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이번 상하이 GP는 해밀턴의 입장에서는 챔피언 굳히기 경기로 F1참가 첫해에 챔피언이라는 경이적인 기록을 달성할 것만 같았습니다. 예선 Q3에서 마지막 타임 어택때 라이코넨을 2위로 몰아내며 폴을 잡았습니다.

결승날은 비가 와서 일본 GP때처럼 수중전이었는데, 해밀턴이 중반까지 줄곧 선두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27랩을 남겨두고 였던가 라이코넨이 해밀턴 뒤를 바짝 쫒고 있었는데, 약간은 무기력하게 선두를 라이코넨에게 내주고 2위로 내려앉은 직후 피트로 들어가는데 어처구니없게 피트 진입로 커브를 클리어하지 못하고 자갈밭으로 들어가 버리고 맙니다. 좌코너였는데, 속도가 너무 높아서 오버스티어를 커버하는 카운터 스티어 동작과 동시에 라인에서 벗어나고 맙니다.

이 광경을 지켜보던 팀 관계자들의 망연자실한 표정이 재미있지만은 않았습니다. 개인적으로 알론소보다는 해밀턴을 응원하던 입장이라서...

맥라렌팀 감독인 론 데니스 역시 자갈밭에 빠져 꼼짝 달싹 못하는 머신을 밀어주라는 시늉을 하지만 해밀턴은 이렇게 어처구니없게 리타이어하고 맙니다. 해밀턴이 라이코넨에게 추월당할 때의 상황을 유추해보면 타이어 성능이 급격히 떨어진 시점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독일에서 중개는 모두 더빙이라 영문 해설을 하나도 들을 수 없어서 그냥 예측할 뿐이니 정확한 정보가 있으면 지적해주시기 바랍니다. 다만 경기를 보는 내내 페이스를 올리던 해밀턴이 어느 순간부터 무기력하게 라이코넨의 추격을 제지하지 못하게 된 이유를 타이어 때문인 것 같고 결과적으로 피트인 시기를 약간 일찍 잡았어야 했던 것으로 보였습니다.

경기는 라이코넨, 알론소, 마싸의 순으로 마감되었고, 라이코넨은 해밀턴의 리타이어로 인해 알론소와 더불어 마지막 경기의 결과에 따라 잘하면 챔피언될 수도 있는 기회를 잡았습니다.


선두 해밀턴과 알론소가 3포인트, 알론소와 라이코넨이 3포인트차이기 때문에 다음 경기때 순위가 어떻게 뒤바뀔지 아무도 모르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페라리는 맥라렌의 스파이 사건으로 인해 팀포인트를 모두 몰수당해 컨스트럭터즈 우승이 확보된 상태이지만 이와 더불어 챔피언 드라이버를 만들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잡았습니다.

해밀턴과 대조적으로 이번 경기는 운이 좋았고, 주행도 아주 완벽에 가까울 정도로 차분하면서도 정교한 주행을 보여주었습니다.

예선때 4위로 마감한 알론소는 패색이 짙었지만 뜻밖에 해밀턴이 리타이어하면서 3년연속 챔피언의 야망을 접지 않아도 되었습니다.


F1이 그 어느해보다 더 박진감 넘치는 스토리가 전개되는 가운데 마지막 경기를 손꼽아 기다리지 않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해밀턴이 챔피언에 등극을 해줘 알론서의 코를 납작하게 해주었으며 하는 바램입니다만 해밀턴 역시 올해 행운도 많았지만 불운도 많았고, 여전히 변수가 많은지라 포인트를 리드하고 있는 입장이라해도 낙관할 수 있는 입장은 못됩니다.
마싸는 GP가 종반으로 가는 상황에서 라이코넨과의 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챔피언에서는 거리가 멀어졌지만 그래도 기량에서는 탑드라이버중에 하나입니다.
이번 상하이 GP에서는 선두권의 주행보다 중위권 선수들간의 육탄전이 더 볼만했습니다.
특히 중반까지 추월과 블록킹으로 재미를 보던 랄프 슈마허의 주행은 카메라에 자주 잡혔었습니다.
결국은 스핀으로 리타이어해서 올해는 유독 랄프 슈마허의 리타이어를 자주 보게 되는 것 같았습니다.
내년도 시즌에 알론소가 팀을 움직일 것이 확실시됨에 따라 다른 드라이버들돠 이영향으로 많은 이동이 예상됩니다.
그 어느해보다 많은 스토리를 선사하는 F1의 멋진 마무리를 기대해봅니다.
-testkwon-
편집중
2007.10.08 04:26:54 (*.68.76.198)

