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가격대비 완전 강추인 크X필터입니다.

뒤집은 모습.

굴지의 헨켈 록타이트에서 나온, 남들도 다 만드는 제품이라 의심할 필요가 없습니다.

입양된 아이에게 생부를 찾아준 느낌.

어쨌거나 명문가는 역시 명문가더군요.

신기하게 소음이 정말 없습니다.

환자는 환자인데...
몇차례 큰 수술과 집중치료 기간은 지난, 어차피 cure는 힘들고 care로 쭉 가는.. ㅎ
이제는 소소한 것들의 잔재미가 더 큰 낙입니다.
어쨌거나 비타민 주사라도 한방 맞아야 마음이 놓이듯, 차에 뭔가 해주지 않으면 견디지 못하는 주증상은 마찬가지지만요.
순정 지상주의로 유지중인 아반떼이지만... 오일 교환시마다 바꿔주는 순정 에어크리너가 왠지 제 체질에는 맞지 않는 느낌에 괴로웠습니다. ㅋ 이것저것 찾던중, 그중 가장 저렴한 축에 속하는 크X필터라는 순정 교체형 에어크리너가 눈에 들어오더군요. 가격이 순정 2개 정도 수준이라 10000키로 이상만 버텨도 본전이라는 생각에 질렀습니다.
결론적으로 기상상황에 따른 흡기온, 대기압 등을 무시한다면, 확실히 효과 있습니다.
미리 전날 구간을 정해 순정상태를 테스트해놓고, 교체후에 같은 구간을 달려봤더니 차이가 납니다. 아주 만족스러운 튜닝입니다.
모툴 300v등등의 트랙용에 더 치우친 오일에는 더 많이 사용된다는 몰리브덴의 기능에 관해서는 이견이 있을 수 없습니다. 단지 어떤 제품이 더 효율적으로 몰리브덴 코팅을 해주느냐만 남겠죠. 국내 일반 유저들 사이에서도 뮤겐의 MT105나 HKS의 ADD1 등이 이미 수년전부터 널리 쓰여왔고, 최근에 소개되어 주목을 받기 시작한 제품들도 많은 상황. 저는 헨켈 록타이트사의 +MOS2를 선택했습니다. 이유는 가격! ㅎㅎ 헨켈 록타이트사 제품이니 생산자의 신뢰도는 일단 최상급. 몰랐는데, 제품을 받아보니 F1 Mcralen 팀의 Official supplier 라는 표기도 있더군요.^^
오일교환과 동시에 주입했기 때문에 역시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마찰이 줄어든 느낌 분명히 있습니다. 다운쉬프트 알피엠 보정시 확실히 차이가 납니다. 이미 오일교환 후 수백키로 주행후에 주입한 지인의 경우에도 차이를 느꼈다니, 몰리브덴이 들어있는 제품이 맞고, 코팅된 몰리브덴이 제 역할을 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물론 몸으로 바로 느끼는 리스펀스나 기타 퍼포먼스적인 차이가 몰리브덴 코팅의 컨셉은 아닙니다. 관건은 금속 마찰면의 보호를 통한 내구성의 증대겠죠. 실제로 지인의 과거 몰리브덴 첨가제 사용기를 들어보면, 유온계로 관찰했을 때 줄어든 마찰덕인지 오일온이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단, 좋다고 규정량보다 많이 넣으면 안됩니다. 또한 자주 넣어도 좋지 않습니다. 제 엔진에는 그래서 이번이 처음이자 마지막 주입입니다.
언젠가부터 유행이된 뉘르브르크링 스티커!!
독일차에는 정말 잘 어울리는데, 제차에는 왠지 어색합니다... 왜.... ㅡ.ㅜ
그래서 어렵게 구한 뉘르 스티커는 나중에 독일차를 입양할 기회가 있으면 붙일 생각으로
