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한국차들이 사자의 발톱을 뽑아가기 시작했다.'
눈깜짝할 사이에 한국차들이 무지하게 좋아졌다. 심지어 지금껏 최고 지위를 누려온
차들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차는 많이 만들지만 제대로 된 차는 아직 없다고 생각
했던 한국 출신이라는 점에서, 우리가 지금 목격하고 있는 현상은 어떻게 보면 기적
이나 마찬가지 이다.
지렁이도 꿈틀거릴수 있다는 걸 멋지게 증명했고, <Top Gear>는 당연히 이에대해
보도해야만 했다. 이 놀랄만한 성과는 현대나 기아의 실력이 늘었고, 또 세계 시장에
서 모험을 감수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기아 씨드와 현대 i30이 있다. 진정 괜찮은 제품이 한국에서 나왔다.
씨드와 i30는 이전의 노력들을 뛰어넘어, 감히 상상할수 없을 정도로 엄청난 개선이
이루어진 차다. 그리고 이들이 308의 아성을 무너뜨리고 있다는것도 사실이다.
스타일링은 우리가 알아차릴 수 있는 첫번째 영역이다. 그리고 또 다른 영역은, 더욱
중요한 요소인 '인식된 품질' 이다. 씨드 디자인은 절제되어있다. 깔끔하고 매끈하다.
i30은 좀더 모험을 택한 것 같다. 공격적이다. 현재만 놓고 보면 BMW보다 1시리즈를
오히려 더 잘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S라인을 연상케 할 정도로 움푹 들어간 양 옆구리
수줍은 듯 다소곳한 모습의 프로필등도 308보다 편안한 느낌을 갖게 한다.
'눈깜짝할 사이에 한국차들이 좋아졌다. 여기서 좋아졌다는 말은 대부분의 차들보다
더 좋아졌다는 뜻이다. 지렁이가 꿈틀대기 시작한 것이다'
푸조는, 우리가 여전히 '골프를 살까 아니면 308을 살까' 라고 생각해 주기를 원한다.
하지만 우리는 '308을 살까,씨드를 살까' 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지금으로 봐선 큰 망
설임 없이 씨드를 선택하게 될것이다.
유럽 시장이 일본차를 인정하는 데는 아주 오랜시간이 걸렸다. 지금은 누구나 도요타
나 혼다의 의심할 여지 없는 품질에 무한한 신뢰를 보낸다. 그리고 누구나 알고있다.
시빅이 동급 모델중 가장 멋지다는 사실을.
이제 더이상 한국차에 '저렴한' 이라는 말이 적당한 단어가 아니다. 308이 골프나
i30, 포커스와 가격이 같다는 사실은 푸조가 근심에 빠질 충분한 동기를 제공한다.
기아처럼 '독일인의 지성에서 영감을 받았다'면 좀더 상황이 괜찮을 수 있지 않을까?
BBC <12월호 Top Gear> Matt Master.
2007.12.04 20:10:43 (*.133.99.118)

국산차의 약진도 어디까지나 수출차에 국한된 것이죠. 5년만 지나면 하체에서 녹이 피어나고 10년 넘은 차중에 녹 없는 차 없으니...엔진은 50만키로까지 멀쩡하면 뭐합니까. 차체가 50만키로 탈 때까지 버티질 못하는데...아연도금강판 좀 많이 썼으면 좋겠습니다. 국내생산차중에는 아카디아만 유일하게 아연도금강판을 많이(87%) 쓰고 있으니 말입니다.
2007.12.04 20:37:24 (*.202.99.57)

고차 고대로 나온다면 당장 사줄용의도 있습니다만....그렇지 않다는게 문제죠.....다른차 같은모습이랄까.......TG 아제라를 본적이 있습니다.....다르더군요....많이 달랐습니다.
2007.12.04 21:03:22 (*.119.29.200)
내수차와 수출차가 동일한 품질과 내구성, 그리고 안전성을 확보하게끔 제작된다면... 국민들도 해외에서의 각종 칭찬들을 신뢰하겠죠... 그런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것... 조금 안타깝습니다.
2007.12.04 21:22:06 (*.180.110.117)

