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9월에 태백 주행을 다녀왔었습니다.
가기 전에 중고시장에 매복중 중고 50% 이상 남은 것이 레이더에 걸렸습니다.
그래서 좋아라 하고 냅다 구입했었지요
근데 이 타이어 밸런스 깨져 있었던 것이였습니다.
아무튼 4짝을 바꾸면서 앞쪽은 새것을 뒤는 그 중고를 끼웠는데요
바꾼 이후로 하체에선 오만 잡소리와 턱턱 쳐대는 하드한 쇽의 반응..
그것들이 죄다 오래된 차라서 그런줄 알았단 거죠.
사실 이렇게 까지 타이어의 영향력이 큰가하고 지금까지 생각하다가
어제 이번주 토욜 태백 주행을 예정하는지라
뒷쪽 브레이크 패드가 지난 여름에 바꾼 것이지만
마모가 좀 빠르게 진행되어 교체하면서 타이어를 바꾸자하고 급 생각의 전환..
주로 거래하는 타이어샵에 연락후 양재동에서 잽싸게 광명으로 달렸갔습니다.
그리고 교체하고 아직 쓸만한 타이어 버리고 부평 집으로 고홈 했습니다.
와 .. ㅠ.ㅠ 감동이 쫘악 밀려오더군요..
다른 세계가 열리고 제모빌이 이처럼 조용하고 얌전했던 차였나 싶을 정도로 -_ㅜ
하체가 떠는 것도 타이어가 차지하는 포지셔닝이 대단하다는 점과
그것이 하체 다 망가트리더군요 ㅠ.ㅠ
[참고로 지난 한달동안 뒷쪽 허브 다 갈고 어제 보니 뒷쪽 켈리버가 터지져 있고
서스펜션 갈고 오버홀 하고 시간과 금전적인 피해가 ㅠ.ㅠ]
개인 중고 이젠 안쓰리 ;; 다짐해봅니다..
가기 전에 중고시장에 매복중 중고 50% 이상 남은 것이 레이더에 걸렸습니다.
그래서 좋아라 하고 냅다 구입했었지요
근데 이 타이어 밸런스 깨져 있었던 것이였습니다.
아무튼 4짝을 바꾸면서 앞쪽은 새것을 뒤는 그 중고를 끼웠는데요
바꾼 이후로 하체에선 오만 잡소리와 턱턱 쳐대는 하드한 쇽의 반응..
그것들이 죄다 오래된 차라서 그런줄 알았단 거죠.
사실 이렇게 까지 타이어의 영향력이 큰가하고 지금까지 생각하다가
어제 이번주 토욜 태백 주행을 예정하는지라
뒷쪽 브레이크 패드가 지난 여름에 바꾼 것이지만
마모가 좀 빠르게 진행되어 교체하면서 타이어를 바꾸자하고 급 생각의 전환..
주로 거래하는 타이어샵에 연락후 양재동에서 잽싸게 광명으로 달렸갔습니다.
그리고 교체하고 아직 쓸만한 타이어 버리고 부평 집으로 고홈 했습니다.
와 .. ㅠ.ㅠ 감동이 쫘악 밀려오더군요..
다른 세계가 열리고 제모빌이 이처럼 조용하고 얌전했던 차였나 싶을 정도로 -_ㅜ
하체가 떠는 것도 타이어가 차지하는 포지셔닝이 대단하다는 점과
그것이 하체 다 망가트리더군요 ㅠ.ㅠ
[참고로 지난 한달동안 뒷쪽 허브 다 갈고 어제 보니 뒷쪽 켈리버가 터지져 있고
서스펜션 갈고 오버홀 하고 시간과 금전적인 피해가 ㅠ.ㅠ]
개인 중고 이젠 안쓰리 ;; 다짐해봅니다..
2007.10.25 10:45:11 (*.109.18.119)

아무리 하체의 다른 부분이 중요해도 결국 노면과 닿아서 동력을 전달하는 최종부분은 타이어입니다. ^^ SF시합하면서 타이어의 마모도와 공기압이 움직임에 정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라는 것을 뼈저리게 실감했습니다.
2007.10.25 11:22:32 (*.178.101.34)

