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토요일 라이센스 교육 + 2타임 주행을 하고 돌아왔습니다. 저질 체력이라.. 금요일 출발했는데. 퇴근이 늦어지는 바람에
12시 반쯤이나 되어서 출발. 네비 찍으니 4시 44분 도착;;으로 떴는데. 열심히 달린 끝에.. 새벽 3시 도착했습니다.
국도구간이 길어서 생각보다 멀더군요. 잠은 Q&A 란에서 추천해주신 양카; 에서 ^^
키를 받아들고 들어선 엘리베이터에서 큰웃음 한번 ㅋㅋ
아침에 일어나 서킷을 향하는데.. 안개속 풍경에 감탄합니다.
주행 후 잠시 인근을 돌아본 느낌으로는 한적하고 자연경관이 좋아 여행지로도 다시한번 찾고싶은 곳입니다.
14명 정도로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라이센스 교육을 받으셨고, 일반 스포츠주행은 몇 대 없던 것 같습니다.
태어나 처음 서킷주행이라 많이 떨렸고, 그간 차량의 한계를 전혀~ 확인해볼 기회가 없었기에..
첫 주행. 첫 헤어핀에서의 긴장감이란 이루 말할 수 없네요.
비산방지 테이핑을 하고 공기압을 맞추며 준비작업중.. 테잎 하나 붙였을 뿐인데 인상이 확 달라지네요.
공기압 펌프는 오토코스 디지털 게이지 제품을 준비해 가져갔고 어느정도 넣어야할 지 몰라 4륜 모두 냉간시 기준
36psi로 맞췄습니다.
주행 영상은 장비가 없어 촬영하지 못했고 폰으로 랩타임만 기록했습니다. (아이폰4 + Harry's Lap Timer)
어플 역시 전날 출발하며 급히 받다보니 사용법이 익숙치 않아 반신 반의 했는데. 그나마 기록이 되어 다행입니다.
(나중에 보니 영상까지 함께 찍는 기능이 추가로 있더군요.. 다음번엔 그렇게 ^^)
부끄러운 기록입니다만 올려봅니다.
아무래도 첫 주행이다보니 들쭉날쭉합니다 ^^ 중간에 앞차가 헤어핀에서 스핀을 하는 등. 변수가 좀 있기도 했습니다.
베스트랩은 중간쯤 보이는 1분18초 입니다.
아래는 베스트랩의 속도 기록입니다. 글자는 잘 안보여서 포토샵에서 추가 기입했습니다^^ 1G 까지가 초록색,
1~1.25G까지가 노란색으로 나와있는데.. 직선구간에서도 두께가 있는걸 보니 종/횡 모두 합산된 가속도 표기인가봅니다.
(문과라서 잘 몰라요 @.@)
감상
운전을 하면서 본인이 멀미를 하는@.@ 아주 경이로운 경험을 했습니다. 2타임 모두 출발후 약 6~7분 정도.. 약 5랩 정도 타면
급격히 땀이 나고 약간 매스껍다가 쿨다운 겸 살살 한 두 바퀴 달리고 체크기를 보지 못한 채 피트인후 땀범벅으로 한숨 돌리기를
반복했던 것 같습니다;
레이싱 선수들이 세삼 대단하게 느껴집니다. 버킷시트의 필요성도 깨달았구요.더욱이 태백서킷은 우코너가 너무 많아 문짝에
옆구리가 붙을 기세; 아직도 허벅지와 옆구리가 얼얼하네요. 제동/악셀을 줄창 끝까지 밟은 오른발과.. 횡G를 버티기 위해 안간힘을 쓴 왼다리..
그외 개인적으로 의미있게 발견한 점이 너무너무 많습니다.
각종 레이싱 용어들의 체험 : Understeer / Tuck in / Sawing ..등등
고속도로에서 약간의 과속 외에.. 딱히 와인딩을 하거나 평소 격하게 운전을 하는 성향이 아니다 보니
'레이싱을 글로 배운' 매니아인 셈이었는데.. 이번 기회에 확실하게 그 모든 지식의 퍼즐을 실제에 꼽아 맞춘 통쾌함을 맛봤습니다.
