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어제부터 쏘나타 하이브리드엔 토크컨버터가 없다는 말이 정말인지 열심히 뒤지고 있습니다.
찾아보니 정말 없네요..
대신 습식 다판 클러치를 썼다고 하고요, 이 부분은 이전 하이브리드 모델인 아하도 마찬가지입니다.
둘의 차이점은 6단 자동이냐 아니면 CVT 이냐 네요..
그렇다면 예전 EF와 옵티마에 들어간 CVT도 습식클러치를 썼나 싶어 찾아보니..
이건 관련 정보가 없나봅니다;;;
그래서 갑자기 왜 습식 클러치를 쓰기 시작했을까...
습식 클러치가 토크컨버터보다 좋은 점이 무엇인지 궁금해서 생각해본 것이
1. 토크 손실이 적다
2. 무게가 가볍다
요 정도 입니다..;;
그 다음 대형 트럭에 들어가는 자동변속기는 그럼 뭘 쓰나 싶어 찾아보니
현대 트라고에 들어가는 ZF 미션은 건식 클러치를 쓰네요..
그리고 다른 현대 트럭에 들어가는 앨리슨 자동은 토크컨버터 방식을 씁니다..(근데 오일 교환주기가 48만km;;;;)
여기까지 찾아보고 혼란에 빠졌습니다.
건식클러치 방식이 아직 허용토크가 약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트라고에 들어가는 것으로 봐서 그건 아닌 것 같고요..
근데 다시 생각해보면 수동변속기와 유사한 방식인데 허용토크가 낮진 않을 것 같지만..
그럼 변속충격이 상당히 클까? 싶어도 실제 굴러다니는 트럭을 보면 그리 충격이 크진 않아 보이고요..
토크컨버터 방식이 효율이 떨어져서 트럭엔 안쓸거라고 생각했는데 앨리슨은 토크컨버터 방식이고요..;;
도대체 이 세 가지 방식이 어떤 장단점을 갖고 있는지..
정리 좀 부탁드립니다... ㅜ.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