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자동차 번호판 장식 ‘불법이다 VS 지나친 규제다’
[2007.10.26 18:11]
[쿠키 사회] 세로가 짧고 가로가 긴 ‘유럽형 번호판’이 도입된 이후 스티커를 이용해 자동차 번호판을 꾸미는 행위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성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스티커 부착행위는 현행 법상 단속대상이라 번호식별에 장애가 없는 장식까지 규제하는 것은 지나친 게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스티커 한장으로 외제차 흉내내기=회사원 서모(27)씨는 두달전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번호판에 붙일 조그만 스티커를 구입했다. 스티커 윗부분에는 유럽연합을 상징하는 별 모양이 그려져있고 아랫부분에는 알파벳 문자들이 크게 적힌 것이다. 번호판 한쪽 끝에 세로로 길게 붙이면 영락없는 유럽 자동차 번호판으로 보인다. 서씨는 26일 “5000원을 주고 구입했는데 하얗기만 한 기존 번호판에 비해 훨씬 세련돼 보인다”며 “얼핏 보고 수입차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11월부터 가로 52㎝, 세로 11㎝의 신규 번호판이 도입되면서 서씨처럼 장식용 스티커를 번호판에 붙이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다. 서울 강남 일대에서는 이같은 차량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일부 운전자는 한발 더 나아가 자신과 애인의 이름 이니셜을 아래 위로 새기거나, 의미있는 문자 또는 각종 문양으로 디자인한 스티커를 주문제작해 번호판에 달고 다닌다.
◇100만원 이하 벌금 vs 지나친 규제= 스티커를 판매하는 인터넷 사이트에는 위법 여부를 문의하는 글들이 잇따르고 있다. 하지만 판매업자들은 “번호판 식별을 방해하지 않으니 괜찮다”고 고객들을 안심시키고 있다.
그러나 스티커 부착 행위는 명백한 불법이다. 자동차 관리법 10조 5항은 ‘누구든지 등록번호판을 가리거나 알아보기 곤란하게 하여서는 아니되며 그러한 자동차를 운행하여서는 아니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를 위반할 경우 1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진다. 건설교통부 관계자는 “번호판을 가린 정도에 따라 벌금 액수는 다르겠지만 어쨌든 불법”이라며 “일선 경찰서에서 단속 여부에 대해 종종 문의해오는데 그때마다 불법이니 처벌하라고 알려주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요즘같은 개성 시대에 작은 스티커까지 단속하는 건 지나치다는 주장도 적지 않다. 행정개혁시민연합 서영복 사무처장은 “미국의 경우 일정액 이상을 기부하면 자기만의 특별한 번호판을 발급받을 수 있다”며 “국가가 먼저 다양한 번호판 디자인을 제시해 선택의 기회를 넓혀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김원철 기자 wonchul@kmib.co.kr
--------------------------------------------------------------------------------
요즘에 부쩍 더 많이 보이는듯 하던데... 공무원여러분들이 이런 점들 미리 벤치마킹해서 이쁜 번호판을 만들었었더라면 더 좋았을텐데라는 생각이 듭니다.
[2007.10.26 18:11]
[쿠키 사회] 세로가 짧고 가로가 긴 ‘유럽형 번호판’이 도입된 이후 스티커를 이용해 자동차 번호판을 꾸미는 행위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성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스티커 부착행위는 현행 법상 단속대상이라 번호식별에 장애가 없는 장식까지 규제하는 것은 지나친 게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스티커 한장으로 외제차 흉내내기=회사원 서모(27)씨는 두달전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번호판에 붙일 조그만 스티커를 구입했다. 스티커 윗부분에는 유럽연합을 상징하는 별 모양이 그려져있고 아랫부분에는 알파벳 문자들이 크게 적힌 것이다. 번호판 한쪽 끝에 세로로 길게 붙이면 영락없는 유럽 자동차 번호판으로 보인다. 서씨는 26일 “5000원을 주고 구입했는데 하얗기만 한 기존 번호판에 비해 훨씬 세련돼 보인다”며 “얼핏 보고 수입차로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11월부터 가로 52㎝, 세로 11㎝의 신규 번호판이 도입되면서 서씨처럼 장식용 스티커를 번호판에 붙이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다. 서울 강남 일대에서는 이같은 차량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일부 운전자는 한발 더 나아가 자신과 애인의 이름 이니셜을 아래 위로 새기거나, 의미있는 문자 또는 각종 문양으로 디자인한 스티커를 주문제작해 번호판에 달고 다닌다.
◇100만원 이하 벌금 vs 지나친 규제= 스티커를 판매하는 인터넷 사이트에는 위법 여부를 문의하는 글들이 잇따르고 있다. 하지만 판매업자들은 “번호판 식별을 방해하지 않으니 괜찮다”고 고객들을 안심시키고 있다.
그러나 스티커 부착 행위는 명백한 불법이다. 자동차 관리법 10조 5항은 ‘누구든지 등록번호판을 가리거나 알아보기 곤란하게 하여서는 아니되며 그러한 자동차를 운행하여서는 아니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를 위반할 경우 1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진다. 건설교통부 관계자는 “번호판을 가린 정도에 따라 벌금 액수는 다르겠지만 어쨌든 불법”이라며 “일선 경찰서에서 단속 여부에 대해 종종 문의해오는데 그때마다 불법이니 처벌하라고 알려주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요즘같은 개성 시대에 작은 스티커까지 단속하는 건 지나치다는 주장도 적지 않다. 행정개혁시민연합 서영복 사무처장은 “미국의 경우 일정액 이상을 기부하면 자기만의 특별한 번호판을 발급받을 수 있다”며 “국가가 먼저 다양한 번호판 디자인을 제시해 선택의 기회를 넓혀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김원철 기자 wonchul@kmib.co.kr
--------------------------------------------------------------------------------
요즘에 부쩍 더 많이 보이는듯 하던데... 공무원여러분들이 이런 점들 미리 벤치마킹해서 이쁜 번호판을 만들었었더라면 더 좋았을텐데라는 생각이 듭니다.
2007.10.26 20:49:56 (*.231.200.86)