연애소설 200권쯤 읽다가 드디어 애인과 며칠쯤 여행을 다녀온 느낌이랄까요.
사실. 코너 공략중 타이어 비명 소리 들은것은 거의 처음이다보니; 5랩 정도 돌면서 조심조심 간을 보고난 뒤에야 간신히
익숙해질 수 있었고.. 테크니컬 코너 부분에서는 일부러 브레이킹으로 살짝 뒤를 날리고 카운터를 치는..
(교육시 하지 말라 하셨던;) 그런 짓도 한번 해보고나니 아~ 이거였군. 싶네요.
궁하면 통하는 힐앤토
절대 힐앤토가 불가능한 페달 레이아웃이다. 라고 그간 생각했고 실제로 평상 주행시엔 거의 안됩니다.
엑슬이 너무 깊게 있기 때문이죠.(오르간식 아닌 일반 페달)
근데.. 풀브레이킹으로 내다 꼽는 상황에서 약간의 의지를 더하니 얼추 힐앤토가 되는것을 발견!..
그래도 다음번 올땐 반드시 페달 튜닝을 하고 오리라 다짐합니다-_-;
VDC의 발견
그간 제대로 동작하는지 조차 알 수 없었던 이녀석의 존재를 확실히 알게 됐습니다 ^^ 작동시의 느낌.. 처음으로 느꼈습니다.
첫 타임때는 VDC를 켜고 주행했고.. 두번 째에는 과감히 끄고 탔습니다.
ABS 퓨즈는 계속 꼽고 탔는데.. 그것도 뽑고 타볼껄 그랬나 하는 후회가 살짝 있습니다. 뽑는게 랩타임 단축에 도움이 되나요?
Fish tail
직선주로 끝나고 헤어핀을 위해 풀브레이킹을 하니 뒤가 뒤뚱뒤뚱.. (160 -> 80)
당시엔 그냥 무서울 뿐. 그게 피쉬테일인지 뭔지 분석할 정신이 없었고. 돌이켜 생각해보니 아 -_- ;; 그런것이군.. 싶네요.
주행중 모습인데.. 서있는 것처럼 나왔군요;
고생해준 S1Noble입니다. (운전석 앞) 215-45-17 이고, 냉간 기준 36psi 넣고 달렸습니다. 아슬아슬합니다만 숄더까지
접혀 쓸린 흔적은 없네요. 외측 편마모는 장난 아닙니다;
주행후 차량 상태 변화
브레이크 패드 마모로 인해 브레이크 답력 시작되는 지점이 내려갔습니다. 전보다 깊이 밟아야하는 점 외에 제동력은
기분상 아주 약간 떨어진 정도. 가장 걱정이었던 편마모로 인한 타이어 소음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더 조용해진 듯도?)
엔진은.. 서킷에서 적산거리 9000; 을 돌파했는데.. 레드죤을 찍어가며 열심히 달리니 그간 묵은때가 다 타버리고 이제
길이 제대로 들은 느낌입니다. 올때는 피곤하기도 하고 연비도 챙길 겸 6단 위주로 크루징 했는데 어제와 확연히 다른
토크감이@.@ 5단으로도 버겁던게.. 6단에서 x80이 찍히네요;;
뒷유리엔 타이어 분진이 대~박. ㅋㅋ 아마도 휠하우스 주변엔 타르가 풍년일 듯; 오늘 닦아보니 아래와 같습니다.
서킷을 타보고나니 다른 차량 주행모습 보는 것도 한결 즐겁습니다. 랩타임 재보는 재미가 쏠쏠하더군요.
그날 함께 했던 차량중 가장 인상깊은 차량입니다. 베르나.. 스펙이 어떤지 모르겠으나 차량 모습만큼이나 상당히
공격적인 주행을 보여주셨습니다. 저 지점에서 두어번쯤 추월당했는데; 대강 랩을 재어보니 꾸준히 1분 13초 정도를
기록하십니다 @.@
매우 순정스러운 모습의 SM3 입니다. 이날 가장 인상깊은 두번째 차량이었습니다. 위의 베르나와 거의 유사한 랩타임을
내셨고.. 정말 그립을 잘 유지하면서 타이어를 아껴쓰는 깔끔한 주행이 돋보였습니다.
