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교차로 회전시에도 무감각하고 자신만 편하려는 운전자들때문에 피해가 종종 생기는 걸로 생각됩니다.
예를들어 편도 4차선의 도로가 있다고 생각해봅니다.
1차 : 2차 : 3차 : 4차
좌 : 좌 : 직진 : 직진
편의상 1차로 운전자는 A
2차로 운전자는 B 라고 하겠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신호가 떨어지고
A와 B가 좌회전을 합니다.
그런데!!!!!!!
원심력을 이기지 못한(이겨낼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 핸들링!!) A의 차량이
B의 차선을 먹고 들어옵니다.
(이런 A같은 차량은 2차선에 차량이 없을경우 회전이 끝나면 한단계 아래 차선으로 달리죠;; 회전시작은 1차선, 끝은 2차선 ㄷㄷ)
이런경우 대부분 B차량이 애써 피해야 하고 그로인해 우측에서 나타나는 갑작스런 사고에 대한 책임은
B가 지게 되겠죠?
그리하여..
B는 비켜주지 않고 자신의 차선을 점거하며 회전하고 진행한다면
A와B는 접촉사고가 날 것인데요.
이런경우 책임은 누가 더 큰가요?
어쩌다 보니 저는 항상 B의 경우가 되는 case가 많은데요.
매번 스트레스를 받습니다ㅠㅠ
A의 차량을 운전하는 분들은
차선에 대한 개념이 부족한 것도 물론이거니와
자신과 탑승자의 편의만을 위해 운전하는 사람이 많은것 같습니다.
다음신호 대기때 주의를 주려해도
오히려 '내가 뭘 잘못했냐?'라는 메아리만 들릴뿐.....
1차로 정속주행 다음으로 싫어하는 운전스타일입니다 ㅠㅠ
지금 제 차량 운전석 휀다와 범퍼를 손봐야 하는 상황인데.. 나쁜맘먹고 들이댈까 하고... 0.002초 고민도 ^^;
이런거 계몽하는 봉사활동 같은것은 없는지요?
있다면 개인시간을 쪼개서라도 하고픈 마음입니다. 진심으로!!

차 앞에 불도저 삽 같은거 하나 달고 주우욱~ 밀고 싶은 마음만 매번 치밀어 오릅니다.
저도 면허 취득 시에 제대로 받지 못했던 교육 사항이라 '어쩔 수 없겠거니' 이해는 해보려 하지만, 뭔가 상식적으로는 맞지 않는 것 같아서.. 으..
더 황당한 경우는 위의 설명에서 3차선의 직진차선에서 좌회전을 하는 차가 2차선으로 밀고 들어오는 경우이지요. 1차선은 1차선차가 바깥쪽으로 붙여돌고, 3차선의 차는 2차선쪽으로 붙여돌면 2차선에 있는 차는 어디로 가야할까요?
저는 1차선에서 좌회전 하는 경우는 가능한 안쪽으로 돌고 2차선에서 좌회전 하는 경우는 가능한 바깥쪽으로 크게 도는 편입니다.
그런데 가끔은 반대쪽의 우회전 하는 차가 제가 신호받아 좌회전 하는데 멈추지 않고 우회전을 하는 경우를 당하지요.
이런 경우는 좌회전 차가 우선인데 말입니다.
우리나라도 제발 움직이고 있는 차량에서돌 잘잘못이 명확한 경우 0:100의 비율로 보상을 하게했으면 좋겠네요.
그리고 기본 운전 에티켓 교육이 면허에 필수사항이 되어야 할것 같습니다.

동일한 상황에서 Out-in-out 하는 2차선 좌회전 운전자들 때문에 요새 좀 짜증납니다.
좌회전할 때도 CP를 찍고 가려는 스트리트 레이서들... @@;;
여기서는 거의 모든 차량이 1차선에서 2차선으로 오는건 기본이고 4차선까지 가는경우가 생깁니다
저는 보통2차선에 타는편인데..... 지나갈때마다 btcc찍는 느낌입니다
무슨 크로스라인으로 주행하는것도 아니고 ㅠㅜ
사이드미러는 안중에 없는것같더군요 ㅜㅜ

위의 경우에 더해서, 4차로에서 직진하는 차가 교차로내에서 상위차로로 진입하거나,
3차로 직진차가 하위차로로 가버리는 경우도 비일비재하죠.....
가끔 타인이 운전하는 차를 타고가면서 이런식으로 행동하는 것을 볼때
왜 그랬냐고 물어보면 거의 대부분이 insight가 없습니다.
자신의 옆차로에 있던 차량이 진행할 곳이 없어진다는 생각을 한 번만 해보면
그런 짓을 안하겠지만, 이런 종류의 사람들은 운전뿐만이 아니라
평소 생활에도 타인에 대한 생각과 배려가 없는 종족들이더라구요.
[사회전체를 위한 즉각응징 및 처벌] vs [내 개인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피해가기] 사이에서 항상 갈등합니다. ^^

