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Q&A란의 안오준님께서 질문하신 <저편평비 타이어에 대한 공기압 질문>
을 보던 중 공기압력에 관한 조심스런 소견을 올려봅니다.
일단 북미에서 주로 사용하는 psi 단위가 많이 보편화 되어 있지만
1단위의 psi를 측정하고 주입하기 위한 정비소의 기구 상태나
주입압력이 상당히 거칠다고 느끼는 편입니다.
바퀴가 한개라면 모를까 4바퀴를 고르게 주입하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최근 kpa단위의 공기압력게이지를 구입하였는데
1 psi = 6.9 kpa이더군요.
아무튼 눈금도 성기고, 지침의 간격과 단위가 한결 맘에 들었습니다. psi단위의
오차율의 7배가량 줄여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요.
현제 저는 소형차의 195/50ZR15 타이에 235kpa정도로 채워 다닙니다.
psi로 34정도 되는 수치인데 실수로 233을 넣던 237을 넣던간에 1psi이상의 오차가 나기
힘들다고 보는 것이지요. 자연스레 4바퀴의 밸런스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 정비사업소나 타이어전문점등에 있던 자동주입기를 신봉하던 적이 있었습니다.
다 그런 것은 아닐테지만 역시 기계가 사람을 따라올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지금은 항상 kpa게이지를 이용해 직접 공기압력을 세팅합니다.
을 보던 중 공기압력에 관한 조심스런 소견을 올려봅니다.
일단 북미에서 주로 사용하는 psi 단위가 많이 보편화 되어 있지만
1단위의 psi를 측정하고 주입하기 위한 정비소의 기구 상태나
주입압력이 상당히 거칠다고 느끼는 편입니다.
바퀴가 한개라면 모를까 4바퀴를 고르게 주입하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최근 kpa단위의 공기압력게이지를 구입하였는데
1 psi = 6.9 kpa이더군요.
아무튼 눈금도 성기고, 지침의 간격과 단위가 한결 맘에 들었습니다. psi단위의
오차율의 7배가량 줄여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요.
현제 저는 소형차의 195/50ZR15 타이에 235kpa정도로 채워 다닙니다.
psi로 34정도 되는 수치인데 실수로 233을 넣던 237을 넣던간에 1psi이상의 오차가 나기
힘들다고 보는 것이지요. 자연스레 4바퀴의 밸런스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 정비사업소나 타이어전문점등에 있던 자동주입기를 신봉하던 적이 있었습니다.
다 그런 것은 아닐테지만 역시 기계가 사람을 따라올 수는 없는 것 같습니다.
지금은 항상 kpa게이지를 이용해 직접 공기압력을 세팅합니다.
2007.08.07 09:39:24 (*.87.60.117)

어울리는 그룹에서 kpa 단위를 다 써주면 좋은데, 선수들 사이에서는 아직 psi를 쓰고, 그렇게 표시된 게이지(주로, 헬라꺼죠)를 쓰기에 psi 단위를 계속 씁니다.
하지만, 게이지의 1kpa 단위로 표시된 것이 정밀도라고 믿기에는 무리가 있군요.
말씀드리려는 요지는 단위도 중요하지만 Range가 더 중요한 경우가 많지요.
전문점의 자동주입기는 그나마 관리를 한다고 가정하면 믿을만한 수준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게이지의 1kpa 단위로 표시된 것이 정밀도라고 믿기에는 무리가 있군요.
말씀드리려는 요지는 단위도 중요하지만 Range가 더 중요한 경우가 많지요.
전문점의 자동주입기는 그나마 관리를 한다고 가정하면 믿을만한 수준이라고 생각됩니다.
2007.08.07 11:30:25 (*.251.76.243)

개인적으로 그렇게 세밀하게 공기압을 관리해야 하는지....,
약간의 의구심이 듭니다. 실상 아마추어 경기가 아닌
프로 경기의 거의 모든 팀들이(국내 온로드) Bar 단위를 씁니다.
그렇게 따지면 kpa 에 비해서 엄청나게 부정확(?)하다는 얘기가
되는데 공도에서 과연 그 정도까지가 필요한지 좀 애매합니다.
자기위안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너무 소소한것까지 신경 쓰시면
늙습니다.^^;; 조금 마음을 유~~하게 가지세요 ㅎㅎ
약간의 의구심이 듭니다. 실상 아마추어 경기가 아닌
프로 경기의 거의 모든 팀들이(국내 온로드) Bar 단위를 씁니다.
그렇게 따지면 kpa 에 비해서 엄청나게 부정확(?)하다는 얘기가
되는데 공도에서 과연 그 정도까지가 필요한지 좀 애매합니다.
자기위안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너무 소소한것까지 신경 쓰시면
늙습니다.^^;; 조금 마음을 유~~하게 가지세요 ㅎㅎ
여담이라면 각자 자신의 게이지를 가지고 거기에 맞춰서 압력조절을 하는것도
좋은방법중에 하나일것 같습니다.. 자신만의 기준이라고할까나..
몇십만원짜리 게이지가 아니고서야 게이지 끼리의 오차도 만만치 않아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