해밀튼은 젖은 노면 용 타이어와 마른 노면 용 타이어의 중간급 타이어를 끼고 있었는데 라이코넨에게 선두를 빼앗길 때 타이어가 거의 닳아 그립을 잃고 있었습니다. 해밀튼은 적어도 1랩이나 그 이전에 피트인 했어야 했는데 그렇지 못했고, 맥라렌에 따르면 이것은 팀의 결정이었고, 따라서 팀의 실수였다고 합니다.
2007.10.08 05:38:57 (*.229.109.2)

호오..박빙의 시리즈 순위에 귀추가 주목되는군요.
해밀튼..대단 합니다. 라이코넨, 알론소 모두 데뷔때 루키 소리를 들었는데..완전 루키들의 대결이로군요. 상세한 리뷰 감사드려요.
해밀튼..대단 합니다. 라이코넨, 알론소 모두 데뷔때 루키 소리를 들었는데..완전 루키들의 대결이로군요. 상세한 리뷰 감사드려요.
2007.10.08 06:18:13 (*.49.14.74)
상세한 리뷰 감사합니다.
사실 실제로 상하이 서킷에서 어제 예선과 오늘 결선을 보고 오늘 새벽에 귀국했는데 저도 잘 모르는 사실을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어쩐지 계속 2등 키미와의 거리를 늘려가던 해밀턴이 갑자기 추월당하고 또 슬립해서 리타이를 해서 좀 이상하다고 생각했었는데 그런 타이어의 이유가 있었군요.
금년에 미셰린에서 브리지스톤으로 바뀐후 성향을 파악하기 좀 까다로워서 미셰린 보다 적응을 못한 팀이 많다고 하더니 역시 그런 이유였나 봅니다.
토요일날 예선에서도 Q1~Q2 에선 해밀턴이 3위고 라이코넨과 마사 1등과 2등이었는데 Q3 예선에서 그것도 마지막 랩에서 0.3초 차이로 뒤집고 1등으로 올라서더군요.
그래서 맥라렌 메르세데스가 1위와 4위 페라리가 2위와 3위로 치열한 경쟁을 하겠되었죠.
사실 실제로 상하이 서킷에서 어제 예선과 오늘 결선을 보고 오늘 새벽에 귀국했는데 저도 잘 모르는 사실을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어쩐지 계속 2등 키미와의 거리를 늘려가던 해밀턴이 갑자기 추월당하고 또 슬립해서 리타이를 해서 좀 이상하다고 생각했었는데 그런 타이어의 이유가 있었군요.
금년에 미셰린에서 브리지스톤으로 바뀐후 성향을 파악하기 좀 까다로워서 미셰린 보다 적응을 못한 팀이 많다고 하더니 역시 그런 이유였나 봅니다.
토요일날 예선에서도 Q1~Q2 에선 해밀턴이 3위고 라이코넨과 마사 1등과 2등이었는데 Q3 예선에서 그것도 마지막 랩에서 0.3초 차이로 뒤집고 1등으로 올라서더군요.
그래서 맥라렌 메르세데스가 1위와 4위 페라리가 2위와 3위로 치열한 경쟁을 하겠되었죠.
2007.10.08 06:24:48 (*.49.14.74)
다행히 출발시에 비가 좀 왔었지만 3분에 2 정도 경과한 시점에서는 비가 그쳐서 노면이 거의 말랐고 좀 더 박진감 있는 진행이 되더군요.
포르쉐 카레라 컵 레이스 결승도 F1 결선이 열리기 바로 전에 같이 열렸는데 그때도 우렁찬 엔진 소리에 놀랐었지만 F1이 시작되어 머신 한대가 시동을 걸었더니 수많은 포르쉐의 소리가 묻혀버릴 정도로 짜릿하고 큰 소리를 내더군요.
진짜 부러운건 상하이의 서킷입니다.
규모와 시설이 정말 좋더군요.
거기에 비하면 우리나라는 정말......
택백서킷도 상하이 서킷에 비하면 카트장 수준이더군요.
참! 권영주님 상하이 F1에서 최고속은 얼마 정도 나오던가요?
궁금하군요.
포르쉐 카레라 컵 레이스 결승도 F1 결선이 열리기 바로 전에 같이 열렸는데 그때도 우렁찬 엔진 소리에 놀랐었지만 F1이 시작되어 머신 한대가 시동을 걸었더니 수많은 포르쉐의 소리가 묻혀버릴 정도로 짜릿하고 큰 소리를 내더군요.
진짜 부러운건 상하이의 서킷입니다.
규모와 시설이 정말 좋더군요.
거기에 비하면 우리나라는 정말......
택백서킷도 상하이 서킷에 비하면 카트장 수준이더군요.
참! 권영주님 상하이 F1에서 최고속은 얼마 정도 나오던가요?
궁금하군요.
2007.10.08 10:25:16 (*.46.148.166)