중국수출형 모델을 국내에 출시안해주는 것만도 감사합니다. 쩝.. 이라고 말하고 싶지만, 그래도 내수용모델들도 많은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에서 조금 더 믿고 기다리며 응원하고 있습니다. ^^ 그리고 아직 대다수의 국민들은 수출형과 내수형의 차이를 인식 못 하고 있다는 것이 그럴 의도를 갖지 않게 만드는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요? ^^
2007.12.04 22:37:23 (*.38.79.145)

근간의 기아CF(잘 만들어진 광고라고는 생각치 않습니다)를
보고 기존과 다르게 인상깊은 점이 있었는데..
직접적 제품 어필 광고가 다반사였다면 '사용자를 위한 디자인'
이라는 문구로 소비자에게 어필 하는 부분이였습니다.
물론 광고에서 어필하는 디자인이란 의미는 심미적인 것만이
아닌 사용자입장에서의 기술,공학등 총체적인 범주를 말하는듯 하구요..
작지만 이런 시도만 봐도 내부에서 자각과 혁신이 있었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계기는 슈라이어겠죠?) 그리고 그 행보가 이제 나타나는것 같구요
지금까지의 경영자들이 쓸데없는 참견을 버리고 각 분야인력
들에 대해 신뢰만을 약속한다면(당연해야 할 일이였지만)
지금의 국내 기업들의 행보가 세계시장에서 훨씬 더 두각을
나타내 줄 날이 오겠죠..
보고 기존과 다르게 인상깊은 점이 있었는데..
직접적 제품 어필 광고가 다반사였다면 '사용자를 위한 디자인'
이라는 문구로 소비자에게 어필 하는 부분이였습니다.
물론 광고에서 어필하는 디자인이란 의미는 심미적인 것만이
아닌 사용자입장에서의 기술,공학등 총체적인 범주를 말하는듯 하구요..
작지만 이런 시도만 봐도 내부에서 자각과 혁신이 있었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계기는 슈라이어겠죠?) 그리고 그 행보가 이제 나타나는것 같구요
지금까지의 경영자들이 쓸데없는 참견을 버리고 각 분야인력
들에 대해 신뢰만을 약속한다면(당연해야 할 일이였지만)
지금의 국내 기업들의 행보가 세계시장에서 훨씬 더 두각을
나타내 줄 날이 오겠죠..
2007.12.05 04:02:48 (*.7.207.129)

외국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으로서 저 찬사가 뿌듯하지만, 내수차와 수출차의 품질 수준과 가격 수준과 A/S 수준이 비슷하지 않기에, 한국 거주 한국인들을 생각하는 현대차를 바라보는 시선은 싸늘하지 않을 수 없군요.
현대차는 밉지만, 비 한국인들이 한국차를 비하할 때에는 화가 나고, 반대로 찬사를 보낼 때에는 기분이 좋습니다.^^
현대차는 밉지만, 비 한국인들이 한국차를 비하할 때에는 화가 나고, 반대로 찬사를 보낼 때에는 기분이 좋습니다.^^
2007.12.05 08:09:13 (*.88.149.5)
댓글보다가 수출형과 국내형에 대한 불만이 너무 많은 것 같아서 한마디...
수출형이라고 해서 무조건 국내형보다 더 좋은 건 아닙니다.^^
지금 제 아내와 꼬마가 미국에 있습니다.현지에서 생활할려면 차가 필요해서 원래는 NF를 사서 타다가 들어올때 가지고 올려했었는데 국내생산이 아니라서 나중에 들여올때 세금이 많다고 해서 그냥 2005년식 그랜져 XG 350을 중고로 구입했거든요...
풀옵션이라는데 오히려 국내보다 옵션이 떨어집니다.HID이런것 없구...계기판도 슈퍼비전 그런거 아니고 그냥 아날로그 일반계기판이구요....네비 이런것 없습니다....사이드미러도 제가 직접 확인해 보지는 않았지만 접이식도 아닐겁니다.-.,-(보증기간 길다고 하더니 고장날 부분은 다 제거한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잠시 들더군요...ㅎㅎ)
수출형이라고 해서 무조건 국내형보다 더 좋은 건 아닙니다.^^
지금 제 아내와 꼬마가 미국에 있습니다.현지에서 생활할려면 차가 필요해서 원래는 NF를 사서 타다가 들어올때 가지고 올려했었는데 국내생산이 아니라서 나중에 들여올때 세금이 많다고 해서 그냥 2005년식 그랜져 XG 350을 중고로 구입했거든요...
풀옵션이라는데 오히려 국내보다 옵션이 떨어집니다.HID이런것 없구...계기판도 슈퍼비전 그런거 아니고 그냥 아날로그 일반계기판이구요....네비 이런것 없습니다....사이드미러도 제가 직접 확인해 보지는 않았지만 접이식도 아닐겁니다.-.,-(보증기간 길다고 하더니 고장날 부분은 다 제거한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잠시 들더군요...ㅎㅎ)
2007.12.05 09:09:21 (*.192.187.141)