개인 취향의 문제이겠지만..결국 GM '대우' 차량에 '시보레' 마크 달고 다니는 분들과
같은 심리적 욕구에 기인하는 일 아닐까 하네요..저도 SM을 타고 다니지만 SM에 니산
앰블럼 다신 분들도 꽤 되시죠^^
같은 심리적 욕구에 기인하는 일 아닐까 하네요..저도 SM을 타고 다니지만 SM에 니산
앰블럼 다신 분들도 꽤 되시죠^^
2007.10.26 20:55:20 (*.134.10.109)
배재범/헉..그렇다면 번호판에 D마크를 달고 다니시는 분들은 알고 보면 독일인이시거나 수입후 국내 재조립?
하하 농담입니다만 그래도 국적마크와 브랜드를 같은 선상에 놓기엔 좀..;;;
하하 농담입니다만 그래도 국적마크와 브랜드를 같은 선상에 놓기엔 좀..;;;
2007.10.26 21:26:31 (*.38.79.145)

음... 저도 번호판을 eu국가의 번호판처럼 데코레이션 했지만
정확한 제 주관은 유럽국가를 동경하거나 국적을 모방한것처럼
보이기 위해서라보단..단지 개인 취향을 반영한 '데코레이션'이라
말하고 싶네요(흰 번호판에 파란색 탭은 사실 상큼하게 보이기는 합니다)
더불어 스티커따위와 비교 되지 않게 시중 판매 되는 번호판 프레임
중에는 번호판 양쪽을 거의 다 가린다던지 (혹은 일부) 프레임에
큰 브랜드 로고가 있는등의 제품들도 심심치 않게 봅니다.
이런것은 어떻게 설명 해야할지..규제기준이 불명확하다고 생각되는군요
정확한 제 주관은 유럽국가를 동경하거나 국적을 모방한것처럼
보이기 위해서라보단..단지 개인 취향을 반영한 '데코레이션'이라
말하고 싶네요(흰 번호판에 파란색 탭은 사실 상큼하게 보이기는 합니다)
더불어 스티커따위와 비교 되지 않게 시중 판매 되는 번호판 프레임
중에는 번호판 양쪽을 거의 다 가린다던지 (혹은 일부) 프레임에
큰 브랜드 로고가 있는등의 제품들도 심심치 않게 봅니다.
이런것은 어떻게 설명 해야할지..규제기준이 불명확하다고 생각되는군요
2007.10.26 21:32:33 (*.254.217.154)