고이 모셔놨습니다. 아반떼에는 색상이 맞지않아 패스.
스즈카입니다.
스즈카.
설명이 더 필요없습니다.
그간 잘 써오던 R-S2를 벗겨내고 호평의 신제품(?) 아드레날린을 신겼습니다.
이제 하루 주행했기 때문에 별 평을 하기는 어렵지만, 기겁하고 바로 벗겨냈던 몇몇 제품들과는 달리 일단 당분간은 함께할 생각입니다.
다만..
제차의 경우 FF이면서 뒤가 날아다니는 셋팅으로, 여타 차종에 비해 고속 안정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집니다. 와인딩 로드에서 FF의 단점을 보완해주는 셋팅이, 고속 주행에선 화살이되어 돌아오는 형국이랄까요. 이런 단점은 횡풍이 부는 교량위를 최고속으로 선회하는 상황에선 거의 정점에 달하는데, 영종대교 서울방면 오르막이 그렇습니다. 나름 블라인드인 대다가, 횡풍도 이빠이고, R값도 신공항 다른구간에 비해 별로 착하지 않아서.. 제 차의 경우 사이드월 후달리는 타이어로는 절대 최고속으로 진입할 수 없습니다. 특히 선회 중간에 안보이던 차가 나타날 때, 급차선변경에 문제라도 생긴다면 바로 바다로 갑니다. 어떤 타이어로는 선회자체도 힘들더군요. 아드레날린은 이 구간에서 일단 튼튼하게 버텨는 주는데, 차선 변경후 다시 자리를 잡는 반응이 좀 뭐랄까... 제 입맛과는 조금 다른 반응을 보입니다. 무지한 분야다보니 표현이 안되네요.ㅡㅜ
결정적인 감점요인은 사실 무게입니다. R-S2랑 비교해보니 아무리 둔한 사람도 단번에 알 수 있을정도로 아드레날린이 무겁습니다. 그래서 마음에 쏙 들지는 않습니다. ㅡ.,ㅡㅋ
주말 밤에 달리기 좋아하는 분들이 모이는 이곳 저곳 구경다니다 보면, 전조등이 시뻘건 차들이 가끔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조사각 에러나, 논프로젝션 타입에 매칭된 HID 같이 상대차선 차량들의 시야를 방해할 일은 없겠지만, 순간 움찔! 할 정도로 왠지 좀 무섭습니다. 근데 잘 보일까요? ㅡ.ㅡㅋ
어느날 차에 관한 명상(?)중에 미등이 떠올랐습니다. 어차피 운행중에는 보이지도 않을 뿐더러,
전조등처럼 남들 겁줄일도 없고, 나의 시야에도 전혀 지장이 없는 미등!! 정차시에는 왠지 빨간 미등이 제차에 어울릴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하더니, 지금은 그렇게 믿고 있습니다. 시끄러운 배기통에 이어, 등화류에서도 X카 계열로!!
LED6발 자리로 질렀는데, 오래갔으면 좋겠네요. ㅎㅎ
2007.10.04 02:05:30 (*.236.65.181)
빨간 불빛이 하얀 차체와 어울려 멋있습니다. ^^ 성능에 반해 크린필터의 원조품인 유니필터를 약 6년간 써오고 있습니다. 언급하신 1만키로를 유지하려면 통기성 확보가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되는데, 서울에 사신다면 6~7000km 정도가 차의 컨디션 유지를 위한 한계치라고 생각 됩니다. 참고로 크린필터는 여과재가 1장이지만 유니필터는 얇은거 2장의 구조라서 1장씩 교체하면 1만km 정도 탈 수 있겠네요. 저의 경우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2007.10.04 03:37:57 (*.251.1.131)