그외 인상 깊었던 차량은.. 포르쉐 GT3 엠블럼의 차량.. 끽소리 한번 안나고 심심 담백하게 지나가길래 에이 싱거운데?
했으나.. 그냥 한번 재어본 랩타임이 1분 3초;;
저와 앞서거니 뒷서거니 하고. 제 앞에서 헤어핀 구간 스핀하시던 빨간 포르테쿱님은 구경하며 언뜻 재어보니 저와 비슷하게
1분 20초안팎을 왔다 갔다 하시더군요^^ (아래 차주님 댓글을 보니 타이어에 사연이 있었네요~)
여튼 지루한 줄 모르고 이러고 앉아 1타임을 꼬박 구경했습니다.
마지막으로 고생한 차 앞에서.. 어설픈 레이서.. 라기보단 뭔가 오토바이 타고 도둑질 할 듯한 제 모습입니다 @.@
널리 양해를 구하며 물러갑니다 ^^ (부끄럽지만 급히 마련한 묻지마 헬멧+ 장갑입니다; 도합 4만원으로 구입ㅋㅋ)
- IMG_6679.jpg (67.8KB)(13)
- IMG_6693.jpg (78.2KB)(10)
- IMG_6817.jpg (85.9KB)(11)
- lap_list.jpg (70.4KB)(10)
- IMG_6724.jpg (171.0KB)(10)
- IMG_6752-.jpg (136.5KB)(10)
- IMG_6758-.jpg (98.0KB)(10)
- IMG_1864.jpg (125.5KB)(11)
- IMG_1840.jpg (117.8KB)(10)
- IMG_6760.jpg (180.1KB)(9)
- IMG_6778.jpg (175.2KB)(10)
- IMG_6800.jpg (145.1KB)(10)
- IMG_6806.jpg (157.1KB)(10)
- lap.jpg (42.9KB)(10)
좋은 경험 하셨네요.
서킷을 한번 타보면 정말 몰랐던걸 단번에 깨닫게되는 계기가 됩니다. 그래서 저역시 주변사람들에게 서킷주행을 정말 적극적으로 권하고 있는데, 말을 잘 안듣는군요;; (산타는 친구들 서킷 처음 들어가보면 다들 바보가 됩니다. ㅋㅋ)
해리스랩타이머는 폰의 내장GPS일 경우 +- 대략 0.2초까지 오차가 나는것 같습니다. 참고하시고 사용하세요. (절대적으로 맹신하지 마시란 말씀입니다;;;;; 웬만하면 외장GPS를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만 아이폰은 쓸게 없네요;;)

당장 이번 주말에 달려가야 하나요?!ㅎ
꼼꼼한 글과 사진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묻지마 헬멧과 장갑은 어디서 구입하셨는지 여쭤도 될까요?
오프라인 매장에서 착용해보고 구입해야 할 것 같아서요~^^

드디어 다녀오셨군요 ^^ 정말 즐거우셨겠어요~ 다음에 가실땐 프론트 타이어만 하이그립으로 바꾸셔도 랩타임 2~3초정도는 줄어들 겁니다 ^^ 리어는 그대로 두시면 오히려 더 재미있는 주행이 가능할거예요~~

1번 스핀한 포르테쿱입니다.
인사드릴가~ 하다가 여친분하고 계시길래 패스했습니다.
쿱으로 첫 태백이라 어리버리하게 탔습니다.
전 앞뒤 그립이 너무 틀려서 뒤가 훅날라가더군요.
앞 RE050A 225 40 18 뒤 DNA ECO. 215 40 18
운전석 휀더 간섭때문에 1코너 4코너 그리고 자이언트 속도 안내고(?) 못내고 탔습니다.
막타임은 2랩정도 재고 탔더니 13초 후반 14초 중반 나오더라구요.
13초 후반 나오게 타고 앞 휀더 간섭땜에 휀더가 튀어 나와있었습니다 ㅋㅋㅋ.... 몇번 주먹으로 쳐주고 원상복귀 시켰다는ㅋ...
차라리 순정이였음 날리면서 탔을텐데..