취향을 존중해 드리고 싶은게 제 개인적 바램이지만,
공적인 성격을 띄는 번호판에 하는 장식은 피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공적인 성격을 띄는 번호판에 하는 장식은 피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2007.10.26 21:34:55 (*.231.200.86)

동일선상에서 비교하자 라기 보다는
그 욕구의 근원은 결국 같은게 아닐까...라는
개인적인 생각 입니다...너무 노여워 마세요^^
그 욕구의 근원은 결국 같은게 아닐까...라는
개인적인 생각 입니다...너무 노여워 마세요^^
2007.10.26 21:35:35 (*.214.96.8)

공무원들의 어이없는 액션도 문제 아닐까요?
출고 이후는 다 불법 부착물이다...라는 기준을 가진 분이 뭘 하겠습니까?
번호판도 돈 더받고 원하는 번호 팔면 좋치 않습니까 왜 번호를 꼭 뽑기를 해야 해고 대한민국 1번 번호차량은 최고 통수권자의 차량이 되어야 하느지요??
그게 권위주의 아닌가 합니다...
출고 이후는 다 불법 부착물이다...라는 기준을 가진 분이 뭘 하겠습니까?
번호판도 돈 더받고 원하는 번호 팔면 좋치 않습니까 왜 번호를 꼭 뽑기를 해야 해고 대한민국 1번 번호차량은 최고 통수권자의 차량이 되어야 하느지요??
그게 권위주의 아닌가 합니다...
2007.10.26 21:45:12 (*.36.215.11)
헉..배재범님이 뭔가 오해를 하신듯..;;
전 농담이었어요..-ㅁ-;
그냥 상상해 보니 엉뚱한 상상이 들어서;;;
노여워 하다니 당치도 않아요~~;;
저야말로 번호판에 유럽국가코드 붙이신 분들이 제 의견을 읽고 노여워하실까봐 부담스럽군요..흠흠
전 농담이었어요..-ㅁ-;
그냥 상상해 보니 엉뚱한 상상이 들어서;;;
노여워 하다니 당치도 않아요~~;;
저야말로 번호판에 유럽국가코드 붙이신 분들이 제 의견을 읽고 노여워하실까봐 부담스럽군요..흠흠
2007.10.26 21:46:48 (*.150.199.100)

원래 번호판은 아무것도 부착하면 안되게 되어있습니다. 차체에도 스티커 붙이고 개성을 표시할 부분이 많은데 굳이 번호판을 유럽처럼 보이게 하기 위한 것은 저는 반대의견입니다. 거꾸로 그동안 미국식이었을 때는 그렇지 않았다가 요즘 갑자기 많이 하는 것은 일시적인 유행이 아닐까 합니다.
2007.10.26 23:13:49 (*.119.4.198)

예전부터 이런저런 말들이 많았습니다만
저도 얼마전부터 부착하고 다닙니다.
이니셜로 'KO' 라고 한국차량임을 나름 표방하는 스티커죠. ㅎ
번호가 가려지지 않음에도 무조건적으로 번호판에 아무것도 부착못하게 되어있는 법은
저로서는 이해하기가 힘드네요. '판독불가 가능성' 이 있는 경우라면 모를까 그렇지 않다면
쓸데없는 참견이 아닐까합니다.
그런거 단속할 시간에 심하게 때타고 훼손되어 번호판별이 불가한 화물차들이나 단속해
주었으면 합니다. (후미등이 죄다 부서진 차들도 함께요.)
항상 안전운전하세요. ^-^;;
저도 얼마전부터 부착하고 다닙니다.
이니셜로 'KO' 라고 한국차량임을 나름 표방하는 스티커죠. ㅎ
번호가 가려지지 않음에도 무조건적으로 번호판에 아무것도 부착못하게 되어있는 법은
저로서는 이해하기가 힘드네요. '판독불가 가능성' 이 있는 경우라면 모를까 그렇지 않다면
쓸데없는 참견이 아닐까합니다.
그런거 단속할 시간에 심하게 때타고 훼손되어 번호판별이 불가한 화물차들이나 단속해
주었으면 합니다. (후미등이 죄다 부서진 차들도 함께요.)
항상 안전운전하세요. ^-^;;
2007.10.27 01:14:08 (*.229.105.145)