옵션과는 관계가 없죠... 어차피 가격에 반영되는 거니까..
똑같은 재료로 음식을 만들어도 정성을 들인 어머니의 음식과 배급소에서 만드는 음식의 맛이 다른것처럼 자동차도 기본재료를 어떻게 처리해서 어떻게 조립하고 품질검사를 하느냐에 따라서 천차만별입니다..
수출형과 내수용의 마감 차이는 분명히 존재하고 사용기간이 길어질수록 그 격차는 커지죠..외국에서 괜히 10년 보증을 주는게 아닙니다.. 그만큼 품질괄리를 잘 한 부품만 썼다는 이야기도 되니까요...
똑같은 재료로 음식을 만들어도 정성을 들인 어머니의 음식과 배급소에서 만드는 음식의 맛이 다른것처럼 자동차도 기본재료를 어떻게 처리해서 어떻게 조립하고 품질검사를 하느냐에 따라서 천차만별입니다..
수출형과 내수용의 마감 차이는 분명히 존재하고 사용기간이 길어질수록 그 격차는 커지죠..외국에서 괜히 10년 보증을 주는게 아닙니다.. 그만큼 품질괄리를 잘 한 부품만 썼다는 이야기도 되니까요...
2007.12.05 09:43:13 (*.106.68.2)
지인이 작년 이맘때쯤 오랜기간의 미국생활을 청사하면서 2천만원이라는 가격에 구입해온 일명 깡통 아제라... 3.8엔진에.. 이것저것 필요한건 다 달려 있더군요.
한국 현실이 안타까울 뿐입니다. 선택할 수 있는 기회조차 없는 것이니...
한국 현실이 안타까울 뿐입니다. 선택할 수 있는 기회조차 없는 것이니...
2007.12.05 10:15:08 (*.133.99.118)

현대차만 해도 미국에 수출하는 차는 전수검사라고 해서 모든 차를 일일히 점검한 다음에 선적을 하고 내수용 차는 샘플 검사를 합니다. 10년 10만마일 보증인데 대충해서는 워런티 비용 감당 못하겠죠. 일본처럼 내수용차를 더 잘만들고 저렴하게 판다면 수입차 사라고 해도 안삽니다.
2007.12.05 11:19:27 (*.64.140.230)

現 정의선 기아 사장이 가장 잘하고 있는것은 "디자인"중심의 파격적인 권한위임 이라고 생각합니다. 3~5년후에 기아가 어떻게 변신할지, 정말 기대 됩니다.
2007.12.05 11:26:26 (*.254.112.153)

