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저 혼자서는 근 3년, 색시랑 같이는 약 1년 동안 고민해 온 결과, 대한민국의 평범한 30대에게는 별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어 K5로 결정하고, 드디어 그 K5가 며칠 뒤, 7월 7일이면 출고 된다고 합니다. :)
평일에다 둘 다 직장 다니고,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아마 제가 차를 볼 수 있는 건 다음 주말, 혹은 그 다음 주말이나 되어야 할거에요.
새 차 사 보는 것이 처음이라 무척 설렙니다.
요즘 여러 자동차 동호회나 주위 지인들을 살펴보면, 새 차 구입 후 참 많은 것들을 하시더라구요.
네비+후방카메라+샤크안테나 매립, 블랙박스 설치, 윈도우 틴팅, 언더코팅 등등등...
이미 새 차 구입만으로도 지출이 예상 보다 많기에 추가 지출은 최소화 하려고 생각합니다.
모르는 길 다닐 일도 별로 없으니 네비도 생략? 급할 땐 아이폰으로 해 봐도 되겠고...
후방카메라는 커녕 센서도 없는 차를 여태 잘 몰았으니, 이제는 센서가 있으므로 후방카메라까지는 사치가 아닐까?
BMW와 Benz에서 샤크 안테나 처음 달고 나올 때는 그게 그렇게 멋져보이더니, 이젠 안 달린 차가 없어서 별로 땡기지도 않고...
블랙박스는 다들 추천하시던데 꼭 해야 할까?
윈도우 틴팅은 가격이 하늘과 땅 차이던데 어느 선에서 결정하는 것이 좋을까?
언더코팅은 자기 만족이라는 말도 많은데 정말 그런거라면 생략할까?
저와 색시 생각엔 적당한 틴팅과 블박은 추가로 생각해 볼까 하는데요, 차량 운행이 많지 않을거라 꼭 필요할지 모르겠습니다.
영업사원이 루마 15만원짜리를 무려 10만원 정도에 자기가 할 수 있는데, 서비스로 해 주겠다는 연락이 있었다는군요. 이걸 하고 그냥 다녀도 될지...
회원님들 생각하시기에 새 차에 꼭 필요한 출고 후 작업이 있다면 뭐가 있을지 알려주세요.
위에 생각해 본 것 외에도 알려주셔도 됩니다. 단, 더 빨리, 더 세게 달리기 위한 작업은 사양하겠습니다. :)
참, K5 럭셔리 트림에 스노우화이트펄, 통풍시트만 옵션으로 넣었습니다.
자유였습죵.
꾸벅~! :)
http://jayoo.org

제가 지금 차를 산다면 선팅+네비매립+후방카메라 딱 요렇게 하겟네요... 어차피 네비 매립하면서 usb 단자나 아이팟 단자지원은 다 되는거고.. (아..요즘차는 다 달려서 나오죠?)
언더코팅은...차 10년 이상 탈 일이 없을듯해서 필요없고.. 광택이나 코팅은 차사고 1-2년 뒤에 한번 해주면 되고...
블랙박스는 조금 고민이긴한데... 실제로 블랙박스있다고 사고시 과실 비율이 뒤집히는 일은 거의 없을듯해서...

김인현님과 제가 생각하는 우선순위가 같네요. 저도 저 순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일전에 Album란에서 틴팅을 안 하시는 분의 사진과 이야기를 봤지만, 뜨거운 햇빛도 가리고, 프라이버시도 좀 챙기고 싶은 마음에 생략하진 못 하겠더군요.
지금 네비를 쓰고 있습니다만, 네비 달린 차를 처제에게 넘길거고, 아무래도 운전이 서툰 처제에게 네비가 더 필요할테니 그냥 달아 보낼까 해요. 어차피 다니던 길만 주로 다니는데다, 제한 속도를 10km/h 이상 넘기는 일도 극히 드물어서 없이 지내볼까 해요. 가장 큰 이유는 돈이 없어서... (ㅠㅠ)
저도 후방카메라 달린 차를 제대로 몰아본 적이 없고, 심지어 센서 있는 차도 부모님, 형제들 모두 없어요. 센서만 있어도 훨씬 간편하고 쉽지 않을까 합니다.