무시무시 인테그라에 끼우셨군요~ ^0^ 아무쪼록! 즐겁게 잘 타시길 바랍니다. 근데.. 아드레날린 조금 아쉬운점은 웨트 그립력이 그렇게 좋은거 같지는 않다입니다. 비대칭이다보니 아무래도 배수력이 좀 떨어지는 느낌이 나더군요. 요점 주의하시면서 재밌게 즐기세요. :)
2007.10.04 09:14:57 (*.86.112.14)

DC5..뒤가 날라가신다는말 적극적 공감합니다만..
TYPE-R스포일러 혹은 뮤겐 GT WING..반드시 하시면 만족 100% 넘으실듯합니다..
뒤가 잘따라 옵니다.. ㅠㅠ..
같이 동거하는 지인의 DC5S에서 적극적으로 느끼고 있습니다..
있고와 없고의 차이와.. 서스펜션의 디퍼런스..
테인 베이직에서 "에이 가비지 서스!".. 너무 일반적이죠.. 코너링시 뒤가 너무 뜹니다..
하지만 고마웠어 ... 굿바이 테인
웰컴 다나베 SUSTEC-FIVE (SS와 같은동급이지만 리어핼퍼스프링으로 인해서 차를 리프트에 올려도 뒤에가 더 내려옵니다... 한 10cm.. 이셋팅이 조금더 빠른 코너링이 되더군요..전 서스펜션 세터까지는 못되지만 확실히 주행이 틀려집니다..공도에서요..)
여하튼 각설하고!
TYPE-R스포일러 초강추 해봅니다..
짝퉁 150불+페인트에 ..이거 가격대비 성능이 "막!말!" 로 "와방" 이라....
짝퉁을 구입하셔도 진품과 브라켓까지 동일하기에
장착요망입니다....
필요하심 보내드릴수도있어요 ! 밴쿠버->서울 한진택배! ..스포일러 가격 나오것죠 ㅡㅡ;;
TYPE-R스포일러 혹은 뮤겐 GT WING..반드시 하시면 만족 100% 넘으실듯합니다..
뒤가 잘따라 옵니다.. ㅠㅠ..
같이 동거하는 지인의 DC5S에서 적극적으로 느끼고 있습니다..
있고와 없고의 차이와.. 서스펜션의 디퍼런스..
테인 베이직에서 "에이 가비지 서스!".. 너무 일반적이죠.. 코너링시 뒤가 너무 뜹니다..
하지만 고마웠어 ... 굿바이 테인
웰컴 다나베 SUSTEC-FIVE (SS와 같은동급이지만 리어핼퍼스프링으로 인해서 차를 리프트에 올려도 뒤에가 더 내려옵니다... 한 10cm.. 이셋팅이 조금더 빠른 코너링이 되더군요..전 서스펜션 세터까지는 못되지만 확실히 주행이 틀려집니다..공도에서요..)
여하튼 각설하고!
TYPE-R스포일러 초강추 해봅니다..
짝퉁 150불+페인트에 ..이거 가격대비 성능이 "막!말!" 로 "와방" 이라....
짝퉁을 구입하셔도 진품과 브라켓까지 동일하기에
장착요망입니다....
필요하심 보내드릴수도있어요 ! 밴쿠버->서울 한진택배! ..스포일러 가격 나오것죠 ㅡㅡ;;
2007.10.04 09:56:21 (*.145.162.179)

세상에 물도 좋고 산도 좋은데가 어디 있겠습니까...? ^^ 무게가 가벼우면 부실하거나 튼실한 성능이 나오면 무게가 무거워지기 마련이지요. 무게도 가볍고 성능도 좋은 공산품은 비현실적으로 비싸지구요.
2007.10.04 11:42:31 (*.10.153.141)

그 늦은 시간에 결국 신공항으로 테스트 가셨군요. 독특한 방식의 테스트... ^^; 그날 인사도 못 드리고 헤어졌습니다. 9000 rpm 아직도 머리속에서 떠나질 않네요. 동승 감사 드리고 그날 못다한 제차 동승은 다음번에 뵙게 되면 마련 하도록 하겠습니다. ^^
2007.10.04 12:12:32 (*.113.188.4)

아드레날린 올리셨군요!~... 전 사정상 CSC2로 갔다는~ 축하드립니다.
사진에 신공항의 후유증 벌레파편이 보이네요.^^
사진에 신공항의 후유증 벌레파편이 보이네요.^^
2007.10.04 12:21:20 (*.195.116.58)

음.. 저도 빨간 미등 하나 질러볼까요~ 아폴로걸린 은시 ㅎㅎ.
유니필터... 그런거 하나 사볼까 싶기도 한데 성능이 참 궁금해서 ㅎㅎㅎ
유니필터... 그런거 하나 사볼까 싶기도 한데 성능이 참 궁금해서 ㅎㅎㅎ
2007.10.04 14:39:08 (*.214.84.253)

여러 회원님들 말씀 감사합니다.^^
다음에는 크린필터 리필 말고, 원조 유니필터를 한번 써봐야겠네요.
순정이 하이윙과 로윙중 택일이라 고민하다 로윙으로 골랐는데, 카본 사이드미러를 장착하고 나니 카본 하이윙이 땡기네요. ㅎㅎ 일단 주차장에서 튀지 않는것이 컨셉이라 자제하고 있습니다.^^;
정말 RE050이나 PS2가 비싼 이유가 다 있는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너무 그립이 좋은 세미슬릭 수준의 타이어들은(RE070 / A048등등) 선호하지 않기 때문에, 저에게 맞는 정답은 역시 RE050 같네요. PS2는 215/45/17이 없어서 포기했습니다.
김도운님 인사도 못드리고 갔습니다.
다음번에 꼭 태워주세요!! ^^
다음에는 크린필터 리필 말고, 원조 유니필터를 한번 써봐야겠네요.
순정이 하이윙과 로윙중 택일이라 고민하다 로윙으로 골랐는데, 카본 사이드미러를 장착하고 나니 카본 하이윙이 땡기네요. ㅎㅎ 일단 주차장에서 튀지 않는것이 컨셉이라 자제하고 있습니다.^^;
정말 RE050이나 PS2가 비싼 이유가 다 있는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너무 그립이 좋은 세미슬릭 수준의 타이어들은(RE070 / A048등등) 선호하지 않기 때문에, 저에게 맞는 정답은 역시 RE050 같네요. PS2는 215/45/17이 없어서 포기했습니다.
김도운님 인사도 못드리고 갔습니다.
다음번에 꼭 태워주세요!! ^^
2007.10.04 16:10:50 (*.254.112.153)