베르나는 1.5터보 GT25급쓰신다고 하셨고.
sm3는 하체만 하신것..
다른 폴테쿱은 원맥뛰시던분 타이어 앞뒤 rs3 rs2끼시고 타시더군요 타이어가 끝물이시라 랩 12초 13초 꾸준히 나오시더라구요
금사 뛰실때 10초대 찍으셨다는데....
잘내려가셨을까~? 혼자 생각했는데 후기 올라오네요.~
좋은 일주일 보내세요~ 전 시합스케줄 없을때 막판한번 더갑니다 ^^.
물론 17인치 다운에 서스 순정돌리고 가볼려구요 ㅋ.

저도 마음은 벌써 수십번 태백을 향했는데.. 정작 실천은 한번도 못해보고있습니다.....
태백은 장갑과 헬멧만 사면 가능한가 봅니다... 4점식 벨트나 소화기는 없어도 되는지요....
태백에 지불해야 하는 비용이 대략 얼마정도 잡아야 될런지요...?
라이센스비 + 써킷 주행비용... 등등....
암튼 부럽네요....
안녕하세요 ^^
기억하실진 모르겠지만 그날 같이 달렸던 젠쿱입니다.. 검은색말고 그레이색이요 ㅎㅎ
테드스티커보고 예전에 차사셨을때 사진올리셨던것도 기억이나길래
아는척 한번 해볼까하다 여친분이랑 같이 계신것같아서요 ㅎ
쉬시지도않고 계속타시던데..
저도 일년에 세번씩은 다니려고 노력하는데 거리가멀어서 쉽지는않네요..
아마도 올해는 끝난듯하고 네년에나 혹시 같이 갈수있음 좋겠네요 ㅎㅎ
저도 동호회 오프활동이나 친구들이 차에관심이없어서
항상 혼자서 즐기고있습니다
그날도 혼자가기 심심해서 사촌동생 끌고갔구요 ㅎㅎㅎ
어쨌든 머리올리신거 축하드려요 ㅎㅎ
위 사진에 있는 흰색 베르나 주인입니다..누가 테드에 제 차 얘기를 했다고 알려줘서요..SM3랑 빨간 폴쿱이랑 함께 갔었습니다..
베르나와 친해지려고 1년 반 만에 태백가서 브레이크에 적응안돼서 혼났는데, 인상 깊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1.5에 025급 터빈 0.6바에 프라임 117마력 세팅입니다..올 봄에 터보차 사서 세팅만 다시 했습니다..SM3는 휠 빼고 올 순정이고..
근데 레이싱파크 직전의 SK에서 파는 초 불량 휘발유 때문에 저희 셋 다 차가 안나가서 애를 먹었습니다..명색이 터보인데,
옥탄부스터 넣고도 직빨에서 170을 힘겹게 찍을까말까..힘과 연비는 이루 말할 수 없이 나쁘고..그 주유소 절대 가지마세요..
청색 포르테 예쁘더군요..타이어만 바꾸셔도 많이 빨라지실겁니다..전 넥센 n9000 씁니다..가격 대비 최고라 생각해요..
늘 즐겁고 안전한 드라이빙 하세요~

오..노말 타이어에 첫주행인데, 좋은 기록이네요.
에공..태백 라이센스 9월까진데 갱신 못하고 지나버렸군요.
이번 시즌 문닫기 전에 저도 함 가봐야겠습니다.

승차감 다 필요없고 일체형 알아보실 듯. 끄응..
완전 재밌고 신나게 읽고 갑니다~ ^^
민혁님 후기 너무 부럽게 보고 갑니다 ^^;
저도 토요일 휴일이 잡혀있으면은 도전해보고 싶은데;;; ㅠㅠ
사고없이 무사히 주행완료하신거 축하드립니다.
참 그리고 레이싱 페달 저는 SRR제품으로 악셀만 사용하고 있는데.. 확실히
힐앤토가 쉽게 구사가 되며.. 요즈음은 부드럽게 보정할수있게끔 발끝에 힘을 주면서 타보고 있습니다 ^^
얼른 버켓시트와 페달 완료하시어 다음번때 기록갱신에 성공하시길 응원합니다