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스틱 운전한지가 몇 년인데 아직도 덜컹 덜컹 거리며 다니는 부끄러운 운전자입니다.



drive by wire 차량들을 많이 타본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전자식 쓰로틀을 쓰는 차량들은 


굼뜬 반응과 클러치를 밟아도 rpm이 떨어지지 않거나, 오히려 더올라가는 등의 rev hang, rev overrun 등의 문제를


거의 공통적으로 갖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특정 상황에서 엔진 반응이 액셀페달을 밟은 정도에 비례하지 않는 것 


등의 다양한 문제도 부수적으로 갖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예전 케이블식 쓰로틀을 가진 차에 비하면 


지금 차의 변속이 특히 어려운 것,  1년이나 지났음에도 완벽한 변속이 여전히 어려운 것을 


오로지 전자식 쓰로틀의 책임으로 다 돌리고 있습니다;;; 




특히 이곳 미국은 제 경험상 신호대기 후 출발하는 가속의 정도가 한국보다 훨씬 빠르게 느껴집니다. 


따라서, 특히 까다로운 1단->2단 변속 같은 경우, 클러치 밟아도 하염없이 떨어지지 않는 rpm을 기다리다보면,


오토 차들이 때려박을 듯한 기세로 다가오기도 하고, 신경질 적으로 옆차선으로 추월해나가기도 하죠.


결국 차량 흐름에 피해를 주지 않으려면 1단 3000rpm이상의 (급)가속과 약간의 변속 충격, 그리고 반클러치를 감수해야 합니다.


적어도 제 수준에서는 그렇습니다.



각설하고 질문으로 들어가겠습니다.



1. 유독 이런 증상에 대해서 불편함을 느끼는 것은 수동 오너들인데,  자동 변속기나 심지어 직결식 클러치를 가진 듀얼클러치 변속기를 가진 차들의 경우에도 이런 점을 잘 느끼기 힘들죠. 

이것은, 엔진 반응이 한심할 정도로 느린데도 불구하고, 사람도 액셀과 클러치 조작만으로 부드럽고 빠른 변속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일까요? 아니면, 수동 변속기에 없는 tcu가 ecu와의 통신을 통해 rpm을 조정하도록 하는 것인가요?


2. 좀 더 근본적인 문제로 들어가면, drive by wire차량들의 저런 rev hang 이나 overrun의 존재 목적에 대한 질문입니다.

애초에 무엇 때문에 저런 반응을 보이도록 차를 만드는 것일까요? 제작 당시 테스트 드라이버들은 도데체 무슨 피드백을 준 것일까요?


3. 2번 질문에 대한 자문자답인 격이지만, 2번 질문의 답은 얼핏 들어서 알고 있는 것이 미처 연소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연료? 들을 모두 태워서 ... 어찌어찌하여 결국은 배기가스를 위한 것이라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칩튠이나 맵핑을 통해서 rev hang 이나 rev overrun이 없어지도록, 즉 drivabillity가 향상되도록, 튜닝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적어도 제가 타는 2.5 제타는 그렇습니다.) 그런 경우에 배기가스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는 건가요? 

drivability를 위해 좀더 깨끗한 배기가스를 희생하는 것인지, 두 마리 토끼를 다 잡는 방법이 있는 것인지요. 전자라면 과연 그런 튜닝 이후 smog 테스트라던가 등의  배출 가스 검사에도 문제가 없는 것일지, 후자라면 메이커에서는 왜 그렇게 하지 않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심지어 젠쿱이나 s2k와 같은 차들도 drive-by-wire에는 속수무책인 것을 보면... 어느정도 예상이 갑니다만...



그럼.. 안녕히 계세요. 꾸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