문득 든 생각입니다.
삼거리
1차 : 2차
좌 : 우
이 상황에서 1차로 차량이 좌회전시 하위 2차로로 자연스럽게(?) 들어가는것은 문제없다고 볼 수 있나요?
광장사거리...워커힐->강변역 방향으로 1차(직)/2차(직,좌), 3차(직), 4차(직), 5차(직,우?) 보통 2차선 차량들은 좌회전을 많이 하죠. 3차선을 이용하는 저는 정말..ㅠㅠ 4차선들의 경기버스와 택시들이 때거지로 3차선으로 변경하면서 밀어붙이는데..ㅠㅠ 2차와 3차 사이에는 유도선도 그려져있는데....ㅠㅠ 아예 2차선을 좌회전으로 맹글던지... 광장동에 사는데 버스들 너무 무서워요

교차로에서 좌회전 하는 차들을 보면, 대부분 일찍 턴인을 시작하고 스티어링휠을 덜 꺾기 때문에 라인이 부풀게 됩니다.
냉정하게 말해서 열대 중 아홉대가 이렇게 돕니다.
이는 두 가지 문제를 야기시키는데요,
첫번째로 교차로 통과를 완료할때쯤 차의 자세가 차선과 평행해야 하는데 아직도 더 돌아야 하는 자세를 하게 됩니다.
여기서 생각없는 차들은 예를 들어 1차선으로 들어가려면 더 꺾어야 함에도 꺾지 않고 2차선으로 밀고 들어오죠. 이 것이 원래 글에서 말씀하신 문제.
두번째로는 턴인을 일찍 시작했기 때문에 옆 차선을 넘어가게 됩니다. out-in-out을 구사하시는거죠.
아래 그림을 보시면 되겠습니다. 모델로는 귀염둥이 벨로스터군이 출연했습니다.
아래쪽 벨로스터가 턴인을 빨리 시작함에 따라 1차선의 초록색 정상라인을 침범하게 되고 턴을 완료해야 하는 지점에서 아직도 턴이 덜 끝나서 차의 자세가 3차선쪽을 바라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2차선 차량이 2차선에 맞추어 저런 식으로 턴을 하면 1차선 차는 중앙선 너머 반대편 차와 부딪혀야 하는 라인을 돌아야 하는 ...
면허시험볼때 유도선을 따르거나 아니면 S자 턴만 볼 게 아니라 저런 큰(?) R값의 턴을 제대로 하는 법에 대해서도 평가해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또 한가지 문제는 이 회전유도선 조차 제대로 안 그려져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죠... 너무나 이른 턴인을 유도하게 그려진 회전유도선들도 있습니다. 보통 교차로에는 횡단보도도 같이 그려져 있는데 횡단보도를 통과하는 중에는 직진을 해야 제대로된 회전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횡단보도가 시작되자마자 스티어링휠을 꺾더군요. 그러면 결국 R값이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
제 생각에 우리나라 운전자들이 이렇게 운전하는데에는 쓸데없이 넓은 도로가 한 영향을 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전 왕복 8차선짜리 도로 한개를 만드는 것보다 왕복 4차선짜리 도로 두개를 만드는게 도로 이용의 효율이나 올바른 운전질서 확립에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대부분의 관심없는 사람들에게 넓은 도로는 이용효율이 너무 떨어집니다.

그래서 좌회전차선이 2개인 경우 절대 2차선에 서지 않습니다. 한 두번 당한 것이 아니라서 말이죠. 심지어 공사구간처럼 길이 약간 커브져 있는 구간에서 옆차선에서 잘 가다가 커브 따라가지 않고 아무 생각없이 직진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제경우 제일 앞에서 출발 하게되는 경우 이것저것 피하기 싫어서 급출발 해버립니다
같이 뭍어가는 경우에는 왼쪽 오른쪽 피해 다니려면 경로를 따라갈 수 가 없더군요
지키면서 살기 힘든 세상입니다 그냥 피해나 당하지 말아야지 하면서 다닙니다
저는 그런차있으면 오히려 확 꺾어서 제가 1차로 쪽으로 들어갈거처럼 차량움직임을 오버해서 순간 보여줍니다.
열에 아홉은 움찔해서 지차선으로 돌아갑니다:)
1차선 2차선 둘다 좌회전차선일경우 좌회전해서 진입하는 교차로의 차선도 1 2 차선으로 진입하여야합니다
만약 회전시에 차선을 변경하는경우라면 회전위반에 해당되며 가해자가되구요
근데 차선진입거의다해서 사고나는경우라면 모를까회전반경이라는게 딱히 정해져있지않으므로 통상 5:5가 나옵니다.
방어운전하거나 아니면 적극적으로 공격해서 밀어버리면되지않을까요....
전 밀어버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