94년 즈음, 스티커나 부착물이 불법규제 되던때..콩코드 본넷에 20센치길이의 펜즈오일 스티커를 붙혔다고 단속받은적이 있었는데, 지금은 혐오감을 주지않는 한도내에서 자유롭게 되어있습니다. 빨간앙마 번호판에 작년말 파랑색 포인트 스티커를 붙혔는데, 음주및 검문검색을 수십번 지나쳐도 어느 경찰도 뭐라지 않더군요.
원칙은 필요하지만, 우리 경찰들도 그렇게 진부하진 않은듯 합니다. 이쁜건 알아가지고..^^ 센스있는 오너들이 트렌디하게 행하는 일들이, 범죄에 이용되지 않는한 점차적으로 개방되는거 같습니다. 이제.거의 모든 튜닝도 구변만하면 합법화되는 문화까지 왔는데.. 국내 교통행정, 그리 경직되진 않았다고 봐지는데요. ^^
원칙은 필요하지만, 우리 경찰들도 그렇게 진부하진 않은듯 합니다. 이쁜건 알아가지고..^^ 센스있는 오너들이 트렌디하게 행하는 일들이, 범죄에 이용되지 않는한 점차적으로 개방되는거 같습니다. 이제.거의 모든 튜닝도 구변만하면 합법화되는 문화까지 왔는데.. 국내 교통행정, 그리 경직되진 않았다고 봐지는데요. ^^
2007.10.27 04:01:49 (*.62.231.13)

그냥 슬프죠. 얼마나 디자인이 마음에 안들면 EU로고 스티커까지 붙이겠습니까. (개인적으로는 강희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물론, 미국에서도 특정 주에서는 매년 등록갱신스티커를 번호판에 붙이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어디까지 통일된 규격에 번호판 보는데 불편하지 않은 정도니까요)
2007.10.27 05:11:40 (*.86.120.194)

근데 사실상 법이란게 지키라고 있는것이고
만약 정말 아니라면 법을 바꿔달라고 하는게 맞는것일듯해요
배기 구조변경하지 않고 데시벨 100넘기면서 공도에서 타는것도 남에게 피해를 준다고 생각해서 적당히 타협하는 수준으로 조용하면서 취향에 맞는 배기를 만들어서 구조변경 받고 탔던 기억도 있네요..
번호판은 남에게 피해를 주지는 않지만..
법은 지켜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그냥 ..어꺠 피고 다니기 위해서 지키는 편입니다..
만약 정말 아니라면 법을 바꿔달라고 하는게 맞는것일듯해요
배기 구조변경하지 않고 데시벨 100넘기면서 공도에서 타는것도 남에게 피해를 준다고 생각해서 적당히 타협하는 수준으로 조용하면서 취향에 맞는 배기를 만들어서 구조변경 받고 탔던 기억도 있네요..
번호판은 남에게 피해를 주지는 않지만..
법은 지켜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그냥 ..어꺠 피고 다니기 위해서 지키는 편입니다..
2007.10.27 10:48:52 (*.229.105.145)

번호판을 꾸미는 일이, 꼭 '매니아' 라서는 아니지만, 글쎄요.. 일반오너도 마찬가지지만, 여기 테드회원분들 중, 고속도로 110 km 이내 정속주행을 지키는 분이 계실까요? 제 생각은.. '법' 이란 관례와 상식, 명분을 따르는것이지 그 위에 있다고 보지 않습니다. 법을 지키는 대다수 사람이 필요하듯, 경계를 넘나드는 프론티어(?)들도 꼭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과거 불법 튠한 차들이 도로에서 방방거리고 다닐땐, 단속 대상이였지만.. 한곳에 모여 경기를 하거나 퍼포먼스 드라이빙을 하면, 집행자인 경찰들도 신기해서 함께 구경하곤 하지요. 번호판의 경우도.. 오히려 앞서있는 매니아들이, 누가 뭐라기 어렵게 예쁜 디자인을 제안하고 오너들사이에 선도한다면, 자연스레 인정될겁니다. EU 연합의 번호판을 모방하는건 그네들이 자동차 선진국이고, 선호된다는 점에서 자연스럽습니다.
한류열풍을 살펴보면 일본의 경우.. 좋으면 좋다. 선호되면 열광하고, 매우 솔직한거 같아 참 좋더군요. 그들의 미국과 독일에 대한 선호도도 대단하죠. 애국심에 '따라하지 말자~'는 생각도 조금은 진부하다는 느낌입니다.
과거 불법 튠한 차들이 도로에서 방방거리고 다닐땐, 단속 대상이였지만.. 한곳에 모여 경기를 하거나 퍼포먼스 드라이빙을 하면, 집행자인 경찰들도 신기해서 함께 구경하곤 하지요. 번호판의 경우도.. 오히려 앞서있는 매니아들이, 누가 뭐라기 어렵게 예쁜 디자인을 제안하고 오너들사이에 선도한다면, 자연스레 인정될겁니다. EU 연합의 번호판을 모방하는건 그네들이 자동차 선진국이고, 선호된다는 점에서 자연스럽습니다.
한류열풍을 살펴보면 일본의 경우.. 좋으면 좋다. 선호되면 열광하고, 매우 솔직한거 같아 참 좋더군요. 그들의 미국과 독일에 대한 선호도도 대단하죠. 애국심에 '따라하지 말자~'는 생각도 조금은 진부하다는 느낌입니다.
2007.10.27 11:20:07 (*.229.137.2)