페라리와 맥라렌 모두 intermediate-wet 타이어를 초반부터 사용하지 않았나요?
두 팀 모두 첫 핏스탑에 타이어 교체 없이 연료만을 보충하며 그립이 살아나는 타이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전략을 취했습니다. 제가 이해하기로는, 노면이 말라가는 상황에서 키미와 알론소는 타이어를 아껴가며 주행한 반면, 해밀튼의 경우 거리를 벌리기 위해 타이어에 많은 부담을 준 것이 결국 문제를 일으켰던 것으로 봤습니다. 키미에게 추월당하는 순간 이미 뒷타이어가 하얀 속살을 드러내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드라이버의 타이어를 사용하는 성향 차이일 수도 있겠고, 경험 차이일수도 있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는 맥라렌 팀에서 해밀튼보다는 알론소를 응원하고 있습니다.
소문에 의하면, 상하이GP에서 해밀턴이 우승을 확정지었을 경우 브라질GP에서는 알론소가 아닌 테스트드라이버 페드로델라로사가 나오기로 되어있었다고 하더군요. 해밀턴의 극적인 리타이어와 알론소의 2위로 인해 마지막까지 맥라렌으로서는 알론소를 포기할 수 없는 이유가 생기게 되어 다행스럽게 생각합니다.
해밀턴의 경우 실력도 출중하긴 하지만, 올시즌 유난히 운도 많이 따랐죠. 유로GP에서 1번코너에 빠졌다 구제되었던 것도 그렇고, 키미가 추월 시점을 잡은 순간이 하필 yellow flag 상황인 것도 그렇고 지금까지 여러모로 운이 따랐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인지, 어제 패독 입구에 빠졌을 때 마셜들이 어떻게든 구해주려고 하는 것을 보면서 고운 시선이 가지는 않더군요. ("매우" 주관적인 견해이긴 합니다 ㅎㅎ)
마싸는 아직 뭔가를 좀 더 보여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페라리 머신을 모는 드라이버라면 말이죠. 특히,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는 키미나 알론소와 어느 정도 격차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탑드라이버라고 하기엔 2% 모자란 면이 있지만, 이번 시즌 시작과 현재 사이의 발전한 기량을 보면 내년 시즌이 더욱 기대되는 드라이버입니다.
두 팀 모두 첫 핏스탑에 타이어 교체 없이 연료만을 보충하며 그립이 살아나는 타이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전략을 취했습니다. 제가 이해하기로는, 노면이 말라가는 상황에서 키미와 알론소는 타이어를 아껴가며 주행한 반면, 해밀튼의 경우 거리를 벌리기 위해 타이어에 많은 부담을 준 것이 결국 문제를 일으켰던 것으로 봤습니다. 키미에게 추월당하는 순간 이미 뒷타이어가 하얀 속살을 드러내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드라이버의 타이어를 사용하는 성향 차이일 수도 있겠고, 경험 차이일수도 있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는 맥라렌 팀에서 해밀튼보다는 알론소를 응원하고 있습니다.
소문에 의하면, 상하이GP에서 해밀턴이 우승을 확정지었을 경우 브라질GP에서는 알론소가 아닌 테스트드라이버 페드로델라로사가 나오기로 되어있었다고 하더군요. 해밀턴의 극적인 리타이어와 알론소의 2위로 인해 마지막까지 맥라렌으로서는 알론소를 포기할 수 없는 이유가 생기게 되어 다행스럽게 생각합니다.
해밀턴의 경우 실력도 출중하긴 하지만, 올시즌 유난히 운도 많이 따랐죠. 유로GP에서 1번코너에 빠졌다 구제되었던 것도 그렇고, 키미가 추월 시점을 잡은 순간이 하필 yellow flag 상황인 것도 그렇고 지금까지 여러모로 운이 따랐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인지, 어제 패독 입구에 빠졌을 때 마셜들이 어떻게든 구해주려고 하는 것을 보면서 고운 시선이 가지는 않더군요. ("매우" 주관적인 견해이긴 합니다 ㅎㅎ)
마싸는 아직 뭔가를 좀 더 보여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페라리 머신을 모는 드라이버라면 말이죠. 특히, 비가 내리는 상황에서는 키미나 알론소와 어느 정도 격차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탑드라이버라고 하기엔 2% 모자란 면이 있지만, 이번 시즌 시작과 현재 사이의 발전한 기량을 보면 내년 시즌이 더욱 기대되는 드라이버입니다.
2007.10.08 10:28:28 (*.46.148.166)