기아차도 썬팅 쿠폰이 나오니 루마로 하지말고 모비스 썬팅필름으로 해달라고 하세요. 루마는 워낙 짝퉁도 많고 보증서 있는 것 아니면 성능도 영 시원찮습니다. 오히려 출고사은품으로 제공되는 모비스 썬팅필름이 열차단율 40% 정도 되고 원가도 더 비쌉니다.
후방카메라 없이 다니다가 요즘 차들은 후방시야가 너무 안좋아서 기존에 있는 네비와 연결했더니 주차선보고 하면 아줌마도 쉽게 후진주차할 정도로 유용하네요. 한 차는 후방감지기 없이 후방카메라만 있고 다른 차는 후방감지기 있고 후방카메라가 없는데 후방카메라만 있는 것이 더 편합니다. 후방감지기는 자꾸 삑삑거리기는 하는데 어느쪽에 있는지 구별도 안가니까요.
네비+후방카메라와 전면썬팅 정도는 추천합니다. 외장 광택이나 코팅은 비추천이고 차라리 언더코팅은 제대로 하고 하는 김에 휠하우스 커버 떼서 안쪽에 방음패드 붙여주면 효과는 있습니다. 요즘차들 물튀기는 소리가 좀 많이 들리더군요.
외장관리는 세차를 너무 많이 안하는 것이 상책이라고 봅니다. 지금 가지고 있는 차들 왁스나 코팅제 한 번도 안했고 자동세차만 한 곳에서 몇년째 하고 있는데 아직도 외관은 전시차보다 좋습니다. 오히려 전시차들이 먼지털이개로 자주 닦아서 잔기스가 더 많더군요. 저는 먼지털이개 전혀 안쓰고 세차는 너무 자주 안하고 한달에 2~3번 이상 안합니다.
언더코팅 안하면 눈비오는날 기분이 이상하게 찝찝하더라구요.
마치 하체가 녹스는 기분에 맘이 안편해요 저는ㅋ

저는 틴팅과 언더코팅만 했는데 언더코팅 꼭 하는게 좋을것 같아요..
생각보다 하체 도장도 별로고 몇년 안탄다고해도 녹 쓸어서 다니는 것보다 깔끔하게 다니는게 좋을뜻 해요
언더코팅 성능면에서는 수성보다 상대적으로 싼 유성이 더 괜찮아요.
솔직히 냄새는 하루면 다 없어져요
보통 사람들 하라는 대로 하면 상당한 돈이 들어가더라구요
끝도 없는거 같고 너무 많아 귀찮아 지기도 하구요...
저는 블랙박스만 해주었습니다. 재미를 위해 흡기 배기도 해주었구요 ㅎㅎ
틴팅은 요즘 자외선 차단 유리 사용하니까 그냥 안했고 배기 소리 들으려면 창문을 내려야 하기때문이랄까요...
언더코팅/휀더(휠하우스) 방음은 주행을 해보시고 필요에 따라 선택하시면 될 것 같네요. 언더코팅은 안하더라도 휠하우스쪽 방음 작업은 DIY로 어렵지 않게 가능하고 효과도 좋은 편입니다. (4륜 모두 해도 재료비 5만원이 채 안듭니다)

저 같으면 틴팅 - 블랙박스 두개만 할 것 같습니다.
후방은 센서만으로도 필요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전 후방카메라 -> 후방센서 -> 센서 없는 차 순으로 넘어와서 지금 센서없는 차를 타고 있지만, 그닥 불편한거 잘 모르겠네요. 그리고 카메라 있을때보다 후방센서만 있을때가 더 편했습니다)
언더코팅은 10년 탈거 아니면 의미 없다고 보구요..(중고차 사실 분에 대한 서비스?)
네비는 2개나 있지만, 집에서 들고나오는 일이 한달에 한번 있을까 말까 네요.
틴팅은 여름에 팔이 뜨거워서 도저히 못 견디겠더군요.
블랙박스는 저는 안하고 있지만, 요즘 세상이 흉흉하다보니 여유가 되신다면 권해드립니다.
저는 차 받고 다음날 기본선팅으로 천안갔다가 팔 완전히 다 타버리고 ㅜㅜ
바로 그주 주말에 전면 열차단 썬팅+운전석 조수석 썬팅뜯어내고 재작업 했습니다....
진짜, 썬팅은 처음 하실때 잘 하셔야합니다... 열차단+자외선100% 차단 되야 아직 많이 남은 여름에 고생안하십니다 ㅜㅜ
제차는 작은편이라 후방카메라는 필요없고, 기본 후방센서로도 충분하더군요.... 면허땃을때부터 중형차에 후방센서도 없는 차로 연습했던터라...크게 문제는 안되더군요.... 블랙박스는 조만간....빨리 달어야겠다 라고 생각중입니다....
일반적이지 않은, 어지간한 사람이라면 이런경우는 없지만 저의 경우엔......
버킷시트를 들고 매장에 차 인도받으러 가면서 바로 그자리에서 버킷시트를 장착합니다;;;;;;