그냥 구조만 보면 크린필터가 유니필터보단 좀 나아보이던데요. 저도 예전에 유진상사에서 사놓구서, 아직 순정형 필터 쓰고 있습니다. 다음 번에 교체할 때 한 번 써봐야겠습니다.
2007.10.04 18:27:43 (*.120.231.195)

좀 더 타보시고 아드레날린 소감좀 부탁드릴께요. RE050a쓰다가 사정상 앞에만
아드레날린으로 교환했는데, 전에 비해 쫀득쫀득한 느낌도 덜한거 같고, 특히
빗길에서 많이 밀리는 느낌이 드네요. 소음도 좀 늘은거 같은데 준호님은
조용하다고 하시니 그 부분도 좀 걸리고요. 저는 1500km정도 탔습니다.
아드레날린으로 교환했는데, 전에 비해 쫀득쫀득한 느낌도 덜한거 같고, 특히
빗길에서 많이 밀리는 느낌이 드네요. 소음도 좀 늘은거 같은데 준호님은
조용하다고 하시니 그 부분도 좀 걸리고요. 저는 1500km정도 탔습니다.
2007.10.04 20:24:27 (*.251.1.131)

아드레날린을 끼우고 10000km를 넘게 주행한 간략한 느낌을 적어드리자면.. 드라이 노면에서의 접지력은 끈끈하게 받쳐주면서 사이드월도 짱짱히 버텨주는 장점이 있지만, 빗길은 가끔 섬뜩할때가 있습니다. 노면이 젖어있거나 웅덩이에 지나갈때 배수력은 썩 좋지않더군요. 수막현상도 스티어링휠에서 가끔 느껴집니다. 안산 트랙이 젖었을때 달려본 경험에 의하면 물을 머금고 빼지못해서 미끌미끌하게 달렸었구요. 가격대비 성능은 상당히 좋은 타이어인것은 분명하지만, (여름용 타이어로는 정말 좋지요~) 여기저기부분에서 모두 뛰어난 팔방미인은 아니더군요. ^^;; 소음부분은 쓸수록 커지거나 그런느낌은 받지 못했습니다.
2007.10.05 01:57:27 (*.120.231.195)

확실히 아드레날린이 젖은 노면에서는 불리한게
맞는가 보네요. 어제도 구불구불한 국도를 빗속에
달리는데 평소대로 하니깐 불안불안하더군요.
그래도 마른노면에서는 괜찮은 듯 합니다.
좀 더 타봐야 제대로 평가가 되겠네요.
준수님 감사합니다.
맞는가 보네요. 어제도 구불구불한 국도를 빗속에
달리는데 평소대로 하니깐 불안불안하더군요.
그래도 마른노면에서는 괜찮은 듯 합니다.
좀 더 타봐야 제대로 평가가 되겠네요.
준수님 감사합니다.
2007.10.05 15:18:53 (*.214.84.253)

저는 데일리카로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젖은 노면 특성은 크게 고려하지 않는편입니다.
예상치 못한 비를 만났을 때 아주 떠다니지만 않으면 될정도? ㅎㅎ RE001 이 소음이 적다는건 이전에 쓰던 R-S2와의 비교입니다. R-S2에 비하면 혁신적으로 소음이 감소하였습니다. RE001도 절반은 V형 패턴인데 반해 소음이 적다는 말씀이지 소음이 아주 없지는 않습니다.
저야말로 더 타봐야 알겠지만, 가격을 제외하고는 RE050을 앞설만한 요소는 아직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
예상치 못한 비를 만났을 때 아주 떠다니지만 않으면 될정도? ㅎㅎ RE001 이 소음이 적다는건 이전에 쓰던 R-S2와의 비교입니다. R-S2에 비하면 혁신적으로 소음이 감소하였습니다. RE001도 절반은 V형 패턴인데 반해 소음이 적다는 말씀이지 소음이 아주 없지는 않습니다.
저야말로 더 타봐야 알겠지만, 가격을 제외하고는 RE050을 앞설만한 요소는 아직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
저도 한때 LED나 언더네온을 박아 본격 양X의 길로 들어설까 고민하다가,
아는 모든 미캐닉들과 사장님들이 가만안두겠다는 협박에 못이겨..
아직도 합법적(???)인 세계에 살고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