어떻게 수출 차량 전수검사가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는지.. 그리고, 내수용과 수출용의 차이가 사양 말고 얼마나 다른지 모르겠습니다. 올해부터 HD 이상 급은 전부 철판은 통일한걸로 알고 있는데.. 이외에 뭐가 다른건가요??
2007.12.05 11:47:29 (*.104.128.115)

기사 내용으로는 '사자'가 푸조를 가르키는 것 아닐까요?
그렇게 이해한다면 사자 발톱을 뽑아가는 것도 말이 될것 같은데요 ^^
그렇게 이해한다면 사자 발톱을 뽑아가는 것도 말이 될것 같은데요 ^^
2007.12.05 12:15:19 (*.39.111.208)

전수검사란건 차에 들어가는 모든부품을 낱개로 검사한단
의미인데 100% 전수검사하는 업체는 전세계에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그리고 수출과 국내사양이 다르다는건
우리나라의 문제는 아닙니다. 가령 배기가스 규제가 약한 나라에
수출한다면 당연히 관련부품은 필요이상 투자할 필요가 없겠죠
장사인데 말입니다. 그리고 지역별로 당연히 스팩이 달라야하겠죠
지역의 기후나 특성등을 고려해서 그렇게 쎄팅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원문은 이번에 새로나온 차종에 관한 기사입니다.
더군다나 과거 모델에 대한 혹평은 원문에도 나와 있는데
과거 모델까지 들출이유가 없어보입니다. 국내에서 평가한다면
쌍동이 모델인 i30 정도를 평가해야 할듯 합니다만.....,
일본이 미국시장을 적극 공략하기 위해서 터보를 버리고 대배기량
na로 주력을 옮긴것만 봐도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마케팅전략의
일종인데 너무 비관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수입차 정비를 하다보면 10년도 안돼서 부식된 수입유명차들 많습니다.
우리나라의 염화칼슘 과다사용이 그 원인이겠죠 더군다나 요즘은
값싼 중국산 염화칼슘덕분에 벤츠의 최고사양 클래스조차도
부식에서 안전할 수 없는 형편이고 보면 꼭 현대차에 국한된 부분은
아니라고 봅니다만....,
의미인데 100% 전수검사하는 업체는 전세계에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그리고 수출과 국내사양이 다르다는건
우리나라의 문제는 아닙니다. 가령 배기가스 규제가 약한 나라에
수출한다면 당연히 관련부품은 필요이상 투자할 필요가 없겠죠
장사인데 말입니다. 그리고 지역별로 당연히 스팩이 달라야하겠죠
지역의 기후나 특성등을 고려해서 그렇게 쎄팅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원문은 이번에 새로나온 차종에 관한 기사입니다.
더군다나 과거 모델에 대한 혹평은 원문에도 나와 있는데
과거 모델까지 들출이유가 없어보입니다. 국내에서 평가한다면
쌍동이 모델인 i30 정도를 평가해야 할듯 합니다만.....,
일본이 미국시장을 적극 공략하기 위해서 터보를 버리고 대배기량
na로 주력을 옮긴것만 봐도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마케팅전략의
일종인데 너무 비관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수입차 정비를 하다보면 10년도 안돼서 부식된 수입유명차들 많습니다.
우리나라의 염화칼슘 과다사용이 그 원인이겠죠 더군다나 요즘은
값싼 중국산 염화칼슘덕분에 벤츠의 최고사양 클래스조차도
부식에서 안전할 수 없는 형편이고 보면 꼭 현대차에 국한된 부분은
아니라고 봅니다만....,
2007.12.05 15:58:04 (*.133.99.118)