전 열차단 잘되는 틴팅과 블랙박스 추천합니다.
굳이 순위를 둔다면 블박을 먼저 우선순위에 두고싶네요.
한 두 시간 주차하고 돌아왔는데, 테러 당해있으면 정말..
더군다나 새차에 그래놓으면, 안 당해본 사람은 모릅니다.

꼭 해야 한다는 생각은 틴팅...뿐이네요. 블랙박스는 선택..
그외의 것은 하지 않는것이 좋다 생각합니다.

틴팅, 언더코팅, 블박...요기까지면 충분하지 않을까요?
요새 나오는 현기차들은 언더코팅이 구형차들에 비해 거의 안되어 있을 정도니까요...
염화칼슘때문에 하부 부식나는 거 보면 정내미가 떨어지더군요.

언더코팅이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즘 현기차들은 언더코팅이 거의 없고 수출하는 차들은 꼼꼼하게 되어 있는 걸 봐서..
현거차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 아닐런지요~^^
그리고 틴팅, 그 후에는 네비 정도 되겠네요.
와이프분이 운전하실꺼면 후방카메라도 같이 하면 괜찮을듯 합니다.

저는 운전만 했습니다.
내비게이션은 필요없구요.. (일주일에 천km 정도 주행하고 초행길도 상당히 다니는 편이지만 왠만한 길은 미리 지도로 탐색.. 정 급할땐 글로브박스에 보관중인 손바닥만한 내비게이션을 앞유리에 붙여서 사용합니다.)
후방카메라는 익숙해지면 의존도가 높아질듯해서..
틴팅은 안하는게 더 이뻐보여서.. (동승자의 압박때문에 지금은 틴팅이 되어있습니다. ㅠ)
언더코팅은 차를 10년이상 탈 확신이 없어서 안했구요..
단, 블랙박스는 하고싶습니다. 어떤걸 사야할지 고민하다가 시기를 놓쳤네요... 출고되자마자 바로 했어야하는데....

전 작년 봄에 출고했으니 1년 좀 넘었네요
전: 네비매립 /블박 / 틴팅(열차단 전면 포함)/ 언더코팅 정도 했습니다. (덤으로 휀다 방음)
1년지난 다음 만족도 순으로 보자면
전면틴팅 >>>> 블박 > 언더 > 네비 이 정도겠네요.
블박은.. 그냥 잘 고른건지 이상동작없고 상시전원인데 방전도 한번도 안되서 만족하는거구요 ㅎㅎ
언더는.. 얼마전에 오일갈면서 봤더니.. 겨울이 지나고도 너무나 깨끗해서 그냥 기분상
네비는.. 1년이 지나니 구형이 되어서... 최신 네비나 이런걸로 바꾸고 싶지만.. 매립이라 가격적인 부분과
트립-연동- 일체형으로 했기 때문에 바꾸는게 쉽지 않더군요... (요즘네비는 노래에 앨범재킷도 나오고;;)
거치형의 사고시 흉기위험? 만 제외한다면 다시 차를 새로 셋팅할때
스마트폰이나 스맛패드로 이 부분대체하고 싶네요
전 틴팅/블박 추천드리고요 K5라면.. 언더도 추천드립니다.
전 윈도우 틴팅+블랙박스 정도만 추천드립니다 틴팅이야 간혹 장거리 갈땐 엄청엄청 유용하죠 ㅎㅎ
블랙박스는 혹시모를 사고에 대비하는 보험이죠 한번의 사고로 인해 억울한 피해자가 되는걸 방지하는 ㅎㅎ
그리고 하나만 더하자면 총알이 허락하는 정도의 브레이크 업글입니다
단순히 캘리퍼 피스톤갯수를 늘리기보단 경량디스크 정도로 마무리만 해주셔도 다른 뽐뿌는 잘 안오더군요
(정작본인은 4피스톤에 380mm로터 쓰다가 2피스톤 350mm로터로 바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