중고도 잘 고르면 괜찮더군요.......^^
저는 새것과 중고를 적절하게 섞어서 씁니다...
상야상태 꼼꼼하게 보게 되더군요....(중고를 몇번 씩 쓰다보니..)
더군다나 중고를 중점적으로 취급하는곳이 있는데..
거기는 사이즈별로 보관을 하는곳이라... 오히려 더 믿고 고를수 있는 폭이 커서 좋더군요..^^
저는 새것과 중고를 적절하게 섞어서 씁니다...
상야상태 꼼꼼하게 보게 되더군요....(중고를 몇번 씩 쓰다보니..)
더군다나 중고를 중점적으로 취급하는곳이 있는데..
거기는 사이즈별로 보관을 하는곳이라... 오히려 더 믿고 고를수 있는 폭이 커서 좋더군요..^^
2007.10.25 11:33:18 (*.145.162.179)

신품 타이어도 그런 경우 종종 있습니다. 신차에 그런 타이어가 신겨 나온 경우가 몇 번 있었는데 얼라인먼트를 봐도 차가 똑바로 잘 안가고 승차감 안좋아서 쇼바 나간 것으로 착각되고.. 결국 차가 나빠서 그렇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키더군요. 미케닉들도 도저히 답을 못 찾고..
의외로 타이어가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있으며 증빙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한국의 타이어수입사들이 인정도 잘 하지 않구요.
의외로 타이어가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있으며 증빙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한국의 타이어수입사들이 인정도 잘 하지 않구요.
2007.10.25 13:44:06 (*.229.105.145)

ㅎㅎ 된통 당하셨군요.
평소에도 차 뜰대마다, 타이어의 내외측이나 전체 마모상태,, 혹시 벗겨진 숄더부분이 없는지, 자신의 타이어 상태를 늘~모니터링 해놓는게 유익합니다. 네개의 타이어 각부의 특성을 꿰차고 있으면, 주행중 느낌에 따라 미리 대처할 수 있는 여유가 생깁니다.
제 경우는, 모든 타이어를 거의 실밥이 터질때까지 쓰는데.. 위태한 타이어를 정확히 알고있으면, 주행중 껍데기가 벗겨져 다다다다~ 소리가 나도 당황없이, " 아~왼쪽 뒤께 다됐구나~" 하고 서행해서 복귀해 교환 수리하곤 하지요. 이엡의 우후륜은, 1년 여전 새로 장착한지 이틀만에 숄더 송곳테러를 당했는데, 타이어 내측 구조를 알고있어 살펴보니, 가장 두꺼운 부분이길래, 지렁이 박아 그냥 타는데.. 생각날때마다 상태를 살피고 모니터링하니, 200 넘는 주행 후에도 별 지장을 못느낍니다.
평소에도 차 뜰대마다, 타이어의 내외측이나 전체 마모상태,, 혹시 벗겨진 숄더부분이 없는지, 자신의 타이어 상태를 늘~모니터링 해놓는게 유익합니다. 네개의 타이어 각부의 특성을 꿰차고 있으면, 주행중 느낌에 따라 미리 대처할 수 있는 여유가 생깁니다.
제 경우는, 모든 타이어를 거의 실밥이 터질때까지 쓰는데.. 위태한 타이어를 정확히 알고있으면, 주행중 껍데기가 벗겨져 다다다다~ 소리가 나도 당황없이, " 아~왼쪽 뒤께 다됐구나~" 하고 서행해서 복귀해 교환 수리하곤 하지요. 이엡의 우후륜은, 1년 여전 새로 장착한지 이틀만에 숄더 송곳테러를 당했는데, 타이어 내측 구조를 알고있어 살펴보니, 가장 두꺼운 부분이길래, 지렁이 박아 그냥 타는데.. 생각날때마다 상태를 살피고 모니터링하니, 200 넘는 주행 후에도 별 지장을 못느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