아, 그리고
4위를 차지한 S.Vettel 선수에게도 축하를 보내고 싶습니다.
지난 후지GP에서 추돌의 원인으로 해밀턴을 지목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것을 일주일만에 치러진 상하이GP에서 좋은 성적으로 만회하더군요. 중계 마지막에 보여준 "번역이 필요없는" 젊은 드라이버의 환호가 참으로 보기 좋았습니다.
4위를 차지한 S.Vettel 선수에게도 축하를 보내고 싶습니다.
지난 후지GP에서 추돌의 원인으로 해밀턴을 지목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것을 일주일만에 치러진 상하이GP에서 좋은 성적으로 만회하더군요. 중계 마지막에 보여준 "번역이 필요없는" 젊은 드라이버의 환호가 참으로 보기 좋았습니다.
2007.10.08 11:50:29 (*.127.196.140)
포이트 차이가 줄어 점점 재미있어지는군요 ^^ 맥라렌에서 1,2위를 전부 가져갈지... 페라리가 뒤집어줄지... 예측불허군요
2007.10.08 14:43:11 (*.181.107.131)

경기전 후지GP 디브리핑에서 베텔이 웨버 들이 받았을때 T-cam화면이 나왔는데...
웨버의 미등이 갑자기 가까워지는데 피할 여유가 없더군요. 브렉 타이밍은 이미 늦었고 스티어링 꺾어도 미끄러져 받을 상황이었습니다. 그렇다고 SC때 페이스랩 돌때보다 더 거리를 벌린다는것도 좀 우숩구요.
베텔 꼬마일쩍 동영상도 나왔는데... 카트로 파이런 유턴할때 슬라이드(?드리프트)하는 것이 프로급이더군요.
웨버의 미등이 갑자기 가까워지는데 피할 여유가 없더군요. 브렉 타이밍은 이미 늦었고 스티어링 꺾어도 미끄러져 받을 상황이었습니다. 그렇다고 SC때 페이스랩 돌때보다 더 거리를 벌린다는것도 좀 우숩구요.
베텔 꼬마일쩍 동영상도 나왔는데... 카트로 파이런 유턴할때 슬라이드(?드리프트)하는 것이 프로급이더군요.
2007.10.08 14:44:55 (*.79.175.195)