이익렬님 글은 내용이 뚜렸한데, 읽으면서 상대방이 기분이 상하지 않게 조용조용하게 말씀하는 것이 기분 좋습니다. ^^
글 하나씩 읽고 내려올 때마다, 줏대없이 이 말도 맞네~ 오. 그래 이말도 좋아. 하고 있네요;;;
글 하나씩 읽고 내려올 때마다, 줏대없이 이 말도 맞네~ 오. 그래 이말도 좋아. 하고 있네요;;;
2007.10.27 15:49:42 (*.36.215.11)
이익렬님의 말씀처럼 예전에 불법이었던게 지금은 아닌경우가 있듯이 시간이 지나면 우리나라에서도 유럽이나 타 국가들 처럼 번호를 선택한다던지 하는 자율적인 부분이 생겨나겠죠.
하지만 타 국가의 국가코드를 부착한다는 건 교통문화 및 시스템이 선진화 되면 될수록 불가능한 일 아닐까요?
정작 유럽에서 이런 행위를 한다면 가차없이 제제를 당한다는 사실처럼 말이죠.
차에 부착하는 국가코드는 그 차가 어디서 만들어졌느냐가 아니라 그 차가 어는 국가에 등록되어 있느냐를 알아보기 위함이라는 것 많은 분들이 간과하고 계신것 같습니다.
육로로 국경을 넘나들 수 없는 우리의 현실이 이런 행동의 심각성으로부터 둔해지게 하는 건 아닌지 생각해 봤습니다.
하지만 타 국가의 국가코드를 부착한다는 건 교통문화 및 시스템이 선진화 되면 될수록 불가능한 일 아닐까요?
정작 유럽에서 이런 행위를 한다면 가차없이 제제를 당한다는 사실처럼 말이죠.
차에 부착하는 국가코드는 그 차가 어디서 만들어졌느냐가 아니라 그 차가 어는 국가에 등록되어 있느냐를 알아보기 위함이라는 것 많은 분들이 간과하고 계신것 같습니다.
육로로 국경을 넘나들 수 없는 우리의 현실이 이런 행동의 심각성으로부터 둔해지게 하는 건 아닌지 생각해 봤습니다.
2007.10.27 17:49:06 (*.34.101.144)
익렬님......저는 고속도로 110km/h이내 정속주행을 아주 잘 지킵니다. 그 이상을 넘어본 일이 딱 3번밖에 안되네요..........
2007.10.27 22:13:10 (*.229.105.145)

원보님 순~ 고진말..전에 와인딩 동영상 보니, 70 km 이내로 달려야 하는 국도에서 120 넘겨 달리는거 같던데요. 클릭은 3단 풀알피엠서 140 넘어가는거 아시지요? ^^
영국이나 독일에서 사용하는 여권이 멋있어 보인다고 우리 여권의 겉모양을 그리 바꾼다고 생각해 본다면 지나친 비약일지...
우리가 현재 유럽에 있다면 이러한 행동에 대해 국가가 가만히 보고만 있을까요?
그나마 이런 행위가 그동안 공공연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은 우리의 행정과 단속이 얼마나 허술하고 낙후되어 있는지 보여주는 것은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