 분배해줄 제대로 된 범퍼나 다른 보조 장치가 의무화 되어 있다면, '종잇장 차'의 사고는 전혀 다른 결과가 나왔을겁니다.  즉, 자동차 회사가 차를 든든하게 만드네 안만드네 하는 이야기 보다, 이러한 '사회적 책임'에 걸맞는 규제에 대한 변화를 이야기 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사실 아래 공차 중량에 대한 이야기나 다른 이야기가 나올때 나오는 이야기들을 보면서 손가락이 참 간질 거렸습니다.


짧은 시간이지만, 미국 한 보험회사에서 Salvage Rep.을 하면서 사고난 차량들을 수리 할건지, 폐차 할건지, 폐차 처리가 되면 어떻게 처리를 할건지를 결정하는 일을 하면서 많은 사고들을 봤었습니다.


그리고는 지금 하고 있는 일과 관련해서... 차량을 다 분해 해서 억지로 'body-in-white'바디를 만들기도 하고, 그 Body부분에서의 각 용접이나 구조적 형태 관련한 Analyze 한 결과들을 취합하는 일을 하면서 보게 된 것들도 있습니다.


이걸 아무리 짧게 설명 하려 해도.. 참 설명이 쉽지가 않네요. 하지만, 공차 중량에 대한 이야기 보다도, 구조적 자체의 agility 같은 이야기가 더 중요한 부분이 될꺼고, 여기에 대량 생산 차량이다 보니 같이 따라 올 수 밖에 없는 생산과 수리의 용이성과 비용에 대한 이야기도 해야 할텐데 말이죠.. ('이정도 사고 났는데 에어백이 안터져서 다쳤다' 라는것과 되려 '이정도 사고에서도 에어백이 터져서 수리비가 정신 없이 나온다' 라는 동전의 양면이 있으니까요...)


아주 간단한 이야기를 해보죠.


http://www.youtube.com/watch?v=L4k0FWvGoSM&feature=related


이건 C  클래스와 스마트 포투의 옵셋 충돌 결과 입니다. 


재미 있었던 것은 '나쁜'등급을 받았던 스마트 포투의 실제 충돌에서 온 충격 보다 에어백에 머리를 묻었다가 튕겨 나오고 나오면서 A필러등에 머리를 부딫히면서 받은 상해 정도가 더 컸었다(!) 라는 것과,,


그래도 옵셋 충격에, 양쪽 차가 서로를 향해 달려 오던 중이라 두대 다 서로의 반작용으로 인해서 차가 빙글 돌아 주셨다는점.. 오히려 이렇게 반작용으로 차가 빙글 빙글 날아 주시면.. 이로 인한 2차 추돌만 없다면, 오히려 '날아가는것'이 상해정도에는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 정도가 되겠네요.


반대로 위의 IIHS실험이나 이번에 나온 버스 사고와 같이 한대가 서있거나 속도와 질량이 엄청나게 차이 나는 상황에서는 M1탱크라도 몰고 있지 않는한 큰 차이가 없습니다. 


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정리 해보면, 단순한 사고 사진 하나 가지고 절대! 어느차가 더 튼튼하다, 어느 회사가 차를 약하게 만든다 등의 이야기를 하는건 어리석은 이야기가 아닐까 합니다.


한가지 예를 들면, 쿱과 컨버터블 바디가 있던 형식의 스포츠카가 있었습니다. (8기통 엔진도 있던 머슬카의 일종이죠..) 보험가격은 차 값이 더 비쌈에도 불구하고 컨버터블이 더 쌌습니다. 왜였을까요? 


보험사 내부 자료에 따르면, 컨버터블 차량의 구조적인 장점(?; 롤바가 고정적으로 설치 되어 있는등의 차이...) 때문에, 실제 전복사고나 측면 추돌 사고에서 쿠페형에 비해 상해율이나 치사율이 훨씬 더 적었기 때문이죠.. 일반적인 상식이라면 컨버터블 타고 가다가 사고 나면 그냥 쿱형 차보다 훨씬 상해 율이 높을것 아닙니까?


실제로 차량들 사고난 기록들이나 차량을 분해하는 일들에서 배운걸 보면, 자동차 회사들이 강조하는 '세이프티 케이지' 개념, 즉 '승객실 보호'에 중점을 둔 차량일 수록, 승객실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후드, 휀더, 쿼터패널, 트렁크등)은 아주 연약해 보입니다. 


이번 '종잇장 차' 사진을 봤을때도, 여러 각도에서 찍은 사진을 보았을떄, 실제 충돌로 인해 충격을 받은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들은 형태를 비교적 유지 하고 있는걸 보았을때 지금 현행 전세계의 '충돌 안전 관련 규정' 내에서 아주 '잘 만들어진' 차량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밖에 없습니다.


진짜 호러 스토리 내지는 '잘못 만들어진 차'의 대표적인건


http://www.youtube.com/watch?v=g5SRyG6UR2A


이런 중국차 같은 겁니다. 승객석을 비롯해 충격에도 차량 전체가 완전히 아코디언 처럼 무너 졌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