미국에서 신차초기불량지수가 월등히 상승한 것도 다 전수검사(정몽구 회장의 지시로 알고 있습니다.물론 새차를 다 뜯어서 분해한다는 것이 아니라 작은 것도 세밀하게 체크하고 수출한다는 의미죠)를 통해서 사전불량률을 최소화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물론 수입차라고 해서 전혀 부식이 안된다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비율의 차이라는 것입니다. HD가 철판이 동일하다는(두께가 다르다는 말은 아니었습니다. 아연도금강판의 사용비율의 차이를 말하는 것이죠) 것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그동안의 수출차와 국산차의 옵션 차이가 아닌 기본적인 내구성에 관한 차이가 있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아직도 미국에서 역수입된 쏘나타1 수출형을 보면 깨끗한 차 많습니다.
그리고 물론 수입차라고 해서 전혀 부식이 안된다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비율의 차이라는 것입니다. HD가 철판이 동일하다는(두께가 다르다는 말은 아니었습니다. 아연도금강판의 사용비율의 차이를 말하는 것이죠) 것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그동안의 수출차와 국산차의 옵션 차이가 아닌 기본적인 내구성에 관한 차이가 있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아직도 미국에서 역수입된 쏘나타1 수출형을 보면 깨끗한 차 많습니다.
2007.12.05 16:46:49 (*.39.111.208)

지운님 잘 지내시죠? ^^;;
전수검사란것은 해당 부품의 단품별 qc를 모두 한다는 의미입니다.
수만개의 부품을 qc를 할때 대충 품질도를 1~10까지로 보면
그중 합격선을 5~8로 가정 한다고 할때 그 5~8로 들어오는것만
합격을 줍니다. 메이커 자체에서 전수검사를 하는 경우는 실로
막대한 비용과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므로 어느 업체도 자유로울 수
없는 형편입니다. 그러한 전수검사를 한다는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고 각 파트의 생산공장 자체에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완성차 업체에서는 샘플링을 해서 애초에 주문한
수치안에 들어오는지를 검사를 하게되죠 실상 qc 에서 되돌려지는
경우의 물건들 보면 안타까운것들이 많을 정도로 멀쩡한것들도
있습니다. 대개의 경우 한 가지 부품을 놓고 평가를 할때
몇가지 기준이 되는 시험사항을 선정해서 그 기준을 통과하면
합격이 되는거죠 이 기준이 점점 까다로워지고 또한 각각의 업체의
기술수준과 장비의 향상으로 불량율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보는게
맞을것 같습니다. 또한 국내의 기초산업과 첨단산업등에서도
점점 발전을 한다고 봐야지요 그리고 아연도금강판의 경우에도
북미나 혹은 추운지방의 경우 상대적으로 염화칼슘의 사용이 빈번하고
세차의 횟수가 적으며 해양성 기후까지 동반하고 있는 경우에
많이 사용할 수 밖에는 없습니다. 그런 차이일뿐이지 의도적 차이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만..., 실례로 중동지역도 내부식성에 있어서는
안전지대는 아닙니다. 사막지역을 가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지하수및
식음료수에도 상당히 많은 염분이 있고 지하수 그대로는 거의 바닷물에
준하는 짠물이죠 우리나라 지하수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그런 경우 아연도금강판을 적게 사용하면 당연히 몇년도 못가 다 부식
되겠죠 그런 수출지역의 특성과 차이일뿐이라고 생각합니다.
미국은 워낙 넓은 지역이다 보니 각종기후가 모두 존재하겠지요
새애틀 처럼 햇빛 보기 힘든 지역에서 부터 고온다습한 남부나
해양성기후부터 다양한 기후가 존재 하는데 그런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전수검사란것은 해당 부품의 단품별 qc를 모두 한다는 의미입니다.
수만개의 부품을 qc를 할때 대충 품질도를 1~10까지로 보면
그중 합격선을 5~8로 가정 한다고 할때 그 5~8로 들어오는것만
합격을 줍니다. 메이커 자체에서 전수검사를 하는 경우는 실로
막대한 비용과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므로 어느 업체도 자유로울 수
없는 형편입니다. 그러한 전수검사를 한다는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고 각 파트의 생산공장 자체에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완성차 업체에서는 샘플링을 해서 애초에 주문한
수치안에 들어오는지를 검사를 하게되죠 실상 qc 에서 되돌려지는
경우의 물건들 보면 안타까운것들이 많을 정도로 멀쩡한것들도
있습니다. 대개의 경우 한 가지 부품을 놓고 평가를 할때
몇가지 기준이 되는 시험사항을 선정해서 그 기준을 통과하면
합격이 되는거죠 이 기준이 점점 까다로워지고 또한 각각의 업체의
기술수준과 장비의 향상으로 불량율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보는게
맞을것 같습니다. 또한 국내의 기초산업과 첨단산업등에서도
점점 발전을 한다고 봐야지요 그리고 아연도금강판의 경우에도
북미나 혹은 추운지방의 경우 상대적으로 염화칼슘의 사용이 빈번하고
세차의 횟수가 적으며 해양성 기후까지 동반하고 있는 경우에
많이 사용할 수 밖에는 없습니다. 그런 차이일뿐이지 의도적 차이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만..., 실례로 중동지역도 내부식성에 있어서는
안전지대는 아닙니다. 사막지역을 가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지하수및
식음료수에도 상당히 많은 염분이 있고 지하수 그대로는 거의 바닷물에
준하는 짠물이죠 우리나라 지하수와는 차원이 다릅니다.
그런 경우 아연도금강판을 적게 사용하면 당연히 몇년도 못가 다 부식
되겠죠 그런 수출지역의 특성과 차이일뿐이라고 생각합니다.
미국은 워낙 넓은 지역이다 보니 각종기후가 모두 존재하겠지요
새애틀 처럼 햇빛 보기 힘든 지역에서 부터 고온다습한 남부나
해양성기후부터 다양한 기후가 존재 하는데 그런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2007.12.05 16:55:52 (*.254.112.153)

