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차량 공기압 권장치가 제시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새차부터 폐차까지 완전 순정상태면 혹 모르겠지만, 중간에 타이어도 바뀔 수 있고 휠 사이즈도 달라질 수 있죠. 기온, 습도 등의 환경요인과 자주 다니는 노면도 다 다릅니다.

트렁크에 짐을 많이 싣고 다니는 경우와 늘 혼자 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모든 조건에서 메이커 권장치를 고수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물론 메이커 권장치가 절반 이상의 평범하고도 순정상태에 머무르는 일반 운전자를 위해 제시되어 있다는 건 당연할 겁니다. 그런데 공기압 질문에 대한 답은 권장치가 많더군요.

특히 전륜 구동 차량의 경우 앞과 뒷타이어의 하중이 많이 다른데 메이커 권장치는 같거나 3~4psi 정도만 다릅니다.

오히려 앞 타이어의 psi가 낮은 경우도 있더군요.

 

집에 중형차와 소형차가 한 대씩 있습니다.

중형엔 15인치 휠에 32psi가 권장치인데, 전 앞에 35 정도, 뒤에 30 정도를 넣습니다.

35를 넘어가면 너무 튀고, 뒤엔 승차감을 위해서 약간 적게 넣고 있습니다.

 

소형은 13인치 휠인데(93년식이니 당시엔 보통이었죠) 앞엔 최대 44psi인 타이어에 45psi 정도를 넣고,

뒤엔 32psi 정도를 넣습니다.

185 65R 13타이어인데 45psi를 넣어도 타이어가 상당히 눌려보입니다.

주행에서 튀는 느낌도 별로 없죠.

따로 말 없으면 카센터에선 35 정도로 넣더군요. 45까지 넣어달라고 하면 꼭 한마디씩 합니다. 너무 많다고....

 

최대 44psi인 타이어에 45psi를 넣는 것이 위험할까요?

공기압이 지나쳐서 타이어가 터지는 위험성보다는 공기압이 부족해 코너나 급제동시 타이어가 휠에서 벗겨지는 것이 더 위험하다고 들었고 그렇게 생각합니다.

뒷타이어는 승차감도 고려하지만 공기압이 많을 때보다 적절하거나 약간 낮은 상태에서 뒷쪽의 그립감이 더 좋지 않을까 싶어서 조절합니다.

제 판단기준은 공기압 게이지의 수치 30%, 승차감 40%, 눈으로 봤을 때의 타이어 모양 30%입니다.

 

차량마다 다 적절한 정답이 있겠습니다만,

위의 몇가지 사항에 대해 조언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