올해도 어느덧 마지막 브라질GP만을 남겨두었군요.. 우중출발에서 마싸를 잠깐 제친 알론소의 파이팅을 보면 세나, 슈미, 몬토야처럼 분명 자타가 인정하는 파이터임엔 분명해 보입니다.. 내년엔 어느팀에 있게될지 정말 궁금하군요..^^ 토로로소팀의 선전도 눈에 띄는군요..
BMW나 르노가 좀더 힘을내서 내년엔 다시한번 피튀는 3파전을 볼수있었으면 좋겠습니다..
BMW나 르노가 좀더 힘을내서 내년엔 다시한번 피튀는 3파전을 볼수있었으면 좋겠습니다..
2007.10.08 19:43:03 (*.81.218.57)

이번에는 피트 진입구가 바로 보이는 자리에서 봤습니다. 해밀턴 리타이어 정말 아쉽더군요. 고개숙이고 걸어가는데 이건 머... 응원하는 키미가 우승해서 기분은 좋지만, 같은 소띠 해밀턴도 응원했었거든요. 모자도 샀는데-ㅅ- 샹하이써킷 최고속은 토요일 키미가 314km/h 정도 뽑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확실히 써킷에서 보면 머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모르겠더군요. 방송이 나와도 머쉰 지나가는 소리가 워낙에 커서리;;;
2007.10.08 20:09:43 (*.81.218.57)

소리가 아까워서(???) 귀마개 안하고 봤더니 하루종일 모기가 귓속에 날아다니네요.;;; 다른분들은 서킷에서 경기 관람때 어떻게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요령같은게 있나요? 이거 몇번 가도 적응이... 거기다 비까지 오락가락하면 정신이 하나도 없습니다.ㅋㅋㅋ
2007.10.08 20:47:46 (*.114.62.39)

제 예상대로 해밀턴이 피트진입전 타이어 그립이 떨어졌었군요.
이미 피트인 수랩전에 라이코넨이 해밀턴과의 거리를 급격히 줄일 때 맥라렌팀은 뭘생각하고 있었는지 궁금하네요.
랩당 2초씩 당기는 상황에서 말입니다. 맥라렌팀에 뭔가 또 다른 사연이나 혹은 음모가 있는것인지 궁금해집니다.
송창근님 제가 보니 직선 최고속은 315km/h부근이었습니다.
이미 피트인 수랩전에 라이코넨이 해밀턴과의 거리를 급격히 줄일 때 맥라렌팀은 뭘생각하고 있었는지 궁금하네요.
랩당 2초씩 당기는 상황에서 말입니다. 맥라렌팀에 뭔가 또 다른 사연이나 혹은 음모가 있는것인지 궁금해집니다.
송창근님 제가 보니 직선 최고속은 315km/h부근이었습니다.
2007.10.09 19:46:48 (*.140.154.197)
이금준님 제가 의사로서 말씀드리는데 꼭 귀마개를 해서 귀를 보호해야합니다.
모기소리가 난다면 약간의 이명이 생기신거고 계속되면 이비인후과에 가보셔야합니다.
일시적으로라도 아마도 고음역의 청력이 떨어져있을 수도 있습니다.
예민한 분들은 한번에 귀가 완전히 먹거나 청력이 확 떨어지기도 합니다.
조심하시는 게 좋습니다.
저도 한번 머신 한대 지나가는거 본부석에서 듣고는 귀가 뭔가로 찌르는 것 같이 아파서 바로 귀마개를 했습니다.
소리를 즐기는 좋지만 잘못하면 영원히 못듣는 수도 있습니다.
모기소리가 난다면 약간의 이명이 생기신거고 계속되면 이비인후과에 가보셔야합니다.
일시적으로라도 아마도 고음역의 청력이 떨어져있을 수도 있습니다.
예민한 분들은 한번에 귀가 완전히 먹거나 청력이 확 떨어지기도 합니다.
조심하시는 게 좋습니다.
저도 한번 머신 한대 지나가는거 본부석에서 듣고는 귀가 뭔가로 찌르는 것 같이 아파서 바로 귀마개를 했습니다.
소리를 즐기는 좋지만 잘못하면 영원히 못듣는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