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원래 재판매가격유지행위는 공정거래법위반 아닌가요?
자사 대리점들이야 자기들이 파는거니까 재판매가 아니라 쳐도 딜러들은 ....
직원 간 과다 출혈경쟁을 막아 궁극적으로 소비자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정가판매제도다
라고 의도가 기사에 쓰여 있네요..^^
진승님 말씀처럼 르노삼성에서 이미 오래전 부터 해온 방식이고,
일부 수입차 메이커들도 위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것이 가져올 장단점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성공인지 실패인지 알수 있을것 입니다.
르노 삼성이 이러한 정책을 책정했을당시 찬성하고, 이해하는 분위기 였던걸로 기억이 납니다..
비슷한 정책에 상반되는 반응.
현대차에서 노력해야 겠네요..
굳이 현대차를 놓고 이야기하려던 것은 아닙니다. 르노 삼성과 일부 수입차 업체그 그런 정책을 이미 펴고 있는 것은 댓글로 알게 되었습니다. 현대에 비판할 부분은 합니다만 앞뒤 안 가리는 안티 현대는 아닙니다 ^^(첫 차 아반떼였고 큰 고장 없이 잘 타고 다녀었습니다 ^^) 하지만 위에 댓글로 제가 단 것처럼 사후 서비스보다 가격을 제일 중요시하는 소비자의 선택 권리와 직영점을 제외한 딜러들까지도 가격에 제한을 둔다는게 이해가 안 갑니다. 아무 매장이나 가면 된다는 것인데 그럼 딜러들의 수익은 어디서 챙길 수 있는지 궁금해서요.
무슨 생각으로 마케팅을 하고있는건지 이해를 할수 없다는거죠. -_-
그래도 지엠대우 마케팅보다 현기차 마케팅이 훨씬 더 낫다고 생각됩니다.
정가제의 경우 과거에 인터넷서점 생기면서 붉어진 도서정가제 논란을 참고하면 될거 같네요. 일장일단이 있긴 합니다.(소비자입장에서는 정가제 안하는게 좋겠지만......)
작년8월이후 자동차회사끼리 합의해서인지 딜러들의 인터넷 홈페이지 강제로 폐쇄시키고 인터넷으로 견적받는거 금지시켰죠. 동호회도 마찬가지구요(예전에 단일차종보면 공식 동호회 딜러 혹은 공식 동호회 영업사원이라고 동호회에 일정비용 수수료 내고 영업사원들이 활동했는데 지금은 안하죠^^)
디씨인사이드에도 활동했던 유명한 영업사원도 이후 활동안하구요. 뭐 사실 기업입장에서는 터무니없이 가격을 낮추는 일부 영업사원들 때문에 자신들 수익이 떨어지니까 고육지책으로 한거라 생각됩니다.
저도 처음에는 이해가 안되었는데 중고차업계에 있으면서 일해보니까 기업의 입장이 조금 이해되더군요.
치훈님 말씀이 맞습니다. 제가 댓글 잘못 썼네요. 사실 기업이 아닌 영업사원들 수당을 깎아서 할인되는 것이죠.
근데 그게 왜 문제가 돼냐면 인터넷 동호회등과 연계된 영웝사원들이 동호회와 연계된 댓가로 해당 동호회원들에게 더 할인이나 서비스혜택을 주니까 소문을 들은 다른사람이 그 동호회 소속의 영업사원만 찾게되고 상대적으로 소외된 다른 영업사원들의 불만이 많았었습니다.
따라서 기업에서는 공정거래라는 명목으로 지난해하반기부터 영업사원의 인터넷견적 전면 금지시킨겁니다. 기업입장에서도 현금할인 서비스받은 고객때문에 자사가 책정한 가격이 낮아지는걸 달가워하지 않거든요 모 자동차브랜드 마케팅 직원들과 얘기해보았는데 인터넷이나 전화로 "XX지점에서는 더 싸게 할인받는데 YY지점에서는 왜 할인안해주냐?"라는 전화와 이메일이 가끔온다고 합니다.
다른브랜드는 모르겠는데 일찍부터 정가제정책을 펴고 영업사원의 인터넷견적을 금지시킨 르노삼성의 경우 할인해주다가 걸리면 첫번째는 경고 2번째로 걸리면 그만둬야 합니다.

공정거래에 위반되는 이런 행위를 버젓이 해 놓고 광고질까지 해대는 그 대범함과 무식함에, 우리나라 수준이 이정도밖에 안되는 구나 하는 자괴감까지 생기는 기사입니다.
이건.. 이미 르노 삼성이 하고 있는거 아닌가요?
딜러 할인 못하게 하고.. 전체 할인만 하는..
소비자 입장에선 그닥 좋지 못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