소나타 1이면.. 언제적 이야기인지 가물가물 합니다. 그리고 IQS를 위해 현대가 한 일은 전수검사가 아니라 미국 현지에서 PDI(Pre Delivery Inspection)를 강화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수입차라면 모두가 다 한다는 PDI 말입니다.
2007.12.05 18:51:18 (*.117.99.154)
아직도 철판 얘기하는 분들 계시네요; 도금은 판매되는 국가에 따라서 틀려집니다. 부식 걱정이 없는 내륙국가로 판매되는 차에 방청처리하는건 원가상승에 돈낭비라고 볼수있죠.
2007.12.09 19:35:05 (*.120.78.244)
가격이라도 싸면 아마 불만이 많이 줄어들 것 같습니다. 철판 이야기 . 해도 됩니다. 가격도 비싸고 AS형편 없고 불량률 높고 차까지 다른데. 이야기 좀 하면 어떻습니까. ㅋ
2007.12.11 11:49:18 (*.55.130.250)
전수검사가 모든 부품을 다 검사한다고 볼 수도 있지만 선적되는 차량 기준으로 모두 검사한다고 볼 수도 있겠죠. 그에 비해 내수용 차는 몇 십대에 한 대 꼴로 검사한다면 분명히 차이가 날 겁니다.
전수검사가 아니라도 얼마나 신경을 쓰느냐에 따라 품질은 달라질 겁니다.
고가품이 괜히 비싼 이유가 정성을 들이기 때문이니까요.
미국이나 다른 선진국으로 수출하는 경우 아무래도 내수용보다는 더 신경써서 만들 겁니다.
부품 단계에서의 선별이나 선적 전의 검사도 다르겠죠.
모든 부품을 다 전수검사한다고 보시면 좀 곤란하겠네요.
완성차 기준이라고 보시는 게 더 낫겠습니다.
전수검사가 아니라도 얼마나 신경을 쓰느냐에 따라 품질은 달라질 겁니다.
고가품이 괜히 비싼 이유가 정성을 들이기 때문이니까요.
미국이나 다른 선진국으로 수출하는 경우 아무래도 내수용보다는 더 신경써서 만들 겁니다.
부품 단계에서의 선별이나 선적 전의 검사도 다르겠죠.
모든 부품을 다 전수검사한다고 보시면 좀 곤란하겠네요.
완성차 기준이라고 보시